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작문 영역 성취기준 상세화 방안

        이재승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2

        This study addresses the question of from what perspective(benchmark) to extract and arrange theachievement criteria that occupy the core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current methodlists performance criteria, making it difficult to explain how they can contribute in the context ofwriting in real life. For example,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ich achievement criteria work here whenpreparing essay writing for college entrance exams. Therefore, they are learning by listing individualachievement criteria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exactly why they should betaught. Even if you look at the actual textbooks, each of the achievement criteria is listed as anactivity. These achievement criteria do not properly explain how they connect and contribute to asingle piece of writing.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first consider the question of how toextract individual achievement criteria and how to link these individual achievement criteria. Withregard to the issue of extracting individual achievement criteria, the article suggests clarifying thenature of the achievement criteria, refining the elements contained in the achievement criteria, andclarifying statements to reduce ambiguity. With respect to the linkage of achievement criteria, it isproposed to greatly expand the number and scope of achievement criteria, to secure continuityamong achievement criteria, to establish the concepts of common and individual achievementcriteria, and to link performance criteria around the genre. They can be executed individually orconnected to each other. 본 연구는 이 글은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영역 성취기준들을 상세화 하는 작업을 통해 현행성취기준의 특성이나 제시 방식을 이해하고 이 과정에서 문제점을 찾음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성취기준을 상세화 하는 목적은 여러 가지이다. 교육과정이 바뀌면 교과서를 만들게 되는데, 교과서 개발자들은 개별 성취기준이 포함하고 있는 의미를 명료히 하여단원이나 차시에 배정하기 위해 상세화 작업을 한다. 교사나 평가자들 역시 개별 수업이나 평가의 범위나 수준을 정하기 위해 개별 성취기준을 상세화 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개별 성취기준의 상세화가 교과서 개발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도 있지만, 향후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설정할 때 시사점을 얻는 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2015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별 성취기준을비판적으로 분석해 보면서 교육과정 개선에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성취기준 상세화를 위해서는크게 세 영역으로 나누었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을 나눌 때 적용되는 것으로, 지식, 기능, 태도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성취기준을 상세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지식 영역에서는 지식 영역을 구성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나누어야 한다고 보았다. 기능 영역의 경우에는 성취기준의 포함 요소,학습 요소의 범위 설정, 학습 요소의 수준 설정 등에 따라 나눌 수 있다고 보았다. 태도 영역의 경우에는 해당 성취기준에 포함되는 요소를 분석하여 그 포함 요소를 중심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바탕으로 향후 성취기준 상세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단일한 성취기준 항목을 설정할 것과 성취기준의 층위 설정, 성취기준의 범위나 수준 설정, 성취기준의 포함 요소 선정 등을 제시했다.

      • KCI등재

        전투체계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환경에서의 비동기 이중화 기법 연구

        이재승,류존하,Lee, Jae-Sung,Ryu, Jon-Ha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7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0 No.2

        In a naval combat system, the information processing node is a key functional equipment and performs major combat management functions including control sensor and weapon systems. Therefore, a failure of one of the node causes fatal impacts on overall combat system capability. There were many methodologies to enhance system availability by reducing the impact of system failure like a fault tolerant method. This paper proposes a fault tolerant mechanism for information processing node using a replication algorithm with hardware duplication. The mechanism is designed as a generic algorithm and does not require any special hardware. Therefore all applications in combat system can use this functionality. The asynchronous characteristic of this mechanism provides the capability to adapt this algorithm to the module which has low performance hardware.

      • KCI등재

        Predictors of Pulmonary Function Response to Treatment with Salmeterol/fluticason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이재승,허진원,채은진,서준범,나승원,이지현,김은경,이영경,김태형,김우진,이진화,이상민,이상엽,임성용,신태림,윤호일,신승수,오연목,이상도 대한의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6 No.3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a heterogeneous disease and responses to therapies are highly variab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pulmonary function response to 3 months of treatment with salmeterol/fluticasone in patients with COPD. A total of 127 patients with stable COPD from the Korean Obstructive Lung Disease (KOLD) Cohort, which were prospectively recruited from June 2005 to September 2009,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rediction models for the FEV1, FVC and IC/TLC changes after 3 months of treatment with salmeterol/fluticasone were constructed by using multiple,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prediction model for the FEV1change after 3 months of treatment included wheezing history, pre-bronchodilator FEV1, post-bronchodilator FEV1 change and emphysema extent on CT (R = 0.578). The prediction models for the FVC change after 3 months of treatment included prebronchodilator FVC, post-bronchodilator FVC change (R = 0.533), and those of IC/TLC change after 3 months of treatment did pre-bronchodilator IC/TLC and postbronchodilator FEV1 change (R = 0.401). Wheezing history, pre-bronchodilator pulmonary function, bronchodilator responsiveness, and emphysema extent may be used for predicting the pulmonary function response to 3 months of treatment with salmeterol/fluticasone in patients with COPD.

      • KCI등재
      • 읽기 기초 학력 평가의 중요성과 방향

        이재승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3 한국어문교육 Vol.12 No.-

        그 동안 읽기 기초 학력을 신장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노력만큼의 결실을 가져왔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이렇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기초 학력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타당한 기준이나 도구의 부족, 그리고 이들을 치유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나 프로그램의 개발 부족, 행·재정적인 지원의 부족 등이 큰 몫을 했을 것이다. 이 중에서 성취 기준이나 평가 도구 측면에서 살펴보면, 부진 학생을 선별해 내기 위한 객관적인 기준이나 도구가 없으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부진을 보이는 학생이나 학부모가 그 결과에 대해 쉽게 동의하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에서는 학생들 중에서 국가 수준의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어떻게 이들을 도와주어야 하는지 등에 대해 계획을 세우기 어렵게 된다. 교육청 단위나 국가 단위에서 학생들의 기초 학력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된다. 이 글은 국가 수준의 읽기 기초 학력 평가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이것이 나아갈 방향을 설정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읽기 기초 학력의 개념과 범위, 그리고 성취 기준을 설정고자 한다. 그럼 다음 실제 평가 문항을 작성하고 평가를 실시하는 것과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