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스캐폴딩, 메타인지 및 협력성향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이순 ( Soondeok Lee ),김회수 ( Hoisoo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제공하는 스캐폴딩 유형과 학습자의 메타인지 및 협력성향이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122명의 대학생을 성찰적 스캐폴딩 집단, 지원적 스캐폴딩 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배치하고 2명씩 짝을 지어 비구조화 문제를 해결하는 협력학습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실험처치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구조화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는 스캐폴딩 제공여부와 스캐폴딩 유형에 영향을 받았다. 둘째, 문제해결 과정의 이해·탐색 단계에서 메타인지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의 성취가 높았다. 그러나 문제해결 결과물에 대한 성취는 메타인지 수준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셋째, 문제해결 과정에 스캐폴딩 유형과 메타인지 수준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지만, 선정·평가 단계에서 방향성이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넷째,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 성취는 학습자의 협력성향 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문제 상황이나 학습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스캐폴딩을 해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습과정에 대한 계획, 점검, 평가활동을 학습자가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탐색적 질문을 제시함으로써 메타인지적 활동을 촉진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scaffolding types and learner`s metacognition and collaborative preferences on problem solving in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e participants were 122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to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in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4 weeks. The participants were paired and assigned into one of three groups: A reflective scaffolding group, a supportive scaffolding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duc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both scaffolding and scaffolding types. The treatment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duct. And the reflective scaffolding group was higher than the supportive scaffolding group 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duct. The high level of metacognition were more effective performances in the identifying the problem and searching solutions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ing than the low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product according to the level of metacognition. As for collaborative preferenc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duct as well 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s of scaffolding and the level of metacognition. This study showed that offering instructional assistance such as scaffolding is effective for learn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learning situation that they have to solve problems in. Scaffolding can be a more effective strategy for students to facilitate their metacognitive activities by providing explanatory questions which induce planning, monitoring, and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learning as well as helping domain-specific knowledge.

      • KCI등재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이순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2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class satisfaction, course persistenc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metacognitive level of learners taking online co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92 learners who took online courses, and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he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persistence in taking classes, and intention to recommend were above average. Taking online courses through learners' free choice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the persistence in taking co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jor subjects than in liberal arts subjects. The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smooth communication with instructors positively impacted continuing online classes. Learners with a high level of metacognition had higher class satisfaction, course persistenc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an learners with a low level of metacognition. In the online learning process, learners with high metacognitive ability showed high satisfaction by exercising and coordinating control and autonomy over learning. This suggests that when the proportion of online courses is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trategies to improve the learners' metacognition as a requirement to increase class satisfaction.

      •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연구

        이순(Soon Deok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0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0 No.-

        이 연구는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전략 활동 수준을 그들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 출신고, 성적 수준과 관련하여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재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동기적 전략에 속하는 외재적 동기와 통제신념, 그리고 내재적 동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원관리 전략에 해당하는 또래학습과 노력조절, 그리고 인지적 전략인 비판적 사고를 가장 저조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활용 수준은 성별, 학년, 전공계열, 출신고교, 성적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전반적으로 높았고, 저학년보다는 고학년들의 능력 및 전략 활용 수준이 높았다. 전공 계열에서는 예체능계열 학생들이 다른 전공계열 학생들에 비해 전략 활용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일반계 교등학교 출신자와 특수목적고, 검정고시 출신자들이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들보다 전략 활용 수준이 훨씬 정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 전략 활용과 학업 성적수준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적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전략들을 의미 있게 많이 사용하였다. 자기조절학습 전략들 중에서 우리 학생들의 활용 정도가 낮은 전략들을 중심으로 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훈련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뿐만 아니라 자기 효능감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연구

        이순(Soon Deok Lee),이미아(Mia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2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2 No.-

        본 연구는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여러 가지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전체 82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 환경적 적응을 포함한 대학생활적응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았는데, 특히 군대를 다녀온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매우 높았다. 둘째 저학년 학생보다는 고학년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숙사생, 자취생, 하숙생들과 비교하여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고 생활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기숙사생은 자취생이나 하숙생에 비해 사회적 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월평균 소득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학업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전 학기 성적이 높은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자신의 장래 진로를 명확하게 결정하고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의 원만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대학 차원의 제도나 정책 개발, 학생들에 대한 상담 및 지도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 三國.高麗時代 佛像에 나타난 袈裟

