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를렌느의 「 잊혀진 아리에타 」 에 대한 고찰

        심호택(HO Taek Shim) 한국프랑스학회 1998 한국프랑스학논집 Vol. No.

        Si Verlaine a crL, sous 1`influence de Rimbaud, un systme poestique dont 1`Art Potiqueserait une formulation, les Romances sans Paroles seraient une premiere application de ce systme. Les riettes Oublies qui constituent la partie centrale des Romances sans Paroles, sont considres comme les pieces qui manifestent pleinement 1`idal artistique verlainien, c$quot;est-dire comme `la chose envole`, prononcrse par 1`auteur lui-mime dens 1`Art Poetique. En effet, dans les riettes Oublies. Verlaine a su, au moins une fois, atteindre une plenitude potique, partir du vide de son moi douloureux et contradictoire. Nous aeons essay, dans cet article, de dgager la maitrise poetique verlainienne. en observant 1$quot;attitude qu$quot;il avail choisie devant son moi et devant les objets extrieurs, et en examinant sa versification qui serait tr8s diffrente de celles de ses contemporains.

      • KCI등재

        갈등과 균형

        심호택(SHIM, Ho-Taek) 프랑스학회 2008 프랑스학연구 Vol.46 No.-

        On sait bien que la vie de Verlaine fut placée sous le signe de l'ambivalence. Désarmé devant lui-même, impuissant à dominer ses contradictions et conflits, Verlaine devait jouer à l'escarpolette entre Mathilde et Rimbaud, rêve et réalité, pureté angélique et tendance diabolique. Chez Verlaine, paradoxalement, c'est l'indécision qui nous paraît nourrir la sensibilité poétique. Les Romances sans paroles, qui serait l'application définitive de son idéal de l'“Art poétique”, nous montrent ce paradoxe. Dans cet article nous portons notre attention sur les 9 poèmes des “Ariettes oubliées” des Romances sans paroles pour essayer de dégager la maîtrise poétique verlainienne qui, à partir du moi douloureux et déséquilibré, arrive enfin à un équilibre extatique. Ici, entre autres, nous observons le privilège de la musique et la passivité de l'être comme l'attitude que choisit Verlaine. Dans les “Ariettes oubliées”, la présence du sujet paraît essentiellement évanescente et le moi semble constamment se dérober alors même qu'il s'exprime. Le moi du poète ne s'affirme pas par différence mais se realize dans un désir profond de retrouver un état originel de fusion. D'où un tropisme incessant du retour, par lequel la vacuité du moi devient plenitude psychologique. De ême pour la versification verlainienne qui dépasse la simple justification stylistique, le phénomène de redoublement linguistique, les répétitions de termes qui créent un effet incantatoire, l'art savant de mêler le Précis et l'Indécis et de brouiller le sens par des méprises volontaires, etc… Si Verlaine a créé sous l'influence de Rimbaud un système poétique don’t l' “Art Poétique” serait la formulation, les “Ariettes oubliées” seraient un vrai modèle de cette formulation. Verlaine vit des conflits et des contradictions, mais son sentiment déséquilibré arrive à créer de douces images et fait naître un équlibre extatique, par une sincérité absolue et désarmée qui touche aux plus essentielles profondeurs de l'être. Et nous admirons que Verlaine soit arrivé, au moins une fois, à cet apogée-là avec ces poèmes à la fluidité rêveuse et aux frissons évanescent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한문학 연구의 문명사적 검토

