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안유출수의 해안침해사례에 관한 연구

        조원철,이홍식 中央大學校 建設環境硏究所 1994 環境科學硏究 Vol.5 No.-

        해안공장에서부터 약 16km 떨어진 연안에 설치된 유출수 확산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공장유출수가 해류와 바람등의 영향으로 유출지점 남서쪽에 위치한 한 특정해안에 침해하는 경로를 유속계에서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하여 Lagrangian기법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로 공장유출수 확산파이프 주변의 해류분포는 공장유출수를 남서쪽으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유출수의 이동분포는 연안방향 남북쪽으로 길게 걸쳐 있음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현장에서 관측된 실험의 결과와 유사함을 보여주고 있다. A quantitative study that predicts the far field movement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ocean outfalls is conducted. The method is Lagrangian and directly uses the data obtained from spatially distributed, continuously recording current meters. From the analysis it is observed that current fluctuations produce the effluent moving southwestward, at which the beach impingement is expected, and the results show s good agrement with those of field observations.

      • KCI등재

        심인성 조루증의 성치료 : 실제 치료과정을 중심으로 A Practical Aspect of Therapeutic Process

        이홍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8 신경정신의학 Vol.27 No.5

        The author reported nine sessions of sex therapy in a 37 year old married male with psychogenic premature ejaculation. Also, the tasks and contents of treatment in each session were presented. This treatment format was a modified structured couple sex therapy emphasizing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The author discussed the techniques of therapy as well as the mechanisms of therapeutic effects. The summary of treatment procedures were as follows : 1) Requested an active participation of female partner and prohibited the sexual intercourse until therapist allowed it. 2) Explained a historical background and successful rate of sex therapy, and therapeutic goal in order to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 of sexual tasks in the session. 3) Conducted the scheduled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the corrected understanding and knowlege of sex related with premature ejaculation in every sessions. 4) Tried to practice sensate focus exercise for ehnancing the sexual communication of the couple and reducing the anxiety of sexual performance. 5) Had him learn a premonitory sensation with stop-start training to enhance a ejaculatory ability. 6) Every sessions were preceeded according to a structured schedule of treatment format.

      • KCI등재

        한영사전의 사전학적 고찰 : 『민중 엣센스 한영사전』을 중심으로

        이홍식 한국어학회 2009 한국어학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 korean English dictionary named Minjung Essence Korean-English Dictionary The dictionary is a productive and electronic dictionary for English learners The macro structure of the dictionary was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papa dictionary The micro structure consists of Korean entry English words or phrases and example sentences in Korean and English Entries consist words suffixes and grammatical elements Derivatives and compounds are listed under their roots Learrers may consult the dictionary to And English expressions correspording to Korean word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exact English words because it usually presents more than one English words for a Korean word Furthermore Learners may have difficulty making constructions by consulting it because i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syntactic information for the English word However, it is easier to look up words in this electronic dictionary than in paper dictionaries Nevertheless It needs more improvement for searching.

      • KCI등재

        만성 췌장염의 내시경치료

        이홍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5

        만성 췌장염의 치료에서 최근 술기와 부속기구의 발전으로 내시경 치료를 널리 시행하고 있다. 만성 췌장염으로 인한 복통은 주로 췌관의 협착 및 췌석에 의하여 췌관 내 압력상승이 원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내시경을 이용한 췌석의 제거 및 배액관 삽관을 통한 협착 치료는 복통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내시경 초음파의 발달과 함께 가성낭종의 배액, 내시경적 복강신경 차단술 등으로 치료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만성 췌장염의 증상 및 합병증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만성 췌장염 내시경 치료의 적응증, 시술방법, 합병증 및 외과적 치료와의 비교 성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Endoscopic treatments are being increasingly used for chronic pancreatitis. The most common indications for endoscopic treatment are pancreatic duct stones (requiring removal) and pancreatic duct stricture (requiring stenting). Endoscopic treatment is also widely indicated for drainage of pseudocyst and ceiliac plexus block/neurolysis. In this review, I discuss techniques, efficacy and complications of various endoscopic treatments for chronic pancreatitis.

