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비자(韓非子)』의 법(法)과 술(術)의 관계 재조명

        양순자(Yang, Soon-Ja)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한비자 정치 이론에서 법과 술은 세와 더불어 중요한 통치 도구로 알려져 왔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한비자의 법은 관료들이 일반 백성을 다스리는 성문법이고 술은 군주가 신하들을 관리하는 술수로 본다. 이런 견해는 『韓非子』 「定法」편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한비자는 그 편에서 상앙을 법의 이론가로, 신불해를 술의 주창자로 제시한다. 상앙의 법과 신불해의 술은 한비자에게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한비자 사상에서 법은 성문법이외에 군주가 관료를 등용하고 평가하는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한비자는 「유도」편에서 법을 군주가 관료들을 등용하고 평가할 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주도」와 「이병」에서는 그것의 원칙으로 형명참동을 주장한다. 형명참동은 군주가 신하가 진술한 말에 걸맞는 일을 맡겨 주고 오로지 그 일에 맞추어 성과를 요구한다. 성과가 그 일과 들어맞고 일이 그 말과 들어맞으면 상을 주고, 그렇지 않으면 벌을 내린다. 형명참동의 원칙은 상세하게 문서화되지 않았고, 공식적으로 공포(公布)화 되는 과정을 거쳐야 되는 것도 아니다. 다만, 군주가 관료들을 등용할 때 그들의 말을 듣고, 임무를 부여하고, 업적을 평가하는 원칙을 말할 뿐이다.『한비자』의 세 편, 즉 「유도」, 「주도」, 「이병」에서 보였듯이, 형명참동은 법이 관료임용과 관련되어 쓰여진 용례에서 법의 운용의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법’이라는 글자는 성문법적인 의미보다는 ‘행정술’에 가깝다. 다시 말하면 이 때 ‘법’이라는 글자를 일반적으로 해석되어지는 법조문을 갖춘 법률체계(law)로 해석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그리고 ‘술’은 두 번째 의미의 법을 잘 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방법을 뜻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한비자』의 법과 술에 대한 견해, 즉 법은 일반 백성을 다스리는 성문법인 반면에 술은 군주가 신하를 다스리는 은밀한 ‘권모술수’라는 해석은 재고되어야 한다. In Han Feizi's political theory, fa 法 and shu 術 have been known as critical governing tools along with shi 勢. Scholars have generally claimed that fa refers to written laws in order to rule the people while shu means techniques for a ruler to control ministers in Han Feizi's ideas. This view is based on the “Dingfa” chapter of the Hanfeizi where Han Feizi describes Shang Yang as a theorist of fa and Shen Buhai as a doctrinaire of shu. It has been considered that Shang Yang's fa and Shen Buhai's shu influenced Han Feizi. However, fa is related to how for a ruler to select and evaluate ministers as well as to written laws in Han Feizi's theory. For instance, Han Feizi states in “Youdu(有度)” chapter that a ruler should rest on fa in order to select and evaluate ministers. At the same time, he proposes “xingming cantong(形名參同)” as a principle, according to which the ruler assigns tasks to ministers in accordance with the words presented by them and requires accomplishm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words. If their accomplishment, task and word are matched, they should be rewarded; otherwise, they should be punished. The principle of xingming cantong is neither documented, nor publicized. It is the principle by which the ruler should follow when he listens to ministers, assigns tasks to them and assesses their accomplishments. As shown in the chapters of “Youdu”, “Zhudao” and “Erbing”, xingming cantong can be said as the principle of fa, when fa is related to employing ministers. In this case, fa means ‘administrative techniques’ rather than written laws. In other words, it is not convincing to interpret the term fa as laws with legal codes, as has been claimed. And, the term shu refers to “methods” to be used in order to put the fa into practice. Therefore, the conventional view of fa and shu in the Hanfeizi--fa is written laws for a ruler to govern the people while shu means manipulative skills for him to control ministers--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

