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색동의 이미지를 응용한 유아복 디자인 연구

        이윤주,변정현,황의숙 배화여자대학 2002 培花論叢 Vol.21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Design 2)to find out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Saekdong, 3)to perform a part of developing the children's clothes based on the traditional stripes, Saekdong. Through the documentary studies, the direction of the Korean Design and the formative part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was revealed. As an investigative studies of the content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was shown. Then children's clothes design was presented.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사례개념화 수행능력과 상담경력간의 관계

        이윤주,김계현 한국상담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4 No.2

        In the present study,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counseling experiences and the level of case conceptualization. In this study, 81 counselors were asked to perform a case conceptualization of a made-up counseling case. For the first rating, 3 professional counselors analyzed the 81 counselors' written conceptualizations using the case conceptualization list developed by Lee(2001) and suggested which elements were used in the 81 counselors' case conceptualizations. For the second rating, one professional counselor rated the level of conceptualization for each element suggested from the first rating by giving weight scores from 1 to 3. Finally, I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case conceptualization of the 81 counselors and the length of their counseling experiences. Results indicated that counselors with more counseling experiences used more elements in their case conceptualiz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length of counseling experiences and the rating score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rating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counseling experiences and the level of case conceptualization (for the 1st rating r=.51, p<.01; for the 2nd rating r=.71, p<.01). Specifically, the categories of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lient's problems' and 'counseling goals and plans' and the elements of 'problematic interpersonal area', 'negative situations and weaknesses', 'ultimate counseling goals', and 'counseling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ngth of counseling experiences. In su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ied that the length of counseling experiences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ing case conceptualization. Specifically, the more experienced counselors tend to show better performance of case conceptualization with integrated and systemic understandings of client and his/her problems and with the capability to build compatible, effective counseling goals and strategies. Thes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tend to support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studies in case conceptualiz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nd guideline for counselors and supervisors in their case conceptualization. Also, it should facilitate future study in case conceptualization in counseling. 본 연구는 상담자들의 사례개념화 수행 능력과 상담경력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이윤주(2001)의 요소목록 평정 매뉴얼로 가공한 후, 81명의 상담자가 가상사례에 대해 사례개념화한 내용을 평정매뉴얼에 기반하여 전문상담자인 3인의 평정자가 1차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2차 평정에서는 1차 평정자에 의해 각 요소별 득점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평정된 진술내용에 대해 상담심리전문가가 세 수준으로 가중점수를 부여하였다. 1차 평정에서 각 유목별로 득점 기준에 부합한 상담자의 비율을 살펴 본 결과, 경력이 높은 상담자가 전체 상담자에 비해 각 요소별로 득점기준에 부합하는 개념화를 한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 2차 평정 결과와 상담경력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상담 경력과 사례개념화 수준은 .51(1차 평정 결과와의 상관)과 .71(2차 평정 점수와의 상관)의 상관을 보였다. 유목별로는 “문제와 내담자에 대한 종합적 이해”, “상담목표 및 계획”이, 각 요소별로는 “대인관계 문제영역”, “내담자 및 문제관련 요인들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평가”, “최종목표”, “상담전략”이 상담경력과 보다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첫째, 상담경력이 높은 상담자일수록 사례개념화 수행 수준이 높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으며, 둘째, 상담 경력에 따른 수행 수준의 차이는 내담자의 대인관계 패턴을 이해하는 부분, 상담사례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터해 상담 목표를 세우는 부분에서 보다 두드러진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상담경력이 많아질수록 상담사례개념화 수행 능력도 향상된다고 하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며, 사례개념화에 있어서 상담경력에 따라 어떤 영역의 수행능력이 더 의미있게 향상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주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상담자 및 수퍼바이저들의 의견에 바탕을 둔 사례개념화 요소목록을 개발하여 이의 타당성을 검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의의를 지니며 연구 결과는 상담 및 상담자 교육의 실제와 연구에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내용기반 찬송가 검색시스템에 대한 실험적 연구 : Experimental Study