      • KCI등재

        智異山의 仙界 표상과 표상화 방식 연구

        이홍식,박은정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4 N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and method on how to make Jirisan symbols as Sun world(仙界), to trace projected intentions and desires of literary noblemen(士大夫文人) in those symbol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used discussion with Jirisan Usangi(智異山 遊山記: travelogue of Jirisan) as the main text of analysis.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next study on symbol and semantic process and method in Usangi. This study made it clear that the symbols of Sun world on Jirisan has long been made by travelers of Jirisan represented as masters and younger scholars of Yeongnam Sarim(嶺南士林: they were scholars in certain area of Korea). Despite the fact that Jirisan has little clues as the Bangjangsan(方丈山) of Sun world, Jirisan could be established as Sun world with Yeongnam Sarim’s long belief without any doubt. Here, the intention of Yeongnam Sarim, which tried to reveal the unique position of Jirisan in the composition of Samsinsan(三神山: they are three mountains in the legend of China), was strongly affected. In addition, the common consciousness of seeking the meaning of self-exploration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ancient sages and the desire for seclusion and unworldliness was also affected. However, Jirisan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Bangjangsan, has concrete life force through continuous encounter with Choi Chiwon as a master of Confucian recalling in the present and in process of realizing Cheonghakdong(which is a village in Jirisan). The other subjects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at this time were the monks who lived in the main temples of Jirisan, such as Sinheungsa and Ssanggyesa. They carried out the predecessor work of Jirisan in the same way that they made Geumgangsan(Mt. Geumgang) to Buddha land(佛國土). The travelers’ experience of living places enhanced by the monks is contributing to making Samsinsan(Bangjangsan) as not the reality in abstraction but the existing Sun world in the reality. And through this, Jirisan has be transformed into a living pl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Sun world because Sinseons(神仙: kind of immortal) exist in Jirisan. This is difficult to identify at Geumgangsan or Hallasan, which can call the results and meaning of symbolization Jirisan to Sun world by YeongnamSarim such as Josic and his younger scholars. 본고는 지리산의 선계로서의 표상이 조선시대에 어떻게 강화되었는지 그 구체적인 방식을 천착하고, 그 속에 투영되어 있는 사대부 문인들의 의도와 욕망을 추적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오랫동안 지리산 관련 정보가 집적되어 있어 지리산의 표상과 표상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인, 역대 지리산 遊山記를 주된 분석텍스트로 삼아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지리산의 선계 표상이 嶺南士林의 종장과 그 후학들로 대표되는 지리산 유산객들에 의해 강화되었음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지리산이 仙界의 方丈山인 근거가 매우 희박함에도 불구하고, 영남사림은 이를 오랫동안 의심 없이 받아들여 의미화함으로써 지리산을 선계로 표상화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여기에는 三神山의 구도 속에서 지리산의 독보적 위치를 드러내려 했던 영남사림의 의도와 욕망이 강하게 작용하였다. 더하여 선현들과의 동일시를 통해 자기 유람의 의미를 찾으려 했던 공통의 의식과 은일과 탈속을 지향했던 욕망 또한 함께 작용하였다. 다만 방장산으로 자리매김 된 지리산은 최치원을 비롯한 儒仙을 현재에 소환하여 지속적으로 만나고 靑鶴을 끌어들여 靑鶴洞을 실재화하는 방식을 통해 구체적인 생명력을 갖게 된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또 다른 주체는 바로 신흥사와 쌍계사 등 지리산 주요 사찰에 기거했던 스님들이었다. 이들은 금강산을 불국토로 만들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리산의 선계화 작업에 참여하였다. 스님들을 통해 강화된 청학동을 비롯한 洞天에서의 살아 있는 장소체험은 삼신산(방장산)을 관념 속 실재가 아니라 현실에 실존하는 선계로 만드는 데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리산은 실제로 신선이 살고 있어 구체적인 선계 체험이 가능한 살아 있는 장소로 바뀌게 된다. 이는 다른 삼신산으로 거론되는 금강산이나 한라산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점으로, 조식 이하 영남사림들이 지리산을 선계로 표상화한 결과이자 그 의미라 할 만하다.

