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성향에 관한 기존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이한웅,엄기열 한국지역언론학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ual appropriateness of the use of the term 'regionalism' and the methodological validity of the content analysis in previous researches done by communication scholars who have argued that regionalistic reporting of the local daily press has instigated, or at least has contributed to, regional antagonistic feeling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se researches have relied solely on the negative aspect of the term regionalism although the concept of regionalism has a positive and dynamic element in that it gives a social and historical identity to the constituents of a particular region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the basic foundation on which the local economy and grass roots democracy can flourished.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rough which these previous researches have drawn their conclusion was problematic because the analytical period of their research mostly coincides with the volatile times of the local or the presidential elections and also because mostly the headlines, not the whole contents, of the local press reports were analyzed. In identifying serious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regionalistic reporting tendency of the local press, this study has chosen three examplary researches that claimed that they identified regionalistic reporting tendencies of the local press. This study has also identified that previous researches, including M.A. theses and Ph. D. dissertations, have failed to consider the positive role of the local press in the region both economically and socio-politically. Also on the methodological level, these researches have not had comprehensive categories for data analysis that often require categories for implied meaning of particular words or phrases in news reports as well as in opinionated columns. 본 논문은 기존의 언론학자들이 지역언론 특히 지역일간지들이 지역이기주의와 지역패권주의 등 부정적 의미에서의 지역주의적 보도를 양산하고 있다는 논문을 1990년대 초에 발표한 원로급 언론학자 3명의 논문을 검토하여 이러한 기존 연구의 지역주의에 대한 개념의 편협성 및 방법적 한계성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지역주의의 기원에 대한 논의 및 고착화 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검토와 아울러 지역주의라는 개념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차원의 의미 또한 엄밀히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지역주의에 대한 이러한 담론 및 의미 분석을 토대로 본 논문은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에 관한 기존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지역언론의 현실에 대한 인식부족은 물론 지역주의의 개념의 편협성과 내용분석기법의 한계 및 일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지역언론이 현재 잘못된 관행의 타파 및 재정적 안정의 확보 등의 다양한 문제를 극복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지만 지역언론은 기존 연구자들의 시각처럼 부정적인 의미의 지역주의를 양산하는 존재만은 아니며 오히려 지역사회의 원동력으로서 지방자치제의 성공적인 정착의 필수매체이자 지역발전의 구심점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향후 연구자들이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태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지역주의에 대한 중층적 의미의 개념을 이해하고 보다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공중위생관리법 개정안의 쟁점 및 대안

        이한웅,문흥안,김영훈,임정미,김금란,장순남,임양이,이운현,이명희,김효연,심재숙,서상미,이유미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4

        이 연구는 제18대 국회 전반기 동안에 제안된 공중위생관리법 개정법률안들과 미용업법 제정법률안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쟁점 및 대안을 검토함으로써 바람직한 개정방안을 강구하여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미용업을 규율하는 법률로는 「공중위생관리법」이 있다. 이 법률은 공중이 이용하는 영업과 시설의 위생관리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위생수준을 향상시켜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적용하는 공중위생영업의 한 분야로 미용업이 포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법률 중 미용업과 관련된 조항의 개정은 이 분야에 관한 정책의 변화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미용학계 및 산업계의 관심을 집중시키기에 부족함이 없다. 아울러 제18대 국회에서 새로운 개정안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이 법률의 개정법률안은 모두 16건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 미용과 관련된 개정안은 모두 10건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다 독립법인 「미용업법안」까지 포함하면 모두 11건의 개정 또는 제정법률안들이 제안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들 개정법률안에서 제기된 쟁점들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안으로 바람직한 개정방향을 이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suggest better and more desirable amendments to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Amendment Bills, and the Cosmetology Act Bill, which have been dealt in the 18th National Assembly, and to give further consideration for these issues and seek other possible alternatives within these bills.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Amendment Bills were thoroughly investigated to suggest desirable ways of amendment as below:Firstly,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 Institute for Cosmetologists is deemed as necessary. Like other advanced countries, a legislation setting the standard of curriculum, facilities and teachers, which the education institute should prepare, should be enacted. Secondly, the careful consideration over the introduction of Cosmetologist License System is necessary. It should also be considered that the current system without examination has no problem legally and that there are some positive effects from this system. Thirdly, for an improvement in setting the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of cosmetologist licenses, a structural comparison should be preceded to review issues such as mental patients’ choice of jobs, the value in the guaranteed freedom of business, and the value in people’s safety. Fourth, for the industry advancement, the abolition of the unnecessary clauses in the regulation on cosmetology is necessary. The system of dual punishment should be abolished completely, and the introduction of system of closing down authority is timely. Fifth, the plan for rigid enforcement of regulations over prostitution business and the improvement for penalty systems are appropriate. The reinforcement of penalty for people, and their business, who does business without notice is meaningful in the way that it protects the essential values of the licensing system. Sixth, it is desirable to enact an independent law under the name cosmetology.

