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경이택사의(澤寫)재배기술개발연구

        김재철,길림,홍연규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5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7 No.1

        논 雜草로서 主要 韓藥材로 쓰이는 질경이 澤瀉栽培法 究明을 위하여 海拔 300m 內外의 中山間地帶인 慶北 北部地方에서의 移植期 및 栽植密度, 花莖除去效果, 球莖의 乾燥方法 등에 대한 試驗을 實施하여 얻어진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경이 澤瀉의 ㏊당 球莖重은 移植期∼收穫期間의 日平均 氣溫이 18.5℃일때 가장 높았으며 이시기는 慶北 北部地方에서 7月 30日 前後가 되었고 栽植密度는 20×25㎝>20×35㎝>20×45㎝ 순으로 球莖重이 높았다. 2 질경이 澤瀉의 ㏊당 球莖重은 草長, 葉幅 및 葉長과 商度의 相關關係가 認定되었으나 葉數와는 相關이 낮았다. 3. 질경이 澤瀉의 株當花莖은 약 2個이었고, 結實數는 花莖當 약 12,000-20,0OO個이며, 花莖除去 結果 花莖無除去區에 비하여 85-102℃%의 球莖重 증수 結果가 있었다. 4. 질경이 澤瀉 球莖의 乾燥는 40℃로 熱風乾燥할때 乾燥期間의 短縮, 球莖內部 色澤의 不變등으로 收穫後 自然條件에 비하여 有利하였다. 5. 질경이 澤瀉의 移植前 作物栽培結果 봄배추>감자>완두의 순으로 農家所得이 높았으며 作付體系上 논담배 및 冬作物栽培도 可能하였다. To develop a method of cultivation for water plantain, a paddy weed, used for medicinal herb, the plants were grown at Sangju, middle mountains of northern kyungbuk province.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 of water plantain was around 30 July hence the average temperature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 was 18.5℃, and the best of planting density was 20×25㎝ for high yield of corm. The weight of corm had significant correlationship with plant height, leaf width and leaf length. The number of peduncle per plant was two, and a peduncle produced 12,000-20,000 of bearing fruit, while the plant removed peduncle increased corm yield by 85-102% compared with intact plant. The optimum temperature for drying without discoloration was 40℃ by hot air. Under farming system to increase farmhouse income, spring chinese cabbage grown by first crop showed higher income than potatos and cowfea, meanwhile tobacco and winter crops were also recommended to grow by first crop.

      • KCI등재

        찬물 흘려대기 논의 수온 분포에 따른 벼의 엽 전개 일수 및 주간엽수와 출수일수의 품종간 차이

        尹成浩,尹鐘善,柳吉林,朴昶基,鄭根植 韓國作物學會 1991 한국작물학회지 Vol.36 No.3

        관계수온에 따른 벼 품종들의 출수일수, 주간엽 전개 소요일수, 주간총엽수 등을 조사하여 수온과 벼 품종들의 출수특성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삼강벼 등 12개 품종을 공시하고, 찬물계속 흘려대기를 실시하여 동일 포장 내에서 수온의 차이를 둔 벼 내냉검정포에서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응과 같다. 1. 담수심을 5 cm로하여 찬물계속흘려대기를 실시할 때 관계수 정체시간은 3 시간 이었으며, 포장 내의 수온은 찬물유입구로부터 배수고를 향하여 거리가 밀어질수록 상승되었다. 대체로 기온이 높아짐에 따라 수온도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배수구 쪽의 수온은 벼의 영양생장기에는 기온보다 높았지만, 생식성장기에는 낮았다 2. 수온 상승에 따라서 주간엽의 전개속도는 빨라지는 경향이었으며, 품종별로는 복광벼, 상풍벼, YR3486-16-2 등은 민감하였으나 Janack, 밀양4002 등은 다소 둔감한 편이었다 3. 영양생장기에 비하여 생식성장기에 1엽전개 소요일수가 두드러지게 늘어난 품종은 Janack, Paro-white 등이 었 다. 4. 1엽전개 소요일수의 품종간 차이는 수온이 높았던 영양생장기보다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았던 생식성장기에 켰다 5. 수온이 비슷한 조건일 때 수온의 차이에 의한 전체 공시품종의 평균 1엽전개소요일수의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의 생육단계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수온 13℃ -23℃ 범위에서는 1℃ 상승에 따라 1.3 일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 되었다. 6. 수온에 따른 주간총엽수의 증감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수온이 상승됨에 따라 1 엽이 증가된 품종은 복광벼, 광명벼, China 988, YR3486-16 등이었고, 주간총엽수의 변화가 없었던 품종은 소백벼, Paro-white, 상풍벼, 풍산벼, 삼강벼, 밀양4002 등이었다 7. Janack 품종은 수온의 상승에 따라 주간총엽수가 증가되면서, 출수일수도 늘어났지만, 그밖의 품종들은 수온 차이에 의한 주간총엽수의 변화와는 관계없이 수온 상승에 따라 출수일수가 단축되었는데, 그 정도는 품종마다 달랐다.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ent water temperature and heading characteristics of rice (Oryza sativa L.), twelve of varieties rice were grown in a cold tolerance screening field where water temperature was controlled by continuous cold water irrigation system to test the cold tolerance of rice. When cold water was continuously irrigated with 5 cm of water depth, the water had stagnated for about three hours, and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gradually from inlet toward outlet in the experimental plot. The fluctuation of water temperature was well synchronized with that of ambient air temperature, and the water temperature near outlet became higher than the air temperature at the vegetative phase, while became lower at the reproductive phase of rice plant community. The leaf development rates on main culm increased by increased water temperature. The rice varities, Fukuhikari, Sangpungbyeo and YR3486-16-2 were more sensitive than the others in the response of leaf development to water temperature. However, Janack and Milyang 42 were comparatively less sensitive to water temperature in leaf development. Janack and Paro -white rices required longer days to develop one leaf on main culm at reproductive phase than at vegetative phase. Varietal difference in days required to develop one leaf on main culm of rice plant was more distinctive at the reproductive phase when water temperature was relatively lower than at the vegetative phase with relatively higher water temperature condition.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wth phases, vegetative and reproductive, in the response of average leaf developmental rates to water temperature under the similar air temperature condition. The estimated average days required to develop one leaf on main culm decreased by 1.3 day by 1~circC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Varietal differences in the total number of leaves on main culm depended upon the water temperature, in which the varieties such as Fukuhikari, Gwangmyeon-gbyeo, China 988, and YR3486-16-2 showed increased one leaf by increased water temperature, while Sobaekbyeo, Paro-white, Sangpungbyeo, Pungsanbyeo, Samgangbyeo, and Milyang 42 were kept at the same leaf number regardless of water temperature. However, the total leaf number on main culm and days to heading of Janack increased by increased water temperature. The other varieties showed the shortened days to heading by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with noticeable varietal differences regardless of the variation in the total number of leaves on main cu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