        이윤주,문성빈 문헌정보처리연구회 2003 知識處理硏究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찬송가 검색 시 찾고자 하는 노래의 제목과 가사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이용자가 기억하고 있는 선율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는 내용기반검색시스템을 구현하여 보았다. 이용자는 대개 노래의 첫 소절 혹은 후렴구를 기억하기 쉽고 또 검색 시에 이것을 질의로 사용하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첫 소절과 후렴구를 주제 멜로디로 색인하였고 자질은 선율형상(contour)을 이용하여 인접하는 두 음을 비교했을 때 하강하면 D(down), 상승하면 U(up), 반복되면 S(same)으로 표현하였다. 질의와 문헌을 여러 가지 n-gram(n-4,5,6) 방식으로 색인 하였고 근사(approximate) 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검색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 평가해 보았다. 실험결과 첫 소절로 검색하는 것 보다는 후렴구로 검색하는 것이 더 검색 성능이 좋았다. n-gram의 색인 방법에 있어 4-gram에 비하여 5, 6-gram일 때 성능이 좋았고, 질의에 포함된 색인어를 많이 갖는 문헌을 제일 상위에 올려놓는 count commons 방식의 성능이 우수하였다. People may have difficulties in retrieving hymns if they cannot remember the composer's name and titles of what they want to f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content-based hymn retrieval system using theme melodies. Because persons usually remember the melodies of the first phrase or a refrain, they were chosen as the theme melody. For indexing, Melody contour is extracted as a feature and represented by the letters U(up),D(down),S(same) by comparing adjacent notes. Queries and collections are indexed using n-gram and the performance of retrieval algorithms are compared by the approximate matching method.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s that the performance using melodies of refrains is better than using melodies of the first phrase. In addition, the performance using 5 or 6 gram is better compared to using 4 gram and the performance using 'count commons' algorism is better than using ' ukkonen measure' algorithm.

      • SCOPUSKCI등재

        자가 늑연골 이식을 이용한 소이증의 교정 : EXPERIENCE WITH 48 PATIENTS OVER A 7-YEAR PERIOD 7년간 48예의 경혐

        이택종,신영진,이윤주 大韓成形外科學會 1992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19 No.5

        Because few anatomic structures posess such geometic intricacy as the external ear, auricular reconstruction with autogenous rib cartilage grafts remains one of the greatest technical challenges for the plastic surgeon. The ideally constructed ear should be so natural that it will pass unnoticed by others when the patients expose the constructed ear. However, to make such an ideal ear would still elude us. Cartilage framework fabrications are not always satisfactory and the thicker temporal mastoid skin obscure the convolutions from time to time. Through experience with 48 patients over a 7-year period, we modified the earlier procedures for correction of the microtic ear as follows. 1. The age to begin the construction is decided by the size of the normal ear and that of the rib cartilage. 2. A piece of Y-shaped cartilage is attached to the baseplate for accintuation of the antehelix. 3. The conchal depth is formed by increasing the wall instead of excavating the floor. 4. Surplus skin is gained by removing the vestigeal cartilage remnants. 5. A part of the auricular vestige or the lobule is served for the tragus. 6. The cartilage components are assembled with nylon mattress sutures instead of wires. 7. A thorough suction is mandatory to attain skin coaptation. 8. A protected headgear is not recommended.

      • 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색동에 나타난 색채를 중심으로

        李允珠 배화여자대학 1996 培花論叢 Vol.15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to arrange the systematic method for the collection of color data, 2)to analyze the color image through Saekdong, 3)to collect the color combination which were used for in Saekdong. Through the documentary studies,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image, the harmony of colors and the systematic method of color planning were reveal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Image was the real sight which recalled the meaning. The color was separated into warm, cool, neural and each color had different image. The meaning of color combination was more than the sum of each colors. 2) Saekdo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ubject which communicated Korean image. The number of colors which used in Saekdong was few, but it revealed the gorgeous and splendor color harmony. 3) Red was the most used color. Blue, yellow, green and white were little used. 4) The strongest color tones were Vivid and Strong. 5) The strongest color combination image categories were casual, dynamics, gorgeous.

