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불교 수륙재의 변용 고찰-세부 의식을 중심으로-

        이성운 국립민속박물관 2018 민속학연구 Vol.0 No.42

        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has been performed in Korean Buddhism since the 12 th century based upon the same ritual oration (儀文) which changed over time. Examining the ritual orations reveals they newly compiled and summed up slowly changing into realistic ones for today. However, from the study of chapter Ⅱ, we can see that its purpose remains unchanged even though the style of practice has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situations. From Chapter III, we determined that Suryukjae in Korean Buddhism as currently practiced, always includes Woonsoosangdan (雲水上壇, the upper alter for the cloud and water) and praying to Avalokiteśvara (Gwaneumcheong, 觀音請). The new rituals are organized to include Daeryeong (對靈, the rite of calling the soul in), Siryeon (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in Yeongsanjakbeop (靈山作法, the rule of conduct for Vulture Peak ritual) and Daesochangbul (大小唱佛, hailing Buddhas in large or small group) in Sinjungjakbeop (神衆作法, the rule of conduct for the ritual for pantheon).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situation in which the rituals are held is looked upon as important while the meaning has changed, particularly due to the 'getting wind of something and taking action in advance (見機而作)' which is extensively used in Korean Buddhist rituals. This variation is typified in both complete or partial rituals, the indistinction of the rites for byeongong (變供, changing the offerings), chanting only the ritual oration(儀文). In the end, it is clear that the purpose of Suryukjae has not been changed in Korean Buddhism but that the ritual ceremony was modified through time to reflect the circumstances. The ritual ceremony was either replaced or was reorganized. 12세기부터는 현재와 같은 수륙재 의문(儀文)을 바탕으로 한국불교 수륙재가 설행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한국불교 수륙재에는 적지 않은 변용이 발견된다. 의문을 톺아보면, 새롭게 편찬되거나 요점이 정리되는 등 현실에 적합한 의문으로 변용되어 현재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수륙재의 설행 양태는 상황이라는 인연을 따라 변용되었지만 그 목적은 불변하고 있음을 Ⅱ장에서 알 수 있었다. 또, 현재 한국불교 수륙재에서 설행되는 운수상단(雲水上壇)의 보입(補入)과 관음청의 보완 등 상보(相補)되거나, <영산작법>의 대령(對靈)과 시련(侍輦), 신중작법(神衆作法)의 대소창불(大小唱佛) 등의 의식이 새로 편성되었음을 Ⅲ장에서 확인하였다. 아울러 의례설행 상황의 중시, 의미의 전화(轉化)를 알 수 있었는데, 한국불교의례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견기이작(見機而作)으로 말미암아 변용이 적지 않음을 Ⅳ장에서 알 수 있었다. 의식의 광략(廣略), 변공의식(變供儀式) 차이의 무화(無化), 실제 의식을 사전에 설치하고 의문만을 염송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결국 한국불교 수륙재는 목적은 불변하나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인연 따라 의례의식이 보완되거나 새롭게 편제되면서 변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영산재의 구조와 설행 및 사상과 인식

