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의 전통적 방법과 낭독의 효과

        기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0 No.-

        The general image in reading is often recalled the process of reading a book silently in the static space. This method of reading a book is deeply related to a change in the reading culture that was created with being made the modern space like a library.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 was progressed with commonly reciting even at home as well as Seodang(書堂, village school) or Hyanggyo(鄉校, government-run provincial school) and Seowon(書院, Korean neo-Confucian academ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is a widely known fact. But there wasn't such high interest in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 through recitation. That is because of having disappeared at the moment of the speech in the sound of recitation before being developed the technology of storing sounds, and because of having been unable to actually conform this now. Owing to this, the main attention was paid to the written contents rather than to the sound itself. However, the recognition in those days relevant to reading aloud can be identified given gathering fragmentary records related to recitation and arranging those things according to the relevant phenomenon. And through these records, the perception on a reason and a method of reading aloud is highlighted clearly in comparison of a method of reading a book just with eyes. Also, it is available for finding out even a part, which had evaluated sound itself as well as the contents of a book to be read, and which had discussed about the essence of reading through the sound of reading a book. Thus,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se records, the necessity is revealed that will subdivide the cultural phenomenon and the recognition phase in reading, which was developed focusing on recit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as discussed the traditional reading method and the awareness on this centering on documents that left a trace on reading aloud. Through this, the cultural meaning in reading related to a method, which did recite traditionally, is expected to be possibly understood more closely. 독서의 일반적인 모습으로 흔히 정적인 공간에서 침묵 속에 책을 읽는 과정을 떠올린다. 이러한 책읽기의 방법은 도서관과 같은 근대적 공간이 만들어지면서 생겨난 독서 문화의 변화와 관련이 깊다. 전통적인 독서의 방법은 서당이나 향교 및 서원뿐만 아니라 집 안에서도 일반적으로 낭독하면서 진행되었다. 이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낭독을 통한 전통적인 독서의 방법에 대해서는 그리 관심이 높지 않았다. 소리를 저장하는 기술이 발전하기 이전에는 낭독의 소리가 발화되는 순간 사라져 버렸고 현재 이를 실제로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소리 자체보다는 글로 적힌 내용이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낭독과 관련된 단편적인 기록들을 모으고 관련 현상에 따라 정리하면, 낭독과 관련된 당대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기록들을 통해 눈으로만 책을 읽는 방법과 비교하여 소리내어 책을 읽는 이유와 방법에 대한 인식이 선명하게 부각된다. 또한 읽는 책의 내용뿐만 아니라 소리 자체를 평가하고 책을 읽는 소리를 통해 독서의 본질에 대해 논의했던 부분도 찾아볼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기록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낭독을 중심으로 전개된 독서의 문화적 현상과 인식의 단계를 세분화할 필요성이 드러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낭독에 대한 흔적을 남긴 문헌들을 중심으로 독서의 전통적인 방법과 이에 대한 인식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적으로 소리내어 읽던 방식과 효과를 중심으로 당시의 독서 상황에 대한 이해가 보다 면밀하게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이성계 관련 활자본 역사전기류의 양상과 특징

        기대(Lee Gi-dae)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일제강점기에는 이성계 관련 활자본 역사전기류로 3종류가 출판되었다. 출판된 작품은 〈태조대왕실기〉(회동서관), 〈조선태조대왕전〉(덕흥서림), 〈조선태조실기〉(대동성문사)이다. 조선시대에는 이성계와 관련하여 그의 생애를 전체적으로 다루기보다는 단편적 서술을 통한 일화 중심으로 기록하거나 편년사의 체재에 포함시켜 다루어 왔다. 따라서 활자본 역사전기류의 출판을 통해 이성계의 생애를 전체적으로 조감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개국 군주로서의 영웅성에 대한 이야기들이 보다 쉽게 확산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이들 작품이 모두 같은 내용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태조대왕실기〉에서는 하늘에서 정해진 이성계의 운명을 부각시키면서 초월적 존재에 의한 중화적 질서로의 재편을 기대하고 있다. 〈조선태조대왕전>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영토문제를 제기하면서 조선시대에 대한 민족적 자부심을 부각시키고 있다. 〈조선태조실기〉는 기존의 문헌 기록을 수록하고 재편하는 과정을 통해, 잊혀져가는 조선 왕실의 정통성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높이려 하였다. Three printed books were published about the historical biography of Lee Sung-gye during Japanese occupation: “Joseon Taejodaehangjeon” published by Deokheungseorim, Taejodaewangsilgi by Hoidongseogwan, and Joseon Taejosilgi by Daedongseongmunsa. No works dealt with Lee Sung-gye’s lif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publication of these books of historical biography consequently made it easier for people in general to understand Lee Sung-gye’s life and heroic qualities as a monarch who founded this dynasty. Specifically, the books on the historical biography of Lee Sung-gye served to heighten contemporary people’s national pride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there was a yearning for a new heroic figure in the books as well. The books are not the same in terms of content. In the book “Taejodaewangjeon,” Lee Sung-gye’s destiny as a king was highlighted in a hope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order by a transcendental person. In another book “Taejodaewangsilgi,” historical facts were described to heighten national pride in the Joseon era. In the third book “Joseon Taejosilgi,” existing records of literature were reorganized to boost the effect of education on the history of the Joseon era.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 사용자들 사이의 양방향 상호작용