        『역학계몽요해(易學啓蒙要解)』의 도서역학적 의의

        양순자(Soon-ja Yang) 한국동양철학회 2013 동양철학 Vol.0 No.40

        『역학계몽요해』는 조선 최초의 『역학계몽』 주석서이다. 최항은 한계희(韓繼禧)와 함께 세조의 명을 받아 많은 동료 학자들과의 공동 작업으로 『역학계몽』에 대한 문답형식의 『역학계몽요해』를 간행한다. 이 논문에서는 『역학계몽요해』를 통해서 조선 도서역의 초기 모습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세조가 『역학계몽』에 주목한 이유를 살펴보고자 하며, 『역학계몽요해』의 구성과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런 과정을 통해서 조선 도서역의 단초를 규명하고자 하고, 더 나아가 조선 역학의 성리학적 정초과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고려 말 대체적으로 학자들은 정이의 『역전』을 수용하였고, 이런 경향은 조선 초기에 이어졌다. 조선 초기의 유학자들은 정이의 유가적인 도덕적 원리와 의리역학적 해석방법론을 부분적으로 받아들여 자신의 역학 이론을 성립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세조의 『역학계몽요해』는 상수를 토대로 의리를 종합하는 주희의 역철학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역학계몽요해』는 의리역학이 주된 흐름을 차지하고 있던 조선 전기 역학사에 주희의 상수와 의리를 종합한 이론을 소개함으로써 조선 전기 도서역의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역학계몽』을 통한 주자학적 또는 성리학적 세계관의 정립은 『역학계몽요해』에서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가장 큰 요인은 세조 전 기간 동안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아직 미성숙했고, 불교가 유학보다 더 우대받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학계몽요해』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관점에서 『역학계몽』을 이해하기보다는 기존의 중국학자들의 주석에 의존하는 한계를 보인다. Yeokhakgemongyohae is the first commentary of Yeokhyakgemong in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Han Gyehee and other colleagues, Choi Hang published the Yeokhakgemongyohae by the order of King Sejo.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early Joseon studies of Diagram- Picture study of the Yijing. I examined why King Sejo had interest in the Yeokhyakgemong and discussed the structure and major feature of the work. In the process, I examined a start of the Joseon Diagram- Picture study of the Yijing and furthermore revealed how the Joseon Confucianism made the foundation. Confucianists accepted Cheng Yi's Yeokjeo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Joseon Confucianists succeeded the tradition. The early Joseon Confucianists established their own theories of the Yijing on the basis of Cheng Yi's Confucian moral principle and ethical interpretation of the Yijing in some parts. The Yeokhakgemongyohae provided a trigger for interest in Zhu Xi's theory of the Yijing, which synthesized Image- Number study of the Yijing with morality. In other words, the Yeokhakgemongyohae has a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at it introduced Zhu Xi's theory to the early Joseon academy whose main study was focused on the ethical interpretation of the Yijing. However, the Yeokhakgemongyohae could not establish its original Confucian world through the Yeokhakgemong. The biggest reason for it is that Confuciansits did not have a though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in the period of King Sejo. In addition, Buddhisim was more popular than Confucianism. The Yeokhakgemongyohae has also a limitation of relying on Chinese scholars' s interpre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Yeokhakgemong.