      • KCI등재

        산업연관구조를 이용한 동북아 분업구조 분석

        이홍식,강준구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8 No.3

        The paper analyzes the trade structures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Using Input-Output analysis, we examine the trade structure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Despite the considerable attention economists have given to trade structures among North Asian countries,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trade structure of these countries. This gap is an important shortcoming in the research, since investigating the trade structure opens up crucial ques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ll this gap in the research and provide a framework for the empirical study of trade structure among Northeast Asian countries. However, this study should be interpreted with a caution due to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our estimate is derived from the Asian Input-Output tables, whereas the Korean trade structure related to the world. Second, we could not investigate more detailed pathways of the trade structure. The remaining issues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동북아 3국 간에 구축되어 있는 무역 및 분업 구조의 현황과 변화 양상을 세밀하게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할 것인가를 파악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의 무역 및 분업 구조에 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나 동북아 3국의 무역 및 분업 구조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기존 대부분의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산업 내 무역(intra-industry trade)에 대한 연구는 국가간 분업구조의 변화 양상과 주요 요인을 파악하는 데에는 매우 유용한 분석방법이지만, 국가간 분업구조의 구체적인 연계 메커니즘을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향후 분업구조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전망하는 데에는 많은 제한사항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SIAN 국제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한·미·중·일 4개국의 산업연관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제조업의 산업별 생산연관 차원에서 동북아지역 상호간 분업구조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수원박물관 소장 『충정공일기(忠定公日記)』의 자료적 가치 탐색-계해반정(癸亥反正) 이후 이귀(李貴)의 인물 표상과 연계하여

        이홍식 국제언어문학회 2022 國際言語文學 Vol.- No.53

        The newly discovered The Diary of ChungjeongGong(possession of the Suwon Museum) is a book of Yi Gwi's descendants organizing data related to Yi Gwi by year and date. Since it mainly deals with information from 1623 to 1626, there is a limit to discussing the entire life of Yi Gwi. However, there is a lot of useful information to check Yi Gwi's political actions and attitudes from the time of Gyehae Banjeong(癸亥反正) to the time of Jeongmyo Horan(丁卯胡亂).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were extracted by comparing it with other data dealing with the entire life of Yi Gwi. An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at way, we tried to find the data value of this book. In particular, the meaning was revealed by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Yi Gwi's character.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is book was worthwhile as a material that newly established the representation of Yi Gwi's new character and supplemented the gaps in Yi Gwi's life and related historical record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good text to grasp the political structure centered on Yi Gwi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to grasp the important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issues of the time. However, as this paper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 of Yi Gwi's character and focused on the material value, the meaning of this book could not be discussed very deeply on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early 17th year of age. As only the possibility was shown through some data analysis, follow-up research is expected. 수원박물관 소장 충정공일기는 이귀(李貴, 1557~1633)의 후손이이귀와 관련된 자료를 연월일(年月日) 별로 정리한 책이다. 1623년부터 1626년까지의 정보를 주로 다루고 있어 이귀의 생애 전반을 논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계해반정(癸亥反正) 이후부터 정묘호란 전까지이귀의 정치적 행보와 태도 등을 확인하기에 유용한 정보가 많이 실려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충정공장소․묵재일기(규)․묵재일기 등 이귀의 삶 전반을 다룬 다른 자료들과 비교하여 충정공일기만의 특징을추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충정공일기의 자료적 가치를 찾고자 하였다. 특히 이귀의 인물 표상과 연계하여, 충정공일기에서 이귀의 인물됨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살펴서 그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충정공일기는 이귀의 인물 표상을 새로이 구축하고, 이귀의 삶과 그와 관련된 역사 기록의 빈틈을 보충하는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17세기 초반 이귀를 중심으로 한 서인의 정치 구도를 파악하고, 인성군의 처리 문제에서부터 호패와 양전과 군적 충원 등 당시의 중요한 정치 ․ 사회 ․ 군사의현안들을 파악하기에도 좋은 텍스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본고에서는 이귀의 인물 표상에 초점을 맞추어 자료적 가치를천착하는 데 집중한 만큼, 17세 초반 정치 구도 위에서 충정공일기 가 가질 수 있는 의미는 그리 깊이 논하지 못하였다. 일부 자료 분석을통해 그 가능성만 보였을 뿐인 만큼, 이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