        이순,박숙현 慶星大學校 1998 論文集 Vol.19 No.1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obe style of Buddhist statues of Samkuk and Koryo dynasty. The robe is called Kasa in Korea. Buddhist sacerdotal robe were limited in three kinds and numbers of robe. Seung-ga-ri(Samghati), Ul-dah-ra-seung(Ultara-sanga), Ahntawhoe Antaravasaka). This limitation is according to the Buddist commandments. Pyunsam is unique robe only fined in the Samkuk dynasty Buddhist statues. The methids wearing Pyunsam are two ; left-fastening, right-fastening. There are three styles wearing Seung-ga-ri ; Seung-ga-ri on the Seung-gi-ji, Seung-ga-ri on the Pyunsam, Seung-ga-ri on the Ni-won-seung. The chest sash of the Buddhist statues of Samkuk and Koryo are decorative. Young-Ja(i,e. string of kasa) is found in Samkuk and Koryo Buddhist statues.

      • 예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문제 익숙성 수준이 비구조화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이순(Lee Soon Deok),오선아(Oh Sun A) 한국교육포럼 2012 韓國敎育論壇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pistemological beliefs(EB) and problem familiarity on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process and achievement. The subjects were 149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group of certainty of knowledge and source of knowledge showed more advanced problem solving process and achievement. Especially, they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and high score in solution development and selection. Second, awareness of problem familiarity significantly affected problem solving process consisted of problem representation, solution development and selection,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Finally, awareness of problem familiarity did not affect problem solving achievement.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epistemological beliefs and problem familiarity in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ill-structured problem solving skills.

      • KCI등재후보

        대중가요 속에 나타난 효연구 - 부모님의 노래를 중심으로 -

        이순 한국효학회 2013 효학연구 Vol.0 No.17

        본 연구는 박철호의 이론인 ‘보편화 가능성 효윤리 체계’ 속에 나타난 네가지 덕목을 분석하여 이들이 대중가요 속에 나타난 효의 내용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를 규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대 간 소통에 대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덕목을 분석한 결과 대중가요의 노래가사 속에 나타난 ‘효’는 과거보다 현재에 가까울 수록 ‘순종’ ‘존속’ ‘친애’ ‘대리’인 네가지 덕목 중에서 순종, 존속, 대리보다 친애의 요 소가 월등히 많이 나타남을 알았다. ‘친애’인 효덕목은 양육하는 세대와 성장하는 세 대와의 관계가 수평적이고 상호 평등적이며, 서로 동일한 인격체로 존중하는 친구와 같은 우정을 나누는 것이다. 대중가요 속에서도 친애의 기본이 ‘공존과 조화’라는 면 에서 예전과 다른 현대의 ‘효’ 개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의 의식구조가 점차 변화해서 서구화 되어가고, 성경의 효사상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세대 간의 효의 개념 차이를 자 연스럽게 좁혀가면서 양육하는 세대와 성장하는 세대가 소통하는 ‘효’를 확산해 보자 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ur virtues of “possibilities of universality of Park Chul Ho’s Hyo ethical system” and identify the contents and relationship represented in the popular songs, and investigate the ways to promote the communications between generations. The analysis of virtues describes that from the four virtues-obedience, Survival, affection, subrogation, ‘affection’ shows considerable appearance in more recent songs. ‘Affection’ virtue of Hyo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generation and younger generation is horizontal and egalitarian and both generations respect each group as equal being, sharing affection. The concept of Hyo is reflected the modern basic ideas of co-existence and harmony of affection, different from those of past.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to have been resulted from that our mindset has changed, influenced by Western ideas and the Bible.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to narrow down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of Hyo and expands the communicating idea of Hyo between the parent generation and younger generation.