      • KCI등재후보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살생각 및 시도와 소외감 및 진로장벽의 관계

        이윤주,김경화,민하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8 청소년상담연구 Vol.1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ex and grades of students, scholarships and income of parents on alienation, career barriers, suicide thought, and suicide attempt.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lienation, career barriers, and suicide thought, suicide attempt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much alienation, career barriers influence suicide thought and attempt. For these goals, 319 high-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completed all measur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income difference and mother's scholarships difference in alienation and career barriers. And group of single mother's family had higher suicide attempt than that of both parent's family. And group of low income's family had higher alienation than middle income's family, had higher career barriers than high income's family. Second, students with more suicidal thought and suicide attempt experience had higher scores on all subscales of alienation. Third, students with more suicidal thought had higher scores on most subscales of career barriers and student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suicide attempt experience on ‘financial difficulty’ and ‘self understanding’ of career barriers.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가정의 구조적 환경, 소외감과 진로장벽이 자살생 각과 자살시도와 갖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 지역의 3개교 319명의 고 등학생에게 얻은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로는 첫째, 가정수입이 낮은 집단이 중간 정도 인 집단에 비해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며 모와의 한부모 가정인 집단이 양친부모와 함께 사는 집단에 비 해 자살시도자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수입이 낮은 집단이 중간집단에 비해 소외감을 더 크게 지각하며 고수입 집단에 비해 진로장벽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생각을 더 자주 하는 집단이 드물게 혹은 전혀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그리고 자살 시도를 해 본 집단이 해 보 지 않은 집단에 비해 소외감 점수가 높았다. 셋째, 진로장벽에서는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을 제외한 모 든 하위척도에서 자살생각을 자주 하는 집단일수록 진로장벽을 높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경 제 적 문제’와 ‘자기 이해의 부족’ 두 개 하위 척도에서 자살시도 유무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주변 사람의 죽음이 대인조력 전공분야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이윤주,조계화,이현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5 청소년상담연구 Vol.13 No.1

        The authors conducted interviews with 17 high-touch major students about effects of significant other's death through CQR. A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all students experienced negative feelings(typical; sad, variant; shocked) when significant other was died. But All students learned meanings of current or future life(typical; importance of life, variant; need of preparing death). They thought death education would contributed to fulfilled(typical), altruistic(typical), fruitful or mature(variant) life for themselves, and helping people live positive and active life(typical), acceptance of death(variant), dealing and coping with death(variant). Critical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인간은 누구나 죽는다는 죽음에 관한 기본적 명제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죽음에 대한 직면을 최대한 회피하고 죽음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삶과 분리하고 회피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죽음에 대한 불안 혹은 공포 경 향은 발달단계별로 차이를 보인다. 성인기 전체 발달단계에서 성인초기에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가장 크다 는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생각해 볼 때, 성인초기에 해당되는 대학생들의 죽음에 노출된 경험이 그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고 그들은 그 경험을 어떤 방식으로 정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대학생들에 대한 인성교육, 특 히 죽음 교육 혹은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데 의미있는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는 죽음 교육의 대상으로 보여지는 대인조력 전공분야에 속하는 간호학과, 교육학과, 사회복지학과 학생들 17명 을 대상으로 '합의에 의한 질적분석(CQR)' 방법으로 이들의 죽음 경험의 교육적 의미와 죽음 교육이 향후 그들 이 직업현장에 진출하였을 때 어떤 도움이 될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분석하였다. 대인조력 전공분야 대학생들은 주변에서 죽음을 목격한 직후 충격(5명), 슬픔(7명), 허무감(3명) 등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이들은 죽음 경험 이후, 현재 삶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9명)하게 되었거나 죽음을 준비하는 삶이 필요함을 인식(4명)하게 되었으며, 죽음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죽음에 대한 교육이 충실한 삶(7명), 보람 된 삶(6명), 완성하는 삶(5명) 등 삶을 보다 성숙되고 만족스러운 것으로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보고하였 다. 죽음 교육은 이후 이들이 직업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자신이나 주변사람의 죽음을 만나게 되는 이들에게 삶 을 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살아가도록 조력(7명)하거나 죽음을 중립적 혹은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조언(4명)할 수 있게 하고, 대처를 위한 조언과 조력(3명)을 할 수 있게 하며 인간존중 및 공감의 방식으로 접근 하는 데(3명)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 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