      • KCI등재

        유가의 喪祭禮를 통해서 본 윤리적 주체의 형성

        양순자(Soon-ja Yang) 한국동양철학회 2021 동양철학 Vol.- No.56

        일반적으로 유가의 喪祭禮는 사후 세계의 관점 또는 후손이 조상에게 복을 빌거나 親親의 종법적 질서수립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荀子의 상장례를 윤리적 주체 형성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유가 의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순자의 입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상례는 인간이 상징을 통해 감정을 승화하는 과정을 가장 잘 보여준다. 인간은 상징을 통해 가상의 세계를 만들어 부모의 시신에 대해 느끼는 친밀함과 역겨움이라는 원초적 감정을 슬픔과 존경의 감정으로 변형한다. 둘째, 순자는 부모의 죽음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은 인간답지 못하다고 보며, 더 나아가 군집 생활을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인간이 사회화된다는 것은 공동체의 규범을 익힐 뿐만 아니라 동료 인간들에 대한 “상호신체적 기억”을 쌓는 것이다. 우리가 죽은 자에게 정성을 다하는 것은 공유한 시간 동안 형성된 기억 때문이다. 그 기억을 하루아침에 배신하는 사람은 타인과의 정서적 교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 생활이 힘들다. 셋째, 인간은 제사를 통해 돌아가신 조상을 정기적으로 기억하고, 그들을 현재 우리의 삶으로 소환한다. 개인은 육체적으로 사멸하지만, 그 개인은 다른 사람의 기억 속에 살아남음으로써 불멸하게 된다. 또한 개인은 자신의 삶이 자신의 죽음을 넘어 지속된다는 것을 깨달음으로써 현재의 삶에 더욱 충실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지금 나의 행적은 살아남은 자에 의해 기억되며, 정기적으로 소환되고 평가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죽음의 凡俗化”가 광범위하게 진행되는 현대 사회에서 유가의 죽음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고 유가적 윤리 주체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general,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view Confucian funeral and memorial rituals from the viewpoint of the afterlife, or from the position of descendants wishing for blessings to their ancestors or the order for relatives. In this paper, I intend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Confucian rituals by analyzing the case of Xunzi from the perspective of forming an ethical subject. Xunzi s posi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fucian funeral ritual best shows the process of humans sublimating emotions through symbols. Humans create a virtual world through symbols and transforms the original feelings of intimacy and disgust felt about the bodies of their parents into feelings of sadness and respect. Second, Xunzi argued that people who treat their parents death carelessly are not like a human being, and further claimed that they cannot participate in a community life. According to him, being socialized means not only learning the norms of the community, but also building “mutual bodily memories” toward fellow humans. We should take care of the bodies of the dead because of our memories formed during the time we have shared with them. A person who betrays those memories overnight is not only unable to interact emotionally with others, but also has difficulties in the community. Third, humans regularly remember their deceased ancestors through memorial rituals and summon them into our present lives. An individual dies physically, but the individual becomes immortal by surviving in the memory of the living. He can also be more faithful to his present life by realizing that his life will last beyond his own death. This is because his deeds at present are remembered by those who survived, and are regularly summoned and evaluated.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s death in a situation where the secularization of death is widespread and to present a theory of the ethical subject of Confucianism.

      • KCI등재

        「외필(猥筆)」의 사상적 단초를 찾아서 - 기정진(奇正鎭)과 조성가(趙性家)의 문답을 중심으로

        양순자 ( Soon-ja Yang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3 No.-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1824-1903)는 노사 기정진의 곁에 가장 가까이 머물면서 학문적 질정을 거듭하였고, 노사가 애써 드러내지 않았던 그의 학문적 입장을 이끌어 낸 노사의 고제(高弟)이다. 노사의 이기론적 입장이 집약된 「외필(猥筆)」은 노사가 조성가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노사와 조성가의 문답을 통해서 「외필」의 철학적 단초를 찾아보고, 노사와 조성가의 이론적 차이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노사는 제자 조성가의 질문에 자극을 받아 리의 기에 대한 주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노사는 조성가와의 문답에서 처음에 태극(太極)이 동정(動靜)의 지극한 표준일 뿐만 아니라 동정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후 노사는 ‘천명(天命)’이 하늘과 주재의 의미를 겸하는 말이며 리(理)가 기(氣)의 주인임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노사가 보기에 ‘천명’은 리가 잃어버린 권한을 되돌려주는 개념이다. 결과적으로 노사는 「외필」의 첫 구절에서 ‘천명’ 이외에 동정하게 만드는 것은 없다고 단언하게 된다. 조성가는 율곡이 “기자이 비유사지(機自爾, 非有使之)”라고 말했을 뿐만 아니라 리가 음양동정의 소이연(所以然)임을 분명히 밝혔기 때문에 리의 기에 대한 주재를 충분히 드러냈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율곡의 이론을 주기(主氣)로 평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그에 반해 노사는 율곡의 “기자이”는 타는 것이 위이고 태우는 것이 아래임을 드러내주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면 형이상인 리와 형이하인 기가 ‘상하(上下)’ 관계임을 분명히 보여주지 않는다. 따라서 “기자이”라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으며 ‘소이연’과 양립할 수 없다. 노사는 율곡의 이론은 단지 유행(流行)에 관한 것이며, 유행의 측면에서 보면 율곡의 이론을 ‘주기’로 평가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생각했다. Jo Seong-ga (1824-1903) was one of Nosa's oldest disciples who stayed closest to Nosa and frequently asked him academic questions and get his academic position out, which Nosa himself had not been trying to reveal. The "Oepil," which focuses on Nosa’s theory of li-qi, was written by him to answer questions from his disciple, Jo Seong-ga. This paper seeks to find philosophical clues of the "Oepil"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them, and to show their differences regarding Neo-Confucianism. Nosa was inspired by the questions of his disciple, Jo Seong-ga, and moved toward further strengthening li’s superintendence over qi. In their conversations, Nosa first said that Taiqi is not only an ultimate standard for the movement and stop of qi, but also makes qi move or stop. Later, however, Nosa argued that “The Heavenly Mandate”, connoting both Heaven and superintendence, is the best indication that li is the master of qi. Accordingly, “The Mandate of Heaven” is the concept by which li can regain the lost authority from qi. As a result, Nosa asserted that there is nothing to move or stop qi than “The Mandate of Heaven” in the first sentence of the “Oepil.” In Jo Seong-ga’s opinion, Yulgok has fully revealed that li superintends qi because he said “The frame moves itself, but there is nothing to move it.” but also made it clear that li is the reason by which yin is quiet and yang is active. Therefore, it is not reasonable to evaluate Yulgok's theory as “qi-preferred one.” Nosa, on the other hand, thought Yulgok's theory does not clearly show the fact that li is above qi. Therefore, the expression “The frame of qi moves itself.” is not appropriate and is incompatible with “Li is the reason by which things are as they are.” Therefore, it is plausible to consider Yulgok's perspective as a “qi-preferred theory.”

