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敎育大學 敎育課程中의 「敎師論」의 目的과 內容 究明

        沈璡求 仁川敎育大學校 1991 論文集 Vol.25 No.1

        本 硏究는 敎育大學에서 「敎師論」이라는 講座를 擔當하고 있는 敎授 大部分이 講座의 性格을 잘 몰라 잘못 指導하고 있는 것을 是正할 必要가 있다고 느껴 本 硏究를 시작하였다. 本 硏究의 目的은 敎育大學의 「敎師論」 擔當敎授들에게 本 講座의 性格을 바르게 理解할 資料를 提供하는데 있다. 本 硏究의 目的을 達成하기 위한 硏究內容은 첫째로, 「敎師論」의 目的을 究明하는 일이었다. 硏究된 結果를 要約하여 提示하면 다음의 結論과 같다.

      • KCI등재

        韓國 高等敎育機關의 敎科 學習成果評價方法 改善方案

        沈璡求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76 교육논총 Vol.7 No.-

        韓國 高等敎育機關이 採擇해 온 敎科學習成果 評價方法은 任意評價이거나 相對評價이다. 任意評價는 評價基準이 缺如되어 있기 때문에 敎科學習成果의 評價方法으로서는 合當치 못한 評價方法이고, 相對評價는 여러 個人의 相對的인 比較를 基準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敎科目標의 成就度를 알 수 없는 評價方法이다. 이와 같이 敎育目標를 評價基準으로 하지 않은 評價方法을 採擇해 왔기 때문에 敎授들 中에는 敎科指導에 誠意가 不足한 者도 있게 되고, 學生들은 將來야 어찌 되었건 于先은 平安히 노는 것이 좋아, 口實만 있으면 休講을 하자고 强要하고 敎科進度가 나가는 것을 싫어 한다. 이와 같은 要因들로 因하여 絶對多數의 敎授들이 自己가 擔當한 敎科의 全過程을 學生들에게 ?修시키지 못하고 있다. 敎科學習成果를 妥當하게 評價하기 爲해서나 敎科指導上의 問題들을 解決하기 爲해서도 敎科學習成果의 評價方法은 絶代評價로 고칠 것이 要請된다. 그러나 아직 대학이나 專門學校에서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한 具體的인 方法과 方策이 硏究되어 있지 않다. 그리하여 硏究者는 本 硏究의 必要를 느꼈다. 本 硏究는 大學이나 專門學校의 敎授들이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한 道具를 製作해 낼 수 있게 案內하고 大學이나 專門學校에서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로 施行해 나갈 수 있는 方案을 摸索提示할 것을 目的으로 하였고, 이 目的들을 達成하기 爲하여 敎科學習 成果의 絶代評價를 爲한 道具의 製作節次를 찾아내고,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한 筆答考査의 問項場面 性質을 究明해 내며, 敎育大學「視聽覺敎育」科目의 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한 道具를 製作하고, 高等敎育機關에서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한 方策을 摸索해 내는 것을 硏究內容으로 하였다. 本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敎科學習成果의 絶代評價를 爲 道具의 製作節次는 ① 敎科指導目標의 確認, ② 敎科指導目標의 細分化, ③ 敎科指導目標의 二元分類表 作成, ④ 問項型式 決定, ⑤ 問項作成이었고, 敎授學習成果를 爲한 筆答考査의 問項場面 性質은 適切性, ??度, ?新度, 構造化의 征途, 動機誘發의 能力, 內面化의 程度 등이 問題가 됨을 確認하였으며, 敎育大學「視聽覺敎育」科目의 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하여 製作된 道具는 附錄 1과 같았고, 高等敎育機關에서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하여 摸索된 方策은 同一敎科 擔當敎授들로 하여금 共同硏究를 하여 問項을 作成하게 하되 1個 敎科當 3個 類型(A型, B型, C型)의 考査問題를 만들어 全敎科의 問題를 한 곳에 保管해 두었다가 學長이나 校長은 考査를 實施할 때마다 그 3個 類型의 問題中에서 任意로 한 類型의 問題를 選擇하여 古事를 實施하고, 考査監督과 採點은 入試管理를 하는 것과 方式을 擇한다는 것이었다. 本 硏究 結果를 採擇하는 일은 大學이나 專門學校의 敎科學習成果 評價方法을 改善하는 일이고, 敎科學習指導上에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의 問題를 一?시켜 敎科指導目標를 達成되게 하는 일이며, 學生들에게는 目的意義를 가지고 能動的으로 學習하는 習慣을 가지게 하여 卒業後에도 繼續 自己敎育을 해 나갈 수 있는 人間이 되게 하는 일이라 믿어진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韓國 初等敎師養成의 硏究 : 其一, 韓國 初等敎師의 役割과 資質 Role and Competence of the Elementary Teachers in Korea