        이성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7

        영산재의 구조와 설행 및 사상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영산재를 성립 기와 변용기로 분류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영산재’ 성립기의 의문에는, 순수한 법석 의문인 「작법절차」(14 96)와 제반문의 <공양문>과 <영산작법>의 두 종류로 나눠진다. 전자는 도량엄정 이후 5종의 거불이 등장하며 이후 당해 경전을 염송하고 축원 을 하며, 후자는 17세기 중엽부터 등장하는 <영산작법>으로 법석 가운데 법화법석의 거불만이 남아 있고, 명칭도 작법절차에서 <영산작법>으로 칭해지고 있다. 둘째, 변용기의 영산재는, 『작법귀감』(1826)에서 볼 수 있듯이 법석보다 공양의식에 초점이 주어져 있는데, <영산작법>에 시왕각배가 더해진 의식에 ‘영산재’라는 명칭이 부여되고 있다. 의문대로 영산재가 설행되지 못하고 있는데, 그것은 국가무형문화재로서의 성격상 문화적인 요소 위주로 설행되어지게 되면서 일어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영산재에는 중유사상, 공덕사상, 윤회 전생사상, 조선숭배사상, 법화경 경중왕사상 등 법화경 사상이 지배하고 있다. 도량이나 시련에 대 한 이해가 다르고, 영산재가 법석의 경전염송이 중심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경우도 잘 찾아지지 않으며, 영산재가 사십구재 의식이라는 사실조차 역사 속에서나 증언되고 있다고 보인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structure, practice, thoughts and perception of Yeongasnjae(靈山齊, Vulture Peak ritual) with the discussion developed by categorizing it as the formation period and the transformation period. Firstly, there are two types of the ritual oration(儀文) during its establishment : Jakbeob jeolcha(作法節次, the procedure for the rules of practice)(1496) which is the pure ritual oration of Beopseok(法席, Dharma seat), and Gongyangmun(供養文, the ritual program for offering) and Yeongasnjakbeop(靈山作法, the rule of practice for Vulture Peak ritual) which are Jebanmun(諸般文, the outline of Buddhist Rituals). In the former, five kinds of Geobul(擧佛, bowing and calling the name of Buddha in front of the Buddha statues) appear after cleaning and decorating Practice hall and afterwards, they chant its relevant scriptures and pray. The latter is Yeongasnjakbeop, which has appeared since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nd only Geobul of Beophwa beopseok remains and the name was also changed from Jakbeob jeolcha to Yeongasnjakbeop. Secondly, Yeongasnjae in its transformation period, as seen in Jakbeobkwigam (The example of the rules of practice)(1826), is more focused on the offering rituals rather than Beopseok. The name of Youngsanjae is given to the ceremony in which Siwang gakbae(十王各拜, one type of the rites for The ten kings of hell) was added to Yeongasnjakbeop. Youngsanjae isn’t practiced in accord ance with the ritual oration, but it is said to be because that it is practiced mainly on cultural aspect due to its nature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irdly, Yeongsanjae mainly contains the ideas of antarrābhava( 中有, the intermediate existence), the Virtue(Guna), the reincarnation and the ancestral worship, and the idea that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法華經, The Lotus Sutra) is the King of all sutras and the idea of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There ar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Practice hall and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There are few cases in which they understands and accepts that the essence of Youngsanjae is the chanting of the Buddhist scriptures, and even the fact that Yeongsanjae is Sasibgugae(四十九齋, the ritual for the deceased in forty ninth day) seems to have been testified only in history.

      • KCI등재후보

        외상성 경추부 불안정성에 대한 Caspar Plate 경추전방골유합술

        이성운,길승배,장연규,이상열 대한신경외과학회 2004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5 No.3

        Objective : In these retrospective studies, the authors report an evaluation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cervical spine injury who underwent anterior cervical fusion with Caspar Plating system. Methods : The authors studied 45 patients with unstable cervical spine after trauma between July 1996 and December 2001. Our series consist of 39 male and 6 female. The cervical spine injury was most common in men in fourth decade. Motor vehicle accidents were a frequent cause of cervical spine injury. Thirty-three patients had fractures with instablity, ten a ligamental injury without fracture, one traumatic hernated disc. Lateral cervical spine X-rays were reviewed for evaluation of fusion and instrumentation failure. Results : In most cases, operation for stabilization was done around one weeks after trauma. In all patients excellent immediate postoperative stability of the spine was obtained, although posterior fusion was necessary at same time in one patient. Solid fusion was achieved in all except two patients who died during the first 2 months after the operation. Three patients developed instrumentation related failure(6.7%) : Two patients had screw loosening, one infection. Two of these patients underwent reoperation. The most dreaded complication of dural or cord penetration by drilling or screw placement was not observed. There was no postoperative neurological disturbances. Four patients died of causes unrelated to operation : Two patients died of upper gasterointestinal bleeding, and the other two died of pneumonia and sepsis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aspar plating system affords an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the fusion rate with acceptable instrumentaton-related morbidity in cervical spine injury.

      • KCI등재

        『법화경』과 불교의 의례문화 - 寺刹 所藏 法華經의 意味와 關聯하여 -

        이성운,민경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2 불교문예연구 Vol.- No.19

        한국의 사찰에는 전통이 오래되었든 그렇지 않든 경판이나 책자가 전해지고 있으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책자의 하나가 경중왕(經中王)으로 신앙 되는 『법화경』이라고 할 수 있다. 『법화경』의 ‘수지(受持)ㆍ독송(讀經)ㆍ송경(誦經)ㆍ해설(解說)ㆍ서사(書寫)의 오종법사(五種法事) 사상은 불교의 전통 의례 문화를 산출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수지하여 독송하고 송경하며 해설하고 서사하는 신앙 문화는 한국불교의 법석의례(法席儀禮)로서 17세기 중엽을 지나면서 영산작법(靈山作法)→영산재(靈山齋)라는 독특한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무형문화로 발전하였다. 영산재는 망자의 칠칠재(七七齋)를 위해 『법화경』을 독송하고 명부의 시왕(十王)에게 권공하는 의례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혼령을 모시는 시련(侍輦)의식, 혼령을 맞이하여 법문하는 대령(對靈)의식, 혼령을 목욕하는 관욕(灌浴)의식, 저승돈을 만드는 조전(造錢)의식, 옹호도량(擁護道場)를 청하는 신중작법(神衆作法)의식, 괘불탱화를 모시는 괘불이운(掛佛移運)의식, 영산작법의식, 재승(齋僧)의 식당작법(食堂作法)의식, 명부권공(冥府勸供)의식, 혼령에게 제사를 올리는 관음시식(觀音施食)을, 끝으로 봉송(奉送)의식 순서로 진행된다. 영산재에는 전통의 소리인 범패와 신업공양(身業供養)이라는 작법무(作法舞)가 동반된다. 한국의 사찰에 『법화경』이 소장 전승되고 있다고 하는 것은 오종법사를 봉행하고, 아울러 세계 인류의 無形遺産인 영산재와 같은 전통의 불교문화를 설행(設行)하기 위해서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전통 작법과 수륙의문의 내용과 활용