      • KCI등재

        중국 고대의 勢 개념

        양순자(Soon-ja Ya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道敎文化硏究 Vol.36 No.-

        중국철학사에서 법가는 일반적으로 잔혹하고 엄격한 통치를 옹호한 것으로 평가되어지고 있다. 혹자는 법가의 통치는 국가의 이익을 위해 개인을 희생하고 개인은 전체를 위해 존재해야 하는 사상으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중국철학사에서 법가는 전체주의, 전제주의, 독재주의, 권위주의 등의 사상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필자는 법가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그들이 주장하는 군주의 권위를 잘못 이해한 데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법가가 주장하는 ‘勢’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법가가 군주의 권위를 어떻게 정당화시켰는지에 대해 논해보고자 했다. 일반적으로 ‘세’는 중국 고대에 ?孫子兵法? 등 兵家에서 주요 개념어로 쓰이다가 신도에 의해 특별한 정치적 의미가 부여되었으며, 한비자에 의해 ‘세’의 정치적 의미가 더욱 강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세’는 ?손자병법?에서 전쟁터에서 여러 요인들로 인해 만들어지는 ‘상황적 이로움’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이 의미는 愼到의 ?愼子逸文?에서도 보이는데, 동시에 신도는 그 개념을 정치적 영역으로까지 확대한다. 그러면서 ‘세’는 권력 또는 권위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한비자는 신도의 세 개념을 이어받으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독특한 세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그는 신도가 먼저 제기했던 세와 현의 대립 관계에 주목하면서, 어떻게 하면 세가 항구적으로 안정된 통치를 보장할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 한비자는 법에 의해 형성된 세가 이것을 실현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다. 특히 한비자는 상의 효과를 德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것은 한비자의 법이 인간의 심적인 상태를 배제하고 외부의 강압적인 규율에 의한 통치라는 견해와는 배치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덕이라는 글자는 施惠를 받은 사람이 시혜를 베푼 사람에게 내면적으로 지는 마음의 빚, 그리하여 그에게 보답하고 싶은 심적인 상태를 가리킨다. 한비자는 군주가 상을 통해서 백성들의 지지를 얻어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식으로 법은 군주의 세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형벌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백성들에게 시혜를 베풂으로써 군주의 세는 형성되는 것이다. 백성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백성들에게 이로운 정책을 펼쳐야 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법가들은 백성들을 이롭게 하는 것이 군주를 이롭게 하는 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그들은 호혜성에 기반하여 군주의 권력을 정당화했다고 볼 수 있다. Legalism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to support cruel and strict rules in Chinese Philosophy. In addition, it has also been understood that people should sacrifice for the sake of the interests of their country according to legalism. Therefore, legalism is sometimes named as totalitarianism, despotism, absolutism and so on. I think that the criticism against legalism is based on the misunderstanding of authority in legalist ideas. This article attempts to discuss how legalists justify a ruler’s authority by analyzing the concept of shi 勢. In general, the term shi was adopted as one of the major terms in Militarist works such as Sunzi Bingfa and was added to a special political connotation by Shen Dao. Han Feizi later stresses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term shi. Specifically, shi has the connotation of “circumstantial advantage” created by several elements in battlefields in the Sunzi Bingfa. Shen Dao’s work keeps this meaning of the term and extends it to a political one. In this process, the term shi starts to have the meaning of “power” or “authority.” Han Feizi preserves the sense of shi established by Shen Dao and at the same time proposes his own theory of the term. In particular, he focuses on the contrary relationship between shi and xian (wisdom, 賢) and seeks how a permanent order is secured by shi. Han Feizi states that fa (laws, 法) can accomplish this purpose. Han Feizi describes the effect of rewards as “de(德)”, which is opposed to the statement that Han Feizi’s fa disregards human feelings and advocates for coercive rules. The term de refers to the internal state of a person who receives gifts and feels gratitude for the gifts and therefore gives recompense to a giver. Han Feizi thinks that a ruler should get supports from his people by means of rewards. This is the way fa creates shi. A ruler’s shi is made by means of not only punishments but also rewards. If the ruler wants to have his people’s supports, he should practice a beneficial rule for them. It can be said from this perspective that legalists consider that to benefit the people is to benefit their ruler. In other words, the legalists found a ruler’s power on reciprocity.

