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olyistotic Fibrous Dysplasia 1例 : Report of a Case

        이승기,김덕정,김영조,김학현 최신의학사 1971 最新醫學 Vol.14 No.3

        A case of the polyostotic polymeric fibrous dysplasia was reported with review of literatures which involved the both maxillary sinusese, mandibls, and left femur, humerus, ulna and all the metacarpals. Homogenous intramedullary bone graft was done for the treatment of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in this case.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장애인복지인프라 개편 모의적용사업에 대한 고찰 :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이승기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0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1

        2007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장애인복지인프라 개편 사업의 주요 목적은 장애인복지 전달체계를 장애인 당사자 중심적 체계로 전환하여 장애인에 대한 종합적인 사정체계 구축 및 이에 기초한 서비스 제공, 연계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 구축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다양한 모형이 개발되어 2008년과 2009년 2차례에 걸쳐 모의적용 사업이 진행되었다. 모의적용 사업 결과 장애인 중심적 전달체계 구축의 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었으나, 이를 우리사회에 실제로 구축하는 방안에 대하여는 합의를 보지 못하고 아직 논의가 진행 중인 상태이다. 현실 상황에 대한 다각적인 진단을 통해 전달체계 구축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대안을 탐색해 보았다. Simulation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ent service delivery system for disabled people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08. Its purpose is to establish a new system which make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disabled people such as medical situation, work capacity and needs for services, so that they can use necessary benefits and services for them. It means that the current system, which was organized for the convenience of service providers, will be changed into one oriented for disabled people as customers. In order to do so, various trial models for the new system were devised and has been being simulated. Despite the simulation of devised several models, however, a new desirable system has not been yet found out. This article reviews pros and cons of employed model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system and explores an alternative model for disabled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장애등급제 폐지 논의경과 및 쟁점을 통한 대안 고찰

        이승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alternatives through th analysis of recent discussions and issues of the abolition of degree of disabilities. Regarding to the analysis of discussions, it investigates origination and background of the issues using a method of process analysis. It also analyses the agreements which was made up in 2013 by Task Force established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issues were 4 subjects; 1) complete abolition of the degree of disabilities 2) comprehensive assessment system for income support 3) new setting up of reduction and exemption of expens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4) assessment tool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types. Discussions of the issues, however, made a faint response and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was only results of the Task Force. Thus, this article says it needs to make new discussions to abolish degree of disabilities in terms of government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Otherwis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attain the abolition of degree of disabilities by 2017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장애등급제 폐지의 논의 경과 및 쟁점 분석을 통해 장애등급제 폐지 이후의 대안적 체계를 모색하는 것이다. 장애등급제 폐지의 논의 경과에 대해서는 과정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장애등급제와 관련된 이슈의 생성과 배경에 대해 순차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쟁점에 대해서는 2013년 장애등급제 폐지논의를 위해 보건복지부 내에 설치되었던 장애판정체계기획단의 합의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쟁점은 크게 4가지로 파악되었다. 첫 번째는 장애등급제 폐지를 위한 중간단계로서 중증/경증의 단순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장애등급제 폐지를 추진하는 것, 두 번째는 소득보장을 위한 종합판정체계를 마련하는 것, 세 번째는 감면·할인제도를 정비하는 것, 네 번째는 장애영역별 특성을 반영한 인정조사표를 마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쟁점에 대한 대안적 체계에 관한 논의는 매우 미약하였으며, 대안이 마련된 것은 장애특성별 인정조사표 개발이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및 장애계 등에서 새로운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2017년 장애등급제 폐지는 매우 요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캐스팅 방법에 의해 제작한 이온성 고분자-금속복합체 액추에이터의 기계적 특성 분석

        이승기,김병목,김병규,박정호 대한전기학회 2003 전기학회논문지C Vol.52 No.3

        - IPMC(Ionic Polymer-Metal Composite) is promising candidate material for bio-related actuators mainly due to its biocompatibility and wet and soft properties. The widely used commercialized Nafion film has a few kinds of fixed thicknesses but more various film thicknesses are required for extensive applications. Especially for the enhanced force as an actuator, the thick film is essential. Various Nafion films with thickness of 0.4-1.2㎜ have been prepared by casting of liquid Nafion. Also, IPMC actuators using casted Nafion films have been fabricated and the basic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iffness, displacement and force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the optimized design of actuators for different applications.