      • KCI등재

        네일미용사 면허제도화 방안

        이한웅,정혜성,김미원,임양이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1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9 No.1

        This study has a purpose of offering a nail technician licensing system and a method for it's realization. We surveyed and analysed the nail technician licensing systems of other countries and reviewed the related materials and laws. Also we collected data through internet about other countries' situations. The beauty licensing system was introduced by law in 1961, in Korea. The skin care licensing system, which is a branch of the beauty licensing system, was introduced in 2007. We have potential to expand to a nail technician licensing system as a next step. No matter what, the nail beauty sector is growing as an independent area, but a law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for nail technician licensing systems in Korea. Therefore, this is the main factor that has prevented development of the nail beauty industry in Korea. This study proposes that a nail technician licensing system should be introduced in Korea, because it is an area of public health which takes care of the human body. And we are proposing a realization method and implementation in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네일미용사 면허제도에 관한 외국의 사례와 한국의 네일미용 관련 단체들이 실시하고 있는 민간자격증의 현황을 분석 비교하여 고찰함으로써 네일미용사 면허의 필요성과 네일미용사 면허제도 신설 방법론을 제시함에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및 국내외 관련법령, 그리고 외국 관련기관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검색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국의 미용사 면허제도는 1961년 제정된 「이용사 및 미용사법」에 의하여 처음 제도화되었으며, 단일 종목으로 존재하던 미용사 면허가 2007년 4월 5일 전문분야의 한 갈래인 피부미용사 제도가 신설되면서 네일미용사 면허의 가능성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네일 미용업이 독립된 하나의 분야로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네일미용사 제도화는 아직도 입법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네일미용산업 발전을 지체시키는 핵심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네일미용이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위생분야 직업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면허제도로 존치되어야 한다는 당위성과 더불어 이를 정책에 반영하게 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론을 이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 韓國 美容師免許制度 改善方案에 대한 小考

        이한웅 대한피부미용학회 2003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1 No.1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with the current cosmetologist's licensing system in Korea. Based on the study's results, I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ystem as follows: First, a person who issues cosmetologist's licenses should be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Second, the system should be changed to a unified system under which all would-be cosmetologists obtain licenses through a licensing exam. Third, the “licensing without an exam” clause should be abolished. Four, the cosmetologist's license exams should be administered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ho deals with hairdressing affairs. Fifth, application qualifications for cosmetologist's license exams should be limited to those who completed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That is because hairdressing needs requires specialized technique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Korea's hairdressing is now as advanced as that of developed countries, the above mentioned proposals should be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policy as ways to enhance public confidence in the cosmetologist's licens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icensing system.