        沈璡求 仁川敎育大學校 1973 論文集 Vol.8 No.-

        將來의 國家運命은敎育의 成敗에 달렸고, 中等이나 高等敎育의 成敗는 基礎敎育인 初等敎育의 良否에 달렸으며, 初等敎育 그 自體의 成敗는 初等敎師의 質의 良否에 달렸으므로 初等 敎師敎育의 成敗 그것은 바로 모든 敎育의 成敗와 國家運命까지도 左右하게 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初等 敎師敎育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所期의 目的을 達成할 수 있게 萬全의 方策이 講究되어져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不抱하고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이 分野의 硏究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萬全의 方策이 講究되어 있지 않다. 敎育大學이 成功的인 初等敎師를 養成해 내려면, 먼저「韓國 初等敎師의 役割과 資質」을 究明하고 그것을 準據로 하여 具體的인 敎育目標들을 樹立하고 그런 敎育目標들을 達成하기에 合當한 敎育課程을 構成하여 指導하고 評價하여 改善해 나가는 順序를 밟아 나가야 한다. 그러나 遺憾된 일이나 아직껏 敎大敎育의 出發 準據가 되어야 할「韓國 初等敎師의役割과 資質」이 究明되어 있지 않아 敎大敎育을 合理的으로 해 나갈 수 없는 實情이다. 그리하여 本 硏究에서는「韓國 初等敎師의 役割과 資質」을 究明하고자 硏究의 目的을 다음과 같이 定했다. ① 敎師의 一般的 役割은 무엇인가? ② 時代와 國家社會가 要請하는 敎師의 役割은 무엇인가? ③ 初等學校에서 要求되는 敎師의 役割은 무엇인가? ④ 韓國 初等學校에서 要求되는 敎師의 役割은 무엇인가? ⑤ 敎師의 一般的 資質은 무엇인가? ⑥ 時代와 國家社會가 要請하는 敎師의 資質은 무엇인가? ⑦ 初等學校에서 要求되는 敎師의 資質은 무엇인가? ⑧ 韓國 初等學校에서 要求되는 敎師의 資質은 무엇인가? 위의 目的을 達成하기 爲해서 使用된 方法은 文獻硏究法이었고, 本 硏究에서 究明한 韓國 初等敎師의 役割과 資質은 公職者로서의 役割과 資質에 局限시켰다. 첫째로, 韓國初等敎師의 役割을 찾아 내기 爲해서 먼저 敎師의 役割에 關한 先行硏究를 調査하여 보았다. 敎師의 役割에 關한 先行硏究들은 硏究者들의 硏究目的에 따라 各己 敎師의 役割을 分類하는 準據를 달리 하고 있었다. 곧 Redle와 Wattenberg는 敎師의 心理的 役割, 金鐘喆은 學級社會에 있어서의 敎師의 役割, 長眞鎬는 敎師의 職業的 役割, 朴俊熙와 金在恩은 敎師의 學生成長促進의 役割과 仲介役割, 美國의 N. E. A. 나 大韓敎育聯合會는 敎師의 行動規範的 側面에서의 役割로 各己 그 分類 準據를 달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제까지의 硏究로는 敎師의 役割을 一般化시킬 수가 없는 實情이었다. 그리하여 本 硏究에서는 韓國 初等敎師의 役割을 ①敎育過程的 側面, ②學級經營者的 側面, ③學校와 地域社會의 連介者的 側面, ④職場人的 側面, ⑤現代라는 時代的 側面, ⑥韓國이라는 國家社會的 側面, ⑦初等學校라는 側面, ⑧韓國 初等學校라는 側面을 準據로 하여 抽出해 내었고, 그 結果는 Ⅳ. 의 B. 結論의 1과 같았다. 둘째로, 韓國 初等敎師의 資質을 찾아내기 爲해서도 먼저 敎師의 資質에 關한 先行硏究를 調査하였다. 그랬던 바, 敎師의 資質要因과 敎師의 成功 사이의 相關을 硏究한 여러 學者들의 硏究結果는 一貫性이 있는 相關性을 보여 주지 않았고, 成功的 敎師의 資質特性을 分類한 硏究들과 兒童·學生들이 좋아 하는 敎師의 資質特性을 究明하려는 硏究들도 硏究의 目的과 必要에 따라 特性分類의 準據를 달리 하기도 하였거니와 特性 自體가 갖는 多因性, 多樣性으로 因하여 여러 가지의 形態로 分類하고 있어 成功的 敎師의 資質을 一般化시켜 規定할 수가 없는 實情이었다. 그리하여 本 硏究에서는 韓國 初等敎師의 資質을 앞서 찾아낸 韓國 初等敎師의 役割(Ⅳ. 의 B. 結論의 1. 參照)을 準據하여 抽出하였다. 그 結果는 Ⅳ. 의 B. 結論의 2.와 같았다.