      • 각 연산을 이용한 효과적인 범프 매핑 하드웨어 구조 설계

        이승기,박우찬,김상덕,한탁돈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0 No.11

        범프 매핑은 복잡한 모델링 과정 없이 기하 매핑을 통하여 땅콩 껍질의 돌기와 같은 객체 표면의 세밀한 부분을 표현해내는 기법이다. 그러나 이 기법은 법선 벡터 쉐이딩과 같은 상당한 복잡도를 가진 연산을 픽셀 당 처리해줘야 하므로, 이의 하드웨어 구현은 상당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극 좌표계를 이용한 새로운 범프 매핑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이는 참조 공간으로의 변환을 위한 새로운 벡터 회전 방식과 연산이 최소화된 조명 계산 방식을 갖는 구조로, 기존의 구조에 비해 범프 매핑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구조는 범프 매핑에 필요한 연산 및 하드웨어를 상당량 줄였다. Bump mapping is a technique that represents the detailed parts of the object surface, such as a perturberance of the skin of a peanut, using the geometry mapping without complex modeling. However, the hardware implementation for bump mapping is considerable, because a large amount of per pixel computation, including the normal vector shading,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bump mapping algorithm using the polar coordinate system and its hardware architecture. Compared with other existing architectures, our approach performs bump mapping effectively by using a new vector rotation method for transformation into the reference space and minimizing illumination calculation. Consequently, our proposed architecture reduce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and hardware requirements.

      • KCI등재

        개인예산제도에 관한 법률 도입 및 효과에 관한 고찰

        이승기 사회복지법제학회 2019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legislation fo a law on individual budge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individual budgets is to give cash allocated by services needed for the persons. It therefore will be possible that the persons can choose services with their control and autonomy. This characteristics will require welfare systems are to be changed for the service choice by the persons rather than provisions chosen by service provider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necessity of legislation of a law on individual budgets to make the person choose the services and suggests what will be legislated. Thus, it proposes, when the law will be introduced, four areas will be necessary : first, processes for the individual budgets, second, persons supporting individual budgets, third, public systems charging of the budgets and fourth, regulations for service providers. Along with the legislation of the law, this article presents to be revised, regarding to the abolition or comprehensive revisions of the present welfare law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efinition for disabilities, rights for the persons, establishments of national disability committee, concrete service process and service quality management. 개인예산제도는 장애인에게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서비스를 결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금액을 산정하여 장애인에게 현금으로 지급하는 제도이다. 개인예산제도는 일반적인 삶을 실현하는 다양한 영역 중에서 서비스 부문에 적용되는 것으로, 장애인이 현금을 기반으로 자율성을 가지고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개인예산제도는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체계가 서비스 공급자가 아닌 개인의 욕구와 선택에 따라 장애인 중심으로 재편되어야 함을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예산제도의 도입을 위해 「장애인개인예산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이이 필요하며, 주요 내용이 무엇인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개인예산지원에 관한 법률」을 구성할 때 핵심적으로 편재되어야 할 부분은 네 가지 영역으로 제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은 개인예산지원에 관한 절차, 두 번째 영역은 개인예산지원인에 관한 사항, 세 번째 영역은, 개인예산지원을 위한 총괄기구, 네 번째 영역은 서비스제공기관에 관한 것이다. 이외에, 「장애인개인예산지원에 관한 법률」 의 제정과 더불어, 장애인과 관련하여 장애인복지의 대표적 법률인 「장애인복지법」의 폐지 및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며, 장애정의, 장애인의 권리, 장애인위원회 신설, 서비스 절차 구체화, 서비스제공기관 개편, 서비스 품질평가 등에 대한 법적인 정비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