      • KCI등재후보

        미용사 면허제도 한․일 비교

        이한웅,이유미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flaws of the Korean Cosmetologist License System by comparing it to that of Japan and analyzing the data, and to provide the alternatives that can supplement those flaws. The Korean Cosmetologist License System was first established through the Barber and Cosmetologist Act in 1961. On the other hand, in Japan, Cosmetologist Act was established in 1957, and this Act was separated from the Barber and Cosmetologist Act of Japan of 1947.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three points: Cosmetology Education System, Cosmetologist Examination System, and the licensure process and effect. First, Japan has legal standards for the Cosmetology Education System, while Korea does not. On the other hand, in Korea, one can receive the Cosmetologist license after completing the requirements, while in Japan, one only becomes qualified to apply for the Cosmetology test. Second, Japan has the Cosmetologist Examination System, while Korea does not. In Korea, there is only the National Technique Examination System that gives qualification to receive the Cosmetologist License. Third, in Korea, only those with Cosmetologist License have rights to open the cosmetology businesses unlike Japan. However, systems in both countries approve only cosmetologists to do the cosmetology service.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미용사 면허제도에 관하여 비교 분석하여 고찰함으로써 한국 정책의 미비점을 발견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의 미용사 면허제도는 1961년 제정된 「이용사 및 미용사법」에 의하여 처음 제도화되었다. 반면에 일본의 경우는 우리보다 앞선 1957년에 「미용사법(美容師法)」이 제정되었으며, 이 법률은 이 보다 앞선 1947년에 제정된 「이용사 및 미용사법(理容師美容師法)」에서 분리되어 입법된 것이었다. 이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쟁점을 다루었다. 미용 교육제도, 미용사 선발제도, 그리고 미용사 면허절차 및 효과에 관한 쟁점이 그것이다. 첫째, 미용 교육제도에서 일본은 법으로 정한 기준을 두고 있으나, 한국은 그렇지 않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미용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미용사면허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일본의 경우는 미용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될 뿐이다. 둘째, 일본은 미용사 면허시험제도를 두고 있으나, 한국은 그렇지 않다. 다만 한국은 미용사 면허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제도를 두고 있다. 셋째, 한국은 미용사 면허를 받은 자들에게만 독점적으로 미용업을 개설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있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 그러나 미용의 업무를 미용사에게만 독점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는 두 나라가 동일하다.

      • KCI등재후보

        미용업 개설제도에 관한 연구

        이한웅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4

        In Korea, several establishment systems such as permit system, report system, and notification system were applied. After many changes, the current Public Health Control Act adopted the principle of report. Only licensed cosmetologists have the right to establish beauty salons. A license issued pursuant to Public Health Control Act shall authorize the operation of the establishment only at the location for which the certificate of completion of report is issued. Operation of the establishment at any other location shall be unlawful. Some argue that this provision is an entry barrier. Those in favor of the abolition of this provision demand that the law would be fixed so that any individual without the cosmetology license will be able to open a beauty salon. However, in Korea, the number of beauty salons is oversupplied, and the owners of the beauty salons are usually small-scale businessmen. Therefore, instead of canceling the entry barrier altogether, we should promote the law should change the policy to protect the owners. This is the reason why we should maintain the regulation. The purposes of this essay are to argue the validity of the current regulation based on the needs of the times and provide the problems with the legislation policy about the cosmetology establishment systems and the reform measures. 우리나라에서는 미용업 개설제도로 허가제, 신고제, 통보제 등이 운용된 바 있다. 이러한 다양한 변화를 거쳐 현행 「공중위생관리법」은 신고제를 채택하고 있다. 미용업 영업소는 면허를 받은 미용사에게만 그 개설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져 있다. 「공중위생관리법」의 규정에 따라 받은 면허는 영업신고가 되어 있는 장소에서만 유효하며, 다른 장소에서의 영업적인 사용은 불법이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규정이 진입장벽이라는 주장이 있다. 법률을 개정하여 미용사 면허를 받지 않은 개인들이나 법인도 미용실을 개설할 수 있도록 허용하자는 것이 규제 폐지론자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전체 미용업 영업소 수는 공급과잉상태에 놓여 있으며, 미용업 영업소의 영업자는 대체적으로 영세자영업자들이다. 따라서 진입규제 폐지론 보다는 영세자영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적 차원에서 규제 존치론이 긍정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현행 제도가 시대적 요구에 따르는 타당성이 무엇인지를 밝힘과 동시에 미용업 개설제도와 관련한 입법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