      • KCI등재

        ‘太極’의 미완성된 자연화

        楊順子(Soon-ja Yang)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3

        김석문이 생존했던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초반 조선 학계는 예론 중심주의, 주자 중심주의가 주류를 이룬다. 16세기에는 조선조 대부분의 학자들이 가담했던 사단칠정론과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새롭게 등장한 인물성동이론이 조선 학계의 주된 담론들이었다. 당시의 주자학자들은 자연에 대한 연구보다는 이기심성론이나 예설에 천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김석문의 관심은 자연에 있었으며, 그의 자연에 대한 관심은 그 이후 조선 학계 관심의 지평을 넓히는 데 공헌을 했다. 이런 자연의 복권은 김석문의 「易學二十四圖解」에서 잘 드러난다. 김석문의 자연에 대한 관심은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근간을 형성하고 있는 「太極圖說」의 해석에도 영향을 미친다. 김석문은 太極→陰陽→五行→萬物의 도식을 포기하는데, 이로써 태극과 음양, 오행, 만물의 연결고리는 끊겼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음양’과 ‘동정’은 재해석되는 과정에서 만물의 변화 법칙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는데, 태극이 만물을 관여(또는 주재)할 수 있는 방법이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태극이라는 우주의 궁극적 근원이 지상의 만물에 관여할 수 있는 통로와 방법이 원천적으로 봉쇄된 셈이다.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토대를 구성하고 있던 「太極圖說」은 김석문에 와서 서양의 자연과학적 지식과 충돌을 일으키며 변화를 겪었다. 그런 과정에서 그것이 가지고 있던 만물의 생성론적 원천의 지위는 약화되었고, ‘동정’과 ‘음양’이라는 변화 원리도 효력을 상실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석문은 ‘태극’이 가지고 있던 형이상학적 속성을 완전히 폐기할 수는 없었다. 주희와 마찬가지로 김석문은 여전히 태극을 리로 보고 있다. 김석문은 리의 부동성을 강조하면서 리가 만물을 주재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김석문은 조선 후기 자연의 경험주의적 이해의 새로운 서막을 여는 데 기여했다고 할 수 있지만, 완전히 성공했다고 볼 수는 없다. In the period of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y, Joseon Korean Confucianists had a main interest in li (禮, ritual propriety) and Zhu Xi’s ideas. They were involved in discussions about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in the 16th century,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Nature of Human Beings and Other creatures’ in the 18th century. However, the major concern of Kim Suk-Moon lies in nature, which encouraged other Confucianists to widen their academic interest. His attempts to reinstate nature is revealed in “Twenty Four Diagram Interpretation of the Yi (易) Study.” Due to his concern for nature, Kim Suk-Moon proposed a new understanding of “A Theory of Taiqi Diagram”, which has been interpreted as a metaphysical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He discarded the Neo-Confucian theory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taiqi→ yinyang→ five phases→ every creature. In addition, he did not regard ‘yinyang,’ and ‘movement and stillness’ as a principle of the changes of the creatures any more. Therefore, the taiqi lost its way to interfere with or rule over the creatures. In other words, there is no way by which the taiqi, the ultimate source of the universe, is involved in the world. Ideas in “A Theory of Taiqi Diagram” were contradictory to western theories of nature in some parts and were accordingly reinterpreted by him. In the process, the text lost its significance in Neo-Confucian theories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creatures. However, Kim Suk-Moon still sticked to a metaphysical aspect of the concept of the taiqi. Like Zhu Xi, he still understood it in terms of li (理, principle). He emphasized the stillness of li, and moreover stated that the li ruled over the other creatures. Therefore, he introduced a new academic interest to the Joseon academic world, that is, an empirical understanding of nature, but did not succeed in completing his trial.

