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산림공간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의 연구- 새로운 산림공간정보기반(FSDI) 모델의 도입 -

        이영진 한국지적정보학회 201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0 No.3

        In this study, the unified system of the forest land data management and the national geoSspatial information policies were reviewed, and the new NSDI strategy as proposed by Lee(2014) was applied and extended to the public-private sharing data. Then it was suggested with new concept of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FSDI) model that can be added to forest digital map on spatial core data. The new institutional model of KFS(Korea Forest Service) is improving localization and reinforcing cooperation system within agencies, Government 3.0 can be feasible according to common data related to regional forest services and local government’s data vertically or horizontally. It also can be the unified system to integrate and link all the map and the register data which are managed by the laws and institutions, as a common data can include all spatial core data(digital map). 본 연구에서는 산림공간데이터 관리시스템과 국가공간정보정책을 검토하고 국내외 흐름을 반영하여 산림분야에 이영진(2014)에서 제시한 새로운 개념의 NSDI 모델을 적용하고 공공-민간 데이터의 공유데이터를 확장하여, 새로운 산림공간정보기반(FSDI) 모델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개념의 NSDI를 적용한 산림청기관모델에서는 기본공간정보 부문을 모든 활용부문의 공통기반으로 하고 산림데이터를 재편성하는 모델이며, 공통기반 데이터를 통하여 산림청 소속기관 및 지방정부 데이터를 수직적 또는 수평적으로 연계하여정부3.0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합관리시스템에서는 법령 또는 관리기관에 따라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모든 도면과 공부를 공통기반(수치지도)과 통합, 연계할 수 있는 전략모델이다.

      • KCI우수등재

        국내 간호윤리 교육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이영진,유소영,김미영,노원정,유미,정유미 간호행정학회 2022 간호행정학회지 Vol.2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생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간호윤리 교육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한 후 효과적인 간호윤리 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연구방법: 자료검색은 2020년 7월 시행하였으며, 국내⋅외 학술지 게재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외 주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어 조합을 사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출판년도는 최근 10년간 (2010-2020년)으로 제한하였다. 연구결과: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실험연구 25편, 비실험연구 13편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교육방법은 강의, 토론, 상황극, 간호윤리와 관련된 영화 활용 수업, 액션러닝, 사례기반 학습 등 다양하였다. 12편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윤리교육은 생명의료윤리의식, 비판적 사고성향,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민감성에서 유의한 효과크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한 하위그룹 분석 결과, 생명윤리의식은 강의 및 토론과 함께 타교수법을 혼용한 연구와 강의 및 토론만 제공한 연구가 효과크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학생 및 간호사를 위한 윤리교육은 윤리와 관련된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강의 및 토론 이외의 다양한 교수방법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새로 확인된 『현관장엄론』 게송사본과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현관장엄론』 주석서 콜로폰

