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강인성이 미래의 스트레스-관련 신체증상에 미치는 효과 검정 : a longitudinal study of a sample of nursing students 여대생 대상의 종단적 연구

        이미라,소희영,이양숙 성인간호학회 1998 성인간호학회지 Vol.10 No.3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hardiness on future stress-related physical symptoms in the female students a longitudinal design.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97 female nursing students(in the analysis of data after 3 months) and 98 female nursing students(in the analysis of data after 1 year).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urvey of general characteristics, stress(43 items), hardiness(25items), and physical symptoms(35items).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e of mea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in effects of hardiness on future stress-related physical symptoms was found. 2) The stress buffering effects of hardiness were not found.

      • KCI등재

        네트워크 사회의 감정공동체와 도시적 공공성

        이양숙 구보학회 2016 구보학보 Vol.0 No.15

        This article analyzed the meaning of the emotional community of the Korean young generation, focusing on the two works of Jang, Gang-myoung in 2010s, the bleaching, and the dislike of Korea. Both works are characterized by showing anger, hatred and cynicism about Korean society. whereas the bleaching is more focused on the deprivation of the 'public domain', the dislike of Korea focuses on the issue of the dignity of the individual. However, these two are closely related. The more public sphere, the bigger is the freedom of the individu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ks is in the solution. SeoYeon turns the anger of society into aversion to the world through 'suicide', Gyena turn from aversion to will. These two works vividly show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young generation about the current Korean society through the emotional community of young people.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where to look for clues to solving problems. They are cynical and disgusted to keep their dignity frustrated that the national community of Korea is still angry at treating their people as those who exist for the honor and dignity of the nation and can not transform this reality. Cynicism and disgust can not be homogenized with the abhorrence, and I feel that I want to stay away from it. They tried to get away from Korean society through death and emigration. In the end, the problem is not the existence itself, but the condition of living like a person, human being. One of the reasons why Korean young people can decide to leave Korea is because they hold more global identity than any other generations before. Although the national community that combines globalism and nationalism calls for a single national identity, they do not agree with that logic. Because they value the space where freedom is permissible and multiple values are respected. In that sense, what they seek is not a specific 'community' with a single purpose and ideology, but 'urban publicness'. The future is not desperate if a young generation with a global identity can find new urban publicity on the global scale and the possibility of a new urban community based on this. 이 글은 2010년대에 발표된 장강명의 두 작품 『표백』과 『한국이 싫어서』를 중심으로 현재 한국 청년세대의 감정공동체의 특징을 살피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두 작품 모두 현재 한국사회에 대한 분노와 혐오, 냉소를 보여준다는특징이 있다. 『표백』이 ‘공적 영역’의 박탈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면 『한국이싫어서』는 개인의 존엄을 문제의 중심을 두고있다. 그러나 이 양자는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공공성이 강화될수록 개인의 자유는오히려 더 커지기 때문이다. 두 작품의 차이는 해결방안에 있다. 『표백』의 세연이 ‘자살’을 통해 사회에 대한 분노를 세상에 대한 혐오로 전환시켰다면 『한국이 싫어서』의 계나는 혐오에서 ‘의지’로 전환하기 때문이다. 한국사회에 대한 혐오로 탈한국을 시도한 계나가 ‘행복을 추구하겠다’며 호주로 ‘귀국’하는 장면은 그녀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이 두 작품은 청년들의 감정공동체를 통해 현재 한국사회에 대한 청년세대의 인식이 어떤 수준에서 전개되고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동시에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이들은 한국의 국가공동체가 여전히 자신의 국민들을 국가의 명예와 존속을 위해 존재하는 자들로 취급하는 데 분노하고 이와 같은 현실을 변혁시킬 수없다는데 좌절하며자신의 존엄을 지키기 위해 냉소하고 혐오한다. 냉소와 혐오는 혐오스러운 것과 동질화 될 수 없으므로 나는 그것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있고 싶다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죽음과 이주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멀리 벗어나고자 하였다. 결국 문제는 생존 자체가 아니라 사람답게 사는 것, 사람됨의 조건을 찾아가는 것이 된다. 한국의 청년들이 탈한국을 결심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이들이 그 어느 세대보다도 글로벌한 정체성의 소유자들이라는 데 있다. 글로벌리즘과 내셔널리즘이 결합된 국민공동체가 단일한 국민적 정체성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들은 그 논리에 동의하지 않는다. 이들은 복수의 가치가 존중되고 그들에게 자유가허용되는 공간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들이 추구하는 것은 단일한 목적과 이념을 원리로 하는 특정의 ‘공동체’가 아니라 ‘공공성’이다. 글로벌한 정체성을 갖고 있는 청년세대가 글로벌 차원에서 새로운 도시적 공공성, 이를 원리로 하는 새로운 도시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면 미래가 꼭절망적이지만은 않을 것이다.