      • KCI등재

        여헌의 선천후천설(先天後天說) : 체용(體用)과 경위(經緯)의 관점에서

        양순자(Soon ja Yang)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2

        Yeheon explained the Yijing through li (理) and dao (道), and moreover made an emphasis on their constancy. This aspect is clearly shown in his theory of former-later Heaven. The theory is premised on 'a change in a starting point,' that is, time. However, his theory focuses on a transcendental principle over the former Heaven and the later one, which is expressed as 'one principle.' His efforts to search for a constant principle have an influence on his other theories, essence-function and warp-weft. From the perspective of essence-function frame, the former Heaven has priority over the later Heaven in its value, and controls the later Heaven. This is because the former Heaven is already equipped with a principle to regulate the later Heaven. This principle makes the former Heaven, the next one, and the later one nearly same in spite of their minor differences. This point distinguishes Yeheon's theory of the former-later Heaven from Xiao Yong's theory,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his recognition of 'the change in a starting point.' Furthermore, Yeheon related the former-later Heaven to the warp-weft theory, and showed that the value of the former Heaven is invariable and right. In other words, the warp signifies the constant in the middle of the changing world while the weft refers to the various phenomena of the world. Yeheon wanted to establish the constant in the middle of the changing and understand this world centering on the constant. The former Heaven in the warp-weft frame has a more control over the later Heaven than in the essence-function frame. The former Heaven has a more priority over the later Heaven while the later Heaven is nothing better than the agent of the former Heaven. Yeheon mentioned that how we should behave if we understand the constant principle. We should put the right principle into practice, which is the mean. Our practice of the mean changes something against to something for, something detrimental to something beneficial, and something inauspicious to something auspicious. This process can be said to return to the warp. Therefore, the Yijing explains not only how the world changes, but also how human being should live in the middle of the changing world, that is, the weft. 여헌 장현광은 역(易)을 리(理)와 도(道)로써 설명하고, 더 나아가 리와 도의 항상성을 강조한다. 이런 역의 항상성은 여헌의 선후천(先後天) 이론에서 보이는데, 그는 선천과 후천을 관통하는 하나의 리(一理)를 주장한다. 선천과 후천은 '기점의 변화' 즉 시간성을 전제하는 개념이다. 여헌 선후천설의 특징은 선천과 후천을 아울러 변화하지 않는 원리, 즉 초시간적인 원리에 대한 탐구가 주요 특징이며, 여헌은 그런 초시간적인 원리를 '하나의 이치'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여헌의 변하지 않는 것을 찾으려는 시도는 그의 체용론, 경위론 등에 영향을 미친다. 우선 선후천설을 체용의 관점에서 분석하면, 선천은 후천을 가치론적으로 분명히 앞서며, 선천은 후천을 규정하고 지도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후천을 규정하고 지도하는 리는 이미 선천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리 때문에, 선천지, 차천지, 후천지는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거의 동일성을 유지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여헌의 선후천설은 소옹의 선후천설이 가지고 있던 '기점에 대한 인식'과는 많은 차별성을 가진다. 이후 여헌은 선천과 후천을 경위론과 연결시킴으로써 선천이 가지고 있는 가치가 변함이 없는 것이며 바른 것(正)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즉 경은 변화하는 가운데에서도 불변하면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리킨다면, 위는 다양한 현상 가운데에서 발견되는 변화이다. 경위론을 통해서 여헌이 정립하고자 했던 것은 변화하는 현상 세계에서 불변하는 것이 있음을 드러내고, 그것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후천설이 경위론과 결합됨으로써 선천이 후천에 대해 가지는 주재(主宰)성은 더욱 강화된다. 여헌이 선천과 후천을 경과 위의 관점에서 분석했을 때, 그가 의도한 바는 선천은 후천에 대해 변함없는 가치의 우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후천은 선천의 원리를 대행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여헌은 세상에 변하지 않는 이치가 있다는 것을 깨달은 인간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말하고 있다. '위'에 의해 야기된 변화 속에서 인간이 실천해야 할 것은 의리이며, 그것은 다름 아닌 '시중'이다. 인간의 시중에 의해 거역함은 따름으로, 해로움은 이로움으로, 흉과 인은 길과 상이 된다. 이것은 원래의 '경'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은 인간에게 변화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위'에 의한 변화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변하지 않는 이치를 깨닫고 행동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