      • 本 大學校 平生敎育實踐에 관한 硏究

        沈璡求 仁川敎育大學校 1994 論文集 Vol.28 No.2

        Beacause the present time is the atomic, technical, spatial and explosive knowledge increasing age. contemporaries will be fallen behind and maladjusted to their wolrd unless they learn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Therefor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Teachers' Education will establish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perform the education of community inhabitants. It is needed to search the practical method of teaching the community residents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has accomplished as follows; 1. To identify the related rules to establish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2. To plan the human organization and the physical equipment. 3. To suggest the means to secure the educational expenses and to invite the students. 4. To establish the principles for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rules for operation, rules for steering committee and the student council as a tentative plan. In order to establish and manage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rom 1995, it is needed to submit the establish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the apprvoal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immediately. At the same time obtaining the approval, the regulation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Teachers' Education should be revised. Then it should be done to compose human organization for management, to confirm the education program through a faculty council, and to put many sided advertisement to invite students. This study can help practically to do a series of these works.

      • 敎育上의 體罰 贊反論의 批判과 賞罰의 올바른 使用法에 관한 硏究

        沈璡求 仁川敎育大學校 1993 論文集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ize major pros and cons of the corporal punishment in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proper use of the reward and punishment.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e literature review to criticize major pros and cons of the F corporal punishment in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proper use of the reward and punishment in the light of theories in psychology and education. There was much room to criticize pros of corporal punishment because they were inapropriate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the psychology and education. But there was no room to criticize cons of corporal punish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oper use of the reward and punishment in the light of theories in psychology and education was suggested as follows; 1. The reward and punishment as providing behavioral motivation. 1) Reward could reinforce the connection, but punishment could not alleviate the connection. It could only provide indirect effect to rise opportunities for the desirable responses. 2) Reinforcement was a basic principle to maintain the results of the learning. 3) Rewards tended to rise the achievement but punishment tended to down it. 4) Reward could affect everyone but punishment could not affect introverts, girls, and those whom of low intelligence. 5) The effects of the reward and punishm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human relation between those who give and given and the atmosphere of the setting. 2. The reward and punishment as learning behavioral norms. 1) When reward was used; In order not to be reward itself as a goal, it should not be excessive in frequency and quantity. 2) When punishment was used; (1) Punishment should be related with behavior not with oneself. (2) Punishment should be applied consistently. (3) Punishment should be used during or immediately after the behavior. (4) Punishment should be used as little as possible. (5) Punishment should not be applied in terms of the private emotion but it should be performed fairly. (6) To use severe punishment like coporal one shiuld be attended with danger not only to make bad human relation between those who give and given, but also to make the behavior disliked. (7) When punishment was applied emotionally, those who punished tend to show negative and resistant responses. 3. The reward and punishment as method of behavior modification. Before performing the punishment, a caution of punishement for undesirable behavior should be given. Although the misbehavior was happened, the method of extinc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induced desirable behavior would be better than punishment to modify the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