        이영진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현관장엄론�� 주석서사본을 기반으로 한 문헌학적 작업의 일환이다. 이 주석서에는 현재 네팔과 티벳에서 보존된 두 종류의 산스크리트사본이 이용가능한데, 이 논문은 2014년에 북경대학에서 소수의 전공자들에게 접근을 허용한 티벳사본에 근거한 최초의 작업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둘 수 있다. 논문의 내용은 크게 둘로 나뉜다. 첫째는 필자가 새로 확인한 ��현관장엄론�� 게송사본에 대한 보고이다.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네팔사본(NGMPP A 37/09: 야자나무잎에 갈고리형 네와리로 쓰임)에는 ��현관장엄론�� 게송을 필사한 세 폴리오가 97․99․100번째 폴리오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하리바드라의 주석서 사본(NGMPP A 35/12)에는 주석서 앞에 ��현관장엄론�� 게송 아홉 폴리오가 첨가되어 있다. 후자는 원래 갈고리형 네와리로 야자나무잎에 쓴 다섯 폴리오에 결락된 부분을 보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데바나가리로 종이에 쓴 폴리오를 잇거나 첨가한 사본이다. 필자는 각각 다른 사본으로 흩어져 있던 이 두 종류의 야자나무잎 ��현관장엄론�� 게송 사본을 비교한 결과, 원래 하나의 사본이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몇몇 전거를 들어 이 게송사본이 원래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주석서사본과 한 묶음이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둘째는 아리야 비묵띠세나 주석서의 네팔사본과 티벳사본의 마지막 콜로폰에 관한 연구이다. 필자는 우선 이 콜로폰을 전사(轉寫), 편집, 번역한 후 다음의 두 사실을 밝혔다. 1. 네팔사본과 티벳사본 모두 동시대라고 할 수 있는 12세기에 필사되었다. 네팔사본은 콜로폰에 다르마팔라 왕 재위 32년(1108~1113년)에 필사되었다는 정확한 정보가 기입되어 있다. 티벳사본은 필사연대에 관한 부분이 결락되었지만, 다르마팔라 왕 재위 30년에 ��현관장엄론��의 주석서를 쓴 아바야까라굽타의 제자인 슈바까라굽타가 보시한 사본이라는 점에서 네팔사본보다는 약간 늦지만 동시대라고 할 수 있는 12세기 초에 필사되었다고 결론지었다. 2. 콜로폰과 제명(題名)이 나타나 있는 첫 번째 폴리오의 앞면을 통해서 보자면, 마이트레야나타(미륵)의 저술로 전해지는 ��현관장엄론�� 게송이 아리야 비묵띠세나의 저술일 가능성이 있다. 필자는 콜로폰 이외에도 티벳역과 새로 확인된 게송사본의 자료 등을 통해 ��현관장엄론�� 게송의 저자 귀속에 관하여 1)아리야 비묵띠세나 2)작자 미상 3)마이트레야나타의 세 가지 흐름이 있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This paper is a philological study on two extant Sanskrit manuscripts of Ārya-Vimuktiṣeṇa’s commentary, commonly called Abhisamayālaṅkāravṛtti. The contents of this article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a newly identified Nepalese manuscript of the Abhisamayālaṅkārakārikā, and research on the colophon of the two manuscripts preserved in Nepal and Tibet. This paper is notable for being the first study of based on the Tibetan manuscript, which was displayed to a small group of experts at Beijing University in 2014. Inside the Nepalese manuscript (NGMPP A 37/09) written in Nevārī script with hooked top, three folios are mistakenly inserted whose contents are in fact the Kārikās. In another Nepalese manuscript, NGMPP A 35/12, the first nine folios identified as a manuscript of the Abhisamayālaṅkārakārikā are also added to Haribhadra’s commentary. Among the nine folios, only five folios are written in the hooked Nevārī script. I find these eight folios in the Nevārī script originally constituted one and the same manuscript of the Abhisamayālaṅkārakārikā, which was placed before Ārya-Vimuktiṣeṇa's commentary text in the original manuscript. Second, I point out two discoveries about the colophon of the manuscripts in Nepal and Tibet, 1) The two manuscripts were both written in the early 12th century. The Nepalese manuscript is dated to the 32nd year of the king Dharmapāla (r. 1108-1113), while the part of the colophon that states the exact date of the manuscript in the Tibetan manuscript is missing. But given that the latter manuscript was a religious gift from Śubhākaragupta, a student of Abhayākaragupta who composed the Munimatālaṅkāra in the 30th year of the king Dharmapāla, it is clear that the two manuscripts were contemporary. 2) According to the colophon, Ārya-Vimuktiṣeṇa’s commentary is called Abhisamayālaṅkāraśāstra, which is the same with the title of the Kārikās traditionally ascribed to Maitreyanātha. In the recto of the first folio (1r) of the newly identified manuscript, the text consisting of the Kārikās alone is titled “a commentary on the Prajñāpāramitā by Ācārya-Vimuktisena.” These facts indicate the possibility that Ārya-Vimuktiṣeṇa himself composed the Kārikās that is believed to be a work of Maitreyanātha. Consulting other materials such as the Tibetan translation of the Abhisamayālaṅkārakārikā from the end of 11th century, I also make reference to thre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authorship of the Kārikās: Maitreyanātha, Ārya-Vimuktiṣeṇa, and an anonymous author.