      • KCI등재

        <工學글쓰기>의 새로운 位相定立을 위한 考察

        이양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8 No.3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new model about <Engineering Writing> which is offered for engineering students. Engineering Writing is a required subject as one of the many engineering literacy subjects in College of Engineering for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Usually in College of Engineering Writing course as a communi- cation course is composed of 2 steps. The first step is ‘Basic Writing’ as a foundation subject and second step is ‘Engineering Writing’(or Science Writing, Technical Writing) as a higher level only for the students belonging to Science College and Engineering college. It is necessary to devide the students which have different abilities. In addition to the 2 step-course in writing, this paper offers a suggestion for the members of the lessons. In Engineering Writing as a second step, all the students irrelevant to major field of study must be needed to join the members of the lesson. In such a lesson students obtain various ways of thinking, writing, speaking, search- ing and presentations. It is the first merit of this model. And secondly it is efficient to educate ‘problem based learning’ that is required by all faculties of university recently. Above all it can satisfy the College of General Edu- cation which has required education with wide latitude and the College of Engineering which has required education with more technical knowledges. 본 논문은 工學認證制의 施行으로 각 大學에서 開設되고 있는 工學素養科目 중 ‘工學글쓰기’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각 대학에서는 基礎글쓰기의 다음 단계로 專攻連繫型 글쓰기를 상정하고 있으며, 공과대학에서 이에 해당하는 교과목이 ‘工學글쓰기(통칭)’이다. 그간 工學글쓰기는 技術的 글쓰기 및 科學글쓰기 중에서 학교의 사정에 맞게 選擇되어 왔다. 그러나 필자는 基礎글쓰기로 ‘技術的 글쓰기’를 深化글쓰기로 ‘工學글쓰기’를 설정하고, 旣存의 方式과 달리 ‘工學글쓰기’를 모든 專攻에 開放하는 방식을 提案한다. 이와 같은 방식의 長點은 현재 글쓰기 수업의 目標라 할 問題中心學習의 效果를 效率的으로 達成할 수 있다는 것, 敎養領域과 專攻領域이 모두 滿足할 수 있는 授業模型이 됨으로써 敎養의 多樣性과 학생들의 問題解決能力을 向上시키는 方法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김광주 소설에 나타난 탈경계의 의미-1930년대 상하이 체험을 중심으로