        기대,박창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Social network games are a form of online game that maximizes social activities such as user engagement and relationships based on social network platforms such as Facebook and KakaoTalk.Traditional social network games, however, encourage gamers to promote the game by sending a one-way message to friends connected to the social network. One-way interactions, such as public relations delivery, can provide a negative experience in promoting online connections and relationships. This paper proposes a direct and indirect two-way interaction method between game users and social network users to improve user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s in social network games. To implement this method, we developed a Tetris game wi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interaction with Facebook user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posed interaction method on the intimacy and binding between SNS and SNG users. As a result, the proposed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t least 30% more effective in intimacy and relationships than the traditional inter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intimacy and homogeneity among social network game users.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의 소셜 네트워크 플렛폼을 기반으로 사용자 참여와 관계 맺기와 같은 사회적 활동을 극대화한 온라인 게임의 한 형태이다. 그러나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게임 홍보를 위하여 게임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에 연결된 친구들에게 일방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유도한다. 홍보 전달 같은 단방향 상호작용은 온라인 인맥과 유대관계 증진에 오히려 부정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사용자 참여와 관계 맺기를 증진하기 위하여 게임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 사이에 직간접적인 양방향 상호작용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페이스북 사용자와 동기 및 비동기 상호작용이 가능한 테트리스 게임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제안하는 상호작용 방법이 SNS 사용자와 SNG 사용자 사이의 친밀감과 유대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상호작용은 기존 상호작용보다 최대 30% 이상 친밀감과 유대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본 연구가 소셜 네트워크 게임 사용자들에게 친밀감과 동질성을 증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자료 발견을 통해 본 남계우(南啓宇)의 예술세계

        기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民族文化硏究 Vol.41 No.-

        본고는 새로 발견된 남계우 관련 자료를 통해, 남계우의 생애 및 예술세계에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계우는 나비를 잘 그린 화가로만 알려져 있던 인물이다. 그러나 필자가 후손가를 찾아가 관련 자료를 살펴본 결과, 화가이자 시인이었고 문학비평가이며 전각에도 능했던 인물로, 예술가적 면모를 두루 갖추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남계우는 자신의 예술적 재능을 통해, 다양한 나비 그림을 그렸을 뿐만 아니라, 그림에 맞는 다수의 제화시를 남겼다. 또한 자신의 고향과 전원생활에 대해서는 琶潭八詠과 田園八詠이라는 八景詩를 통해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評批를 통해 古詩인 <孔雀東南飛>를 비평한 古詩批評을 남겼는데, 이 자료를 통해 19세기 조선에서의 評批 유행과 시비평의 다양한 양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남계우는 詩書畵에 고루 능했던 것을 이상으로 삼았던 조선시대 문인의 모습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고에서는 새로 발견된 각각의 자료를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기에, 이후의 연구에서 보다 심화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treatise is introducing the new material related to Nam, Gye-Woo, and the goal is to study Nam, Gye-Woo's whole Art World. Nam, Gye-Woo is famous for the artist who was drawing the butterflies very well. But, many posthumous works were discovered by my research from his descendants. That materials is showing that he was a artist, a poet and a literary critic. Moreover I realized he was a the artist who was good at seal engraving. There are around 20 butterfly works of Nam, Gye-Woo's until now, and some of them has the style of poem, which used to put a poem in beside the drawing. Nam, Gye-Woo composed the Poem <Padampalgyung> and the Poem <Jeonwonpalgyung> that he described his hometown, the Padam Area of Yongin Province. There is <Gosibipyung>, too, which was examined <Gongjakdongnambi> by him on the filed of his literary Criticism. According to these works, it is enough to evaluate that Nam, Gye-Woo described the life style of literary men who were equally good at composing a poem, writing and drawing during the Choson Dynasty period. That's why studying on the material connected to him need to begin in earnest.

      • KCI등재

        국내 체류 중국인 유학생의 미디어 이용에 관한 Q 분석

        기대,김희주,김선남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4 주관성연구 Vol.0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categorize the types of motivations for media use by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found th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used the media for different purpose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3 types: healing, overcoming homesickness, and learning the local language and culture. Those in Type 1 perceived the media as a space for healing. The students in Type 1 passed the time by using the media when they were bored, had nothing else to do, or wanted to have fun. Those in Type 2 regarded the media as a means of overcoming homesickness. They relied on the media for psychological comfort when they were lonely, felt all alone, or missed their family back home. It was noticeable that more femal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ype 2. Those in Type 3 perceived the media as a learning tool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local culture and learn the local language. They had a desire to communicate linguistically fluently, and often used the media to learn the local language. More mal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ype 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