      • KCI등재
      • KCI등재

        『현관장엄론』 1-2게송에 대한 하리바드라의 부자연스러운 해석과 경전을 주석하는 방법론

        이영진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2 No.-

        The first two verses of Abhisamayālaṅkāraprajñāpāramitopadeśaśāstra are known to be an explanation of commencement of this treatise supposedly by Maitreya(nātha). Haribhadra’s gloss on these verses in which he adopted the methodology of Śāstrārambha established between commentators of Dharmakīrti’s works seems to be a forced interpretation not following the author’s original idea. For example, differently from these verses where two kinds of purpose of this commentary are described respectively, Haribhadra seems to have interpreted the first and the half of second verse (2ab) as telling the final purpose of this treatise together with relation (sambandha) and subject matter (abhidheya), and the remaining half of second verse (2cd) as mentioning the purpose. By doing this, he appears to have changed the object of practice (pratipatti) from ten kinds of action with regard to teachings (daśātmikā dharmacaryā) into the path consisting of the knowledge of all aspects. Moreover, he interpreted the ten kinds of action strangely as ten perfections (pāramitā) based on the resolve to become a Buddha and lowered its status to something that practitioners should memorize. In this modification or forced interpretation, there presumably lies a Haribhadra’s concept of final purpose (prayojanasya prayojana) that must not be too obvious and not be shared with other texts. By changing the object of practice, he seems to have been able to defend that by studying Abhisamayālaṅkāraprajñāpāramitopadeśaśāstra, a commentary of Prajñāpāramitāsūtra(s), one can step into the right road to attain Buddhahood.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I tried to point out while commenting Prajñāpāramitāsūtra in Abhisamayālaṅkārālokā, Haribhadra has adopted not only the methodology of Śāstrārambha but also the methodology of five aspects of glossing Sūtras designed by Vasubandhu in Vyākhyāyukti. The former consists of relation, subject-matter, purpose, and final purpose, and the latter is composed of purpose (prayojana), overall contents (piṇḍārtha), sense of words (padārtha), sequence (anusandhi), and objections and responses (codyaparihāra). Haribhadra have related the method of Śāstrāmbha to the purpose of Vasubandhu’s method. That is to say, Haribhadra replaced the purpose of Vasubandhu's methology with relation, subject-matter, purpose, and final purpose. But this combination does not seem to be his own idea based on the fact Kamalaśīla, probably his elder colleague, had combined these two methods too.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현관장엄론 제 1과 2게송에 대한 본래 게송의 의도와는 다른 부자연스러운 해석을 하고 있는 하리바드라의 주석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의도 하에 그와 같이 주석하였는가를 밝혔다. 현관장엄론 1과 2의 게송은 각각 하나의 저술목적을 밝히고 있는데 반하여 하리바드라는 1-2ab에서 최종적인 목적을 중심으로 한 관계와 주제를 2cd에서 목적을 기술하고 있다고 주석한다. 이러한 주석의 핵심은 실천해야만 할 대상을 서사, 공양으로 시작하는 ‘가르침에 관한 10종류의 실천(法行)’에서 ‘일체의 측면을 아는 지혜로 구성된 길’로 바꾸는 것이다. 이러한 부자연스러운 해석에는 다른 문헌에서 알려지지 않은 것을 최종적인 목적으로 기술해야만 한다는 하리바드라의 의도가 숨겨져 있다. 두 번째는 하리바드라가 반야경을 주석하면서 사용한 두 가지 방법론에 대하여 지적하였다. 논서를 주석하면서 그 논서의 관계‧주제‧목적‧최종적인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는 것은 다르마끼르띠 이후의 인식논리학의 전통인데, 하리바드라는 이를 반야경이라는 경전의 주석에도 도입하고 있다. 그리고 하리바드라는 이 방법론을 『석궤론』의 경전을 주석하는 다섯 측면, 즉 목적‧ 총체적인 내용‧ 단어들의 의미‧ 결합‧ 힐난과 응답 중 첫 번째 ‘목적’에 배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하리바드라는 논서의 시작과 경전을 주석하는 다섯 측면을 결합하여 반야경을 주석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