      • KCI등재

        멘토링 대화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멘토 전문성에 대한 고찰

        이순 ( Lee Sunduk ),고문숙 ( Go Munsuk ),남정희 ( Nam Jeonghee ),이선우 ( Lee Sunwo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이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간의 멘토링 대화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특징을 분석하여 멘티교사의 교수기술발달 정도와 연관성을 토대로 멘토 전문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임중등과학교사 4명을 멘티교사로, 경력교사를 4명을 멘토교사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 따라 멘티교사들에게 5회의 멘토링을 실시한 후 1차, 3차, 5차 멘토링 대화를 상호작용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멘티교사가 실행한 총 5차시 수업을 RTOP으로 분석하여 교수기술발달 정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멘토의 전문성 기준에 대해 고찰하였다. 멘토링 대화에서 상호작용 시작은 멘토가 주도하며 멘토교사 질문의 형태가 단순질문 비율이 높으면 멘티교사 반응은 단순반응의 비율이 높아져 반성의 기회가 차단되고 교수기술 발달정도가 적었다. 반면 멘토교사 질문의 형태가 사고질문의 비율이 높은 경우, 멘티교사 반응은 설명반응의 비율이 높아져 설명반응을 하는 과정이 반성의 기회가 될 수 있고 반성은 반성적 실천을 용이하게 하여 교수기술발달정도가 높았다. 사고질문의 비율이 높아도 교수기술 지원이 미흡한 경우는 발달정도가 미미했다. 교수기술 피드백 방법이 멘토교사중심의 설명식이면, 멘티교사가 단순반응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 반성의 기회가 차단되고 교수기술발달 정도 역시 적었다. 멘토교사 피드백의 형태에서 설명피드백 비율이 높으면, 교수기술발달정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실행 전문성 발달을 위한 멘토교사의 전문성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멘토교사는 서로 의견이 교환되는 형식으로 상호작용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멘토교사는 상호작용 할 때 멘티교사의 사고에 초점을 두고 반성적 사고를 유도하는 상호작용을 해야 하며, 멘티교사의 반성이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어야한다. 셋째, 교수기술 지원 시 멘토교사는 명확한 근거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효과적이다. 넷째, 멘토교사는 하나의 교수기술을 지원할 때마다 멘티교사에게 지원된 교수기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수업에 지원된 교수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숙고의 과정을 거치도록 유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entor-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 to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four mentee teachers and four mentor-teac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ntoring and interaction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conversations between mentor and mentee teachers during the collaborative mentoring. Three mentoring conversation records and transcripts during mentoring program were collected. An analytical framework of mentoring conversations was used in the analysis of mentoring conversations and RTOP was used for lesson analysis to determin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ractice.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s of interactions during mentoring varied according to the mentoring teams. Mentors who encouraged reflective thinking induced a higher level of teaching in their mentees. The mentor qualification standard was determin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and the improvement in beginning teacher`s teaching practice. To be an effective mentor, the mentor should be able to 1) lead the interaction in a manner that encourages the exchange of opinions, 2) induce reflective thinking and ability to achieve reflective practice following reflective thinking, 3) provide clear explanations and suggest detailed methods, 4) lead conversations that encourage reflective thinking with questions about teaching supported techniques.

      •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학습형태 조사 연구

        이순(Soon Duk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07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7 No.-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학습 형태를 조사하기 위해 1) 대학 공부 일반, 2) 전공 공부 영역, 3) 교수자지원 영역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체 285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학년별, 계열별, 성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공부를 대체로 어렵게 느끼며, 가장 어려운 점은 대학 공부에 대한 학습기술이나 학습방법에 관한 정보 부족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1시간이상 3시간미만 공부하는 학생이 가장 많고, 그 시간에 주로 전공을 공부한다. 공부 미루는 습관, 인터넷 게임, 친구 만나거나 전화 통화, 잠자기 등이 공부에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대부분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를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하고, 따라서 전공 만족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전공에 대한 기초지식이 부족하여 공부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공부는 주로 시험 때 벼락치기를 하거나 평소에 혼자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전공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학생에 대한 관심이 높은 교수를 바람직한 교수로 생각하며,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취직이나 진로를 지도해 주는 교수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