        이양숙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7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ransnational aspect of Kwang-ju Kim’s novels in the 1930s and to examine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the transnational subject in the era of imperialist globalization. Previous studies have been proceeding in two major directions. One is the tendency of research to evaluate his works from the point of view of extensio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is case, Kim is regarded as a writer who shows a type of ‘Shanghai Diaspora’ and a disillusionment of Shanghai's duality and pseudo-revolutionaries, a writer who has expressed his strong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his nostalgia for his homeland. The other is the studies emphasizing the locality (urbanity) of Shanghai while criticizing the existing researches to be overly ideological or political. In this case, the double-sidedness of the international city Shanghai is superimposed on the works, and Kim, Kwang-ju's novels remain in the texts showing the hybridity and diversity of the city of Shanghai. This paper focuses on Kim, Kwang-ju's literary character, which was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previous researches that was attempted in the direction of nationalism or de-nationalism, but was overlooked in their research. In the 1930s Kim, Kwang-ju's novels were directed to the Joseon society and the Koreans in Shanghai, but in his works 'Joseon / Korean' did’t function as a positive sign of national independence or national character. It is an interesting point that they could not completely escape the framework of the Koreans in that they were Koreans and use Korean language, but they had some kind of opacity that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single ethnic frame of Korea. If the globalization of modern society is positively driven by transnational actors and networks, transnational actors of Kim, Kwang-ju's novels were the heroes who had to face the nation and the transnational reality only by the power of the individual without the horizons of the nation/state. His works dealt with the way human beings were thrown into the transnational contexts and the various human conditions they pursued. In that sense, the meaning of his works contain a point comparable to today's reality. 이 글에서는 1930년대 김광주 소설의 트랜스내셔널한 특징을 살핌으로써 제국주의적 세계화 시대의 초민족적 주체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를 천착해보고자 한다. 김광주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하나는 한국 근대문학의 외연확장이라는 관점에서 그의 작품을 평가하는 연구 경향이다. 이 경우 김광주는 ‘상하이 디아스포라’의 한 유형을 보여주는 작가로서 상하이의 이중성, 사이비 혁명가들에 대한 환멸을 그린 작가로 평가되거나 중국 근대 민족주의 문예운동에 관심을 가지면서 고국에 대한 그리움과 유랑민의 삶을 통해 강한 민족의식을 형상화한 문인으로 평가된다. 다른 하나는 기존 연구가 지나치게 이념적/정치적 성격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상하이라는 지역성(도시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다. 이 경우 국제도시 상하이의 양면성이 작품에 중첩되어 김광주 소설은 상하이라는 도시의 혼종성과 다양성을 보여주는 텍스트에 머물게 된다. 이 글에서는 민족주의 혹은 탈민족주의의 방향에서 시도되었던 김광주 연구의 성과에 기초하면서도 이들의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김광주 문학의 특징에 주목하고자 한다. 1930년대 김광주의 문학세계는 상하이의 조선인 사회와 조선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그의 작품에서 ‘조선/인’은 민족의 독립이나 민족적 특징을 드러내는 적극적 기표로 기능하지 않는다. 이들이 조선인이며 조선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조선민족의 틀을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지만 조선이라는 단일 민족의 프레임으로 설명될 수 없는 일종의 불투명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흥미로운 지점이다. 현대사회의 세계화가 초국가적 행위자와 네트워크에 의해 적극적으로 추동된 것이라면 김광주 소설의 초국가적 행위자들은 민족과 국가의 지평이 보이지 않고 오로지 개인의 힘으로 초민족, 초국가적 현실을 감당해야 했던 주인공들이다. 그의 작품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초민족/국가라는 상황에 내던져진 인간들의 생존방식과 이들이 추구하는 다양한 인간조건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현실과 비교될 만한 지점을 담고 있다.

      • KCI등재

        인지학습을 위한 가상환경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초등학생 인지학습을 중심으로 -

        이양숙,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 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미래세대인 어린이의 교육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코로나 사태 발발 이후 출생한 영유아의 인지능력 측정 점수가 이전과 대비해 현저히 낮아졌으며, 사회적 발달이 활발해지는 학령기 어린이에게서도 학력 저하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초학력 신장을 위한 제도가 시행 중이지만 전담교사제에 의존하기에는 중하위권 학생 비율이 크게 늘어난 상황이다. 따라서 공교육에서 기초학력에 이르기 위한 조건으로서 인지학습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공교육 영역의 초등학생을 위한 인지학습 프로그램으로서 가상환경의 활용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하여 인지학습의 개념, 인지학습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에 대해 고찰하고 게임기반의 인지학습과 인지학습을 위한 교육 플랫폼을 분석한다. 이후 초등과정의 인지학습을 위한 가상환경에 대하여 메타버스 유형별 사례를 검토한 후, 인지학습 프로그램으로서 가상환경 구축을 위한 전제 조건 및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거울세계, 라이프로깅 세계, 가상세계, 증강현실 세계의 메타버스 유형에서의 인지학습 환경 조건들을 탐색하였다. 이후, 어린이들을 위한 가상환경 활용의 이점과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상환경 체험 기반 학습 프로그램 조건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존 인지학습 DB를 공간화하여 현실세계의 확장, 또는 가상세계에서의 연습을 통해 입체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이 3차원 공간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가능한 게임형식의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AI 기반의 진단 및 데이터 분석으로 사용자 맞춤형 개별학습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범용성 높은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으로 공교육 영역에서 인지학습 추진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 참여를 통한 모니터링과 학습가이드로 원활한 학습 운영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학생들의 접근성을 고려해 사용에 있어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의 고려가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연구를 통한 결론 및 제언은 첫째, 공공영역의 각 인지학습 영역 및 수준별 DB를 체험 가능한 가상환경으로 전환하고 게임화해야 한다. 둘째, 진단, 평가, 피드백, 수업 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수 학생 맞춤형 수업을 위한 AI 프로그래밍이 필요하다. 셋째, 공교육 영역에서 장기적이고 반복적 학습을 운용하기 위하여 전담인력, 프로그램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도 함께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지학습 학생들의 접근성을 고려해 범용 플랫폼 및 기기를 활용한 접근이 선행되어야 하며 몰임형 기술 특성에 따른 단계적 활용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교육에서 학령기 어린이들의 인지학습 역량 제고를 위한 기반이 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