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廣開土王陵碑文의 構造

        沈浩澤(Sim Ho-taek) 대동한문학회 2007 大東漢文學 Vol.26 No.-

          본고는 광개토대왕비문에 대한 새로운 측면으로서의 全文의 구조를 밝히려 한 논문이다. 광개토대왕비문에 대한 기존 연구의 주류가 勳績(또는 守墓人)을 중심으로 하였다면, 본고는 〈비문〉의 삼 개 부분 중 기왕에 간과되었던 제1부의 의미를 재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전문의 구조를 규명하려 하였다.<BR>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비문의 외형적 체제를 분석하였다. 체제를 분석함에 있어서는 기존의 연구가 勳績을 중심으로 하여 전체를 자의적 연역적으로 파악해 왔음에 비하여 본고는 篇法 章法 文體 등 객관적 귀납적 방법을 취하였다. 그 결과 다섯 개의 有意味 단락을 추출하고, 이들 단락을 상호간의 관계 규명을 통해 세 章으로 범주화하였으며, 다시 이들 세 章의 관계 규명을 통해 하나의 大 主題에 도달하였는데, 그 대 주제는 광개토대왕이라는 인물이었다. 이는 훈적 중심의 역사 기술체와 다른 인물 중심의 비문체의 변별점임을 말해 준다.<BR>  광개토왕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하여 새롭게 이해된 비문적 체제의 실상을, 제1부는 先王部, 제2부는 太王部(또는 영락대왕부), 제3부는 守墓部로 명명할 수 있다. 이를 先王의 創基, 永樂大王의 廣開土境, 後王의 守墓로 그 성격 지울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BR>  기존에 서문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본고에서 새롭게 밝혀진 先王部는 영락대왕에게는 정신적 기반이 된다. 이 부분은 광개토대왕릉비문 뿐 아니라 정신사적으로 주목을 요하는 대목이라 하겠다.<BR>  기존에 훈적으로만 이해했던 太王部 역시 태왕이란 주체와 훈적이란 행위로 구분된다. 태왕의 형상은 역사적으로 先王의 17세손이자 대외적으로는 영락대왕을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시조왕의 ‘創基’를 계승 발전시키는 차원에서의 ‘廣開’이며, 동시에 고구려의 대내외적 中興 帝王의 모습이었다. 삼국사기의 광개토왕상과는 크게 다르다.<BR>  守墓部의 내용은 수묘에 대한 광개토대왕의 敎令을 後王의 처지에서 보완한 것이었으며, 〈비문〉의 심층적 맥락에서는 선왕의 행적을 보존 계승 발전시키는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BR>  〈비문〉의 전체적 構圖는 광개토대왕 즉 광개토경이라는 공간적 개념의 대 주제를 X축으로 하는 한편, 선왕에서, 영락대왕으로, 다시 후왕으로 이어지는 시간적 개념을 Y축으로 하여 이루었고, 文體는 史傳體와 敎令體, 그리고 騈儷體와 국어체까지를 두루 구사하였다.<BR>  〈비문〉의 樣式은 漢代의 墓碑的 요소와 秦代의 事蹟碑的 요소에 고구려의 守墓碑的 요소를 융합함으로써 5세기 고구려 비문 양식의 독특한 면모를 보였다.<BR>  광개토대왕릉비문의 이러한 성격은 5세기 고구려의 碑誌文을 대표함은 물론 7세기 원효의 논변성 불교 산문과 함께 삼국시대 산문의 양대 主峰을 형성하면서 한국한문학사와 정신사의 한 큰 ‘據點’이 될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finding out the structure of the full text from a new aspect of the Great King Gwanggaeto’s tomb epitaph. Whereas the mainstream of existing researches on the Great King Gwanggaeto’s tomb epitaph was based on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or the tomb guardian) this study re-recognizes the first chapter among the three parts of the 〈epitaph〉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the past and based on such re-recognition attempt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epitaph<BR>  For this, firstly, the exterior system of the epitaph was analyzed. In analyzing the system, whilst existing structures arbitrarily and deductively understood the whole based on the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this study takes an objective inductive method such as categorizing, chaptering and literary style etc. As a result, five meaningful paragraphs were extracted and through identifying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se paragraphs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chapter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 of these three chapters a big subject was attained. The big subject was a person referred to as the Great King Gwanggaeto. This shows that it is a history description based on person different from the type of history description based on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a distinctive style of epitaph.<BR>  The real facts of epitaph structure understood in a new way based on a person, the Great King Gwanggaeto, can be named in the following way, namely the first chapter the previous king section, second chapter the great king section (or Younglak great king section) and third chapter tomb guarding section. These can be characterized by tomb creation of the previous king, Younglak great king’s Gwanggaeto’s land and tomb guarding of the later king. This can be specified as follows.<BR>  Although the first section was considered as a preface in the past, the previous king section newly found forms the mental basis to the Great King Younglak. This is an area which requires attention not only for the Great King Gwanggato’s tomb epitaph but also spiritually.<BR>  The great king section which was previously understood only as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is divided into subject namely the great king and activity namely contributions and achievements. The features of the great king were the 17th prince historically, Gwanggae externally in terms of succeeding and developing tomb creation of the founder king based on the spirit of the Great King Younglak and at the same time king of restoration of Goguryeo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amguksagi is very different from the features of King Gwanggaeto.<BR>  The contents of tomb guarding section is a section which supplements the King Gwanggaeto’s order on tomb guarding from the later king’s situation and it has the meaning of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achievements of the previous king when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a deeper context of the 〈epitaph〉.<BR>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epitaph〉 has the big subject of a spacial concept namely the big subject Gwanggaeto’s land as its x axis and on the other hand a time concept namely the succession from previous king to the Great King Younglak and to the later king as its y axix. In the writing style, various styles such as history and biography, king"s order, parallel and Korean.<BR>  The form of the 〈epitaph〉 shows an unique feature of 5th century Goguryeo epitaph by combining the element of China Han era’s tombstone, China Jin era’s evidence tombstone and Goguryoe’s tomb guarding.<BR>  Such characteristics of the Great King Gwanggaeto’s tomb epitaph represents the engraved epitaph of 5th century Goguryeo and also forms the two main mountains of prose with the argumentative Buddhism prose of Wonhyo in the Samguk era. This will become a big base to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spiritu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