        이성운,이규봉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2 불교 철학 Vol.11 No.-

        이 글은 15세기 말 부여 무량사에서 간행된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에 의거한 전통 ‘수륙재’와 그와 동시에 행해지는 전통 ‘작법절차’를 재 현하거나 복원하기 위해, 1496년 학조 스님이 번역한 『작법절』와 합 편해서 역해한 『전통작법수륙의문』의 해제를 겸해 작성한 글이다. 한국불교의 수륙재는 중국 水陸儀文에서 요점을 뽑아 편집한 儀文에, 疏文·歌詠 등이 추가된 의문으로 설행한다. 또 경전을 염송하는 법석 의례도 그렇다. 서론에서는 施食儀禮의 성립을 정리하여 불교 수륙재 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본론에서는 『결수문』과 『작법절 』의 개요를 정리하고, 두 의문에 의거한 의례의 형태와 의미, 재회에 서의 활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의례는 시대 상황에 따라 세부 의식이 추가되거나 생략된다. 전통의 법석이나 수륙재를 재현하거나 복원하려는 목적은, 의례의 과거 회귀 가 아니라, 새 시대에 적합한 의례를 창안해 보급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려면 전통의 법석과 수륙의문에 담긴 바른 의미를 찾아의문과 의례에 반영해 수륙재를 설행해야 수륙재가 최상의 불사로 거 듭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진호사찰 청련사 시ㆍ공간에서 펼쳐지는 전통의례문화

        이성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8 불교문예연구 Vol.0 No.11

        본 논문은 신라 흥덕왕 때에 서울 왕십리 남산 산록에 안정사로 창건되었고, 조선 초기 무학대사에 의해 중창된 이후 진호사찰로 자리매김 된 이래, 중창을 거듭하다가 2010년 경기도 양주 개명산으로 이건한 청련사의 시 공간에서 펼쳐지는 불교의 전통의례문화를 살핀 글이다. 먼저 첫째 장에서는 시대와 지역을 지배하는 문화의 의미와 전통문화이자 문화전통인 불교의례에는 전통문화의 가치가 담겨 있고 문화전통의 보고라는 전제 아래 말글을 연다. 둘째 장에서는 역사적으로 한국사찰의 건립 배경이 되는 사상을 알아 보았는데, 호국만다라 사상과 산천비보사상에 입각하여 비보사찰로 건립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장에서 다룬 내용은 안정사(安靜寺)로 창건되었 고 중창되면서 東靑蓮ㆍ西白蓮의 호국 만다라와 진호사찰로서 청련사가 지정 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넷째 장에서는 청련사(안정사)의 역사 속에 남겨진 당우 및 전해진 전적들을 바탕으로 청련사에서 행해진 전통불교의례를 살펴 보았으며, 마지막 장에서는 양주로 이건해온 청련사의 전통문화의 전승 양상을 범패 중심으로 살펴보며, 새로 이주한 양주에서 전개되는 전통의례가 어떻게 문화전통의 역사를 잇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짚어 보았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Buddhist traditional rituals of Cheongryeon-sa (temple) which during the reign of King Heungdeok of Sila Dynasty was Anjeongsa on Mt. Nam located in Wangsim-ri, Seoul but was later rebuilt by Seon master Muhak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rebuilt again and again and then moved to Mt. Gaemyeong in Yangju, gyeonggi-do (province) in C.E 2010. The first Chapter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the Buddhist rituals contain and are a rich repository of traditional culture while discussing the meaning of the culture that dominated that time and region. The history of construction of the Korean temple is studied in the second chapter. it is determined that Cheongryeon-sa was built as a complementing temple based on the idea of Mandala for protecting the country and the thought of reinforcing river and mountain. The third chapter argues that this temple was designated as a protecting temple and Mandala for protecting the country of Eastern blue lotus and Western white lotus. The forth chapter examines in detail the Buddhist traditional rituals which where performed within this temple based upon the Dangu (the buildings of a temple) and its records and books. Lastly, its transmission aspects of the traditional culture after the relocation to Yangju is considered, focusing on Beompae (the Buddhist music). Here it is discussed how the history of the traditional culture wasinheritetedandthism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