        沈浩澤(Shim Ho taek)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8 No.-

        본고는 한국한문학 연구의 역사를 문명사적 관점에서 검토해 본 개략적인 글이다. 한국 한문학의 역사를 창작의 시대와 연구의 시대로 양대분했을 때 이는 문명사가 동아시아 중심 질서에서 서구 중심적 근대로의 전환을 의미한다고 보고, 여기에 근거하여 한문학 연구시대의 역사를 다시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는 서구의 근대적 문학관에 한국적 國字 기준을 더하여 국문학의 개념을 정립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 한문학은 본격문학이 아닌 準國文學의 지위에 있었으며, 한문학 연구는 한학에 조예가 있는 학자들에 의해 漢文學史書 형태로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선정한 鄭萬朝의 朝鮮詩文變遷은 중화주의와 유교주의에 입각하였고, 金台俊의 朝鮮漢文學史 는 철저한 문학주의에 중화주의가 결합되었으며, 李家源의 韓國漢文學史 는 한 국한문학의 국문문학과의 대등의식, 중국문학과의 대등의식을 천명하였다. 제2기는 한문교육의 제도화와 한문학의 국문학 내적 위상 재인식을 토대로 하여 한문학 연구가 본격적 궤도에 오른 시기이다. 이 시기의 연구를 세경향으로 정리하였다. 하나는 서구의 문학주의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을 연구하고 평가하던 것이요, 다음은 중국문학과 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해하던 경향이었으며, 세 번째로 한문학사 연구에서 한국사회 지배세력 변천과정으로서의 역사학과 결부시키던 방법이었다. 이 중에서 서구 문학주의에 의한 접근이 비평론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음을 지적하였다. 제3기는 한국한문학을 포함한 어문학 전반의 경향이 문학주의로부터 탈피했던 시기이다. 문학주의의 탈피는 서구 중심적 질서, 근대적 가치체계로 부터의 벗어남이며 그 의미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다분히 문명사의 전환을 뜻한다고 하겠다. 탈근대 이후의 동아시아적 가치는 기존에 중국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나 본고는 동아시아 내에서 다시 한국 민족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법으로 한문교육 제도화초기에 발의되었던 민족문화란 개념을 다시 끌어내었다. 여기서 한중 문화 관계, 民族과 文化의 관계를 중시하고 그 주어로서의 ‘民族’에 비중을 두어논함으로써 한국한문학 연구가 문명사를 넘어 정신사의 차원에 서야 함을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essay is a brief description of reviewing a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history-of-civilization’s perspective. If we divide the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to two parts, the creation-oriented era and the study-oriented era, we assume that it indicates the conversion from East-Asian-centric order to Eurocentric order. Based on this assumption, we can subdivide the history of the study-oriented era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when the notion of national literature became established through uniting Korean national alphabet criteria with Western modern literary views. Classical Korean literature was not considered to be in good standing at this time within the Korean literary field but instead in a “quasi status.”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had been mainly carried on by scholars who had profound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studies, and had produced related academic history books called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s the typical examples, Jung Manjo(鄭萬朝)’s The Transition of Joseon Literature(朝鮮詩文變遷) was grounded upon Sino-centrism and Confucian-centrism; Kim Taejun(金台俊)’s The History of Joseon Classical Literature(朝鮮漢文學史) combined Sino-centrism with thorough literary-centrism; Lee Gawon(李家源)’s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韓國漢文學史) accentuated that Classical Korean literature has equal status not only with Korean literature created in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with Chinese literature. The second period is when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came into it s own, along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a new understanding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s increasing internal status within the Korean literary field. The related studies during this period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tends to approach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Western literary-centric perspective; the second part has a tendency to approach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Chinese literary and Sinological perspective ; the third part integrates historical studies as a transitional process due to ruling groups in Korean society. From among these, the Western literary-centric approach has produced outstanding study results in literary criticism. The third period is when the overall language and literature field including Classical Korean literature broke away from literary-centrism. This extrication from literary-centrism signifies the extrication from Western-centric order or a modern value system. It can mean quite the transition of the aforementioned history-of-Civilization. We try to acknowledge Korean national value and to seek its potential for development while existing studies tend to discuss post-modern East Asian values from a Chinese-centric perspective. We dragged the notion of national culture out from the past again, which had been proposed at the early stage of institutionalization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e emphasized that, in the process of Korean-Chinese cultural relations and national(民 族)-cultural relations, we need to give weight to ‘nationality (民族)’ as a subject so that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can stand on its own from a spiritual historical study’s perspective, beyond the constraints of ‘history-of-Civilization.’

      • KCI등재

        Le Sentiment de la Nature dans Jocelyn de Lamartine : 라마르틴의 『조슬랭』에 나타난 자연관

        SHIM Ho-Taek(심호택) 프랑스학회 2007 프랑스학연구 Vol.41 No.-

        자연은 오랜 세월 동안 문학의 주요한 테마가 되어 왔다. 17세기의 파스칼과 18세기의 루소를 거쳐 19세기 로망주의 문학에 이르러 자연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문학의 중심에 자리 잡으며 시인들의 영혼이 담긴 아름다운 노래들을 낳았다. 로망주의시인들 가운데 특히 라마르틴은 평생의 대부분을 자연 속에 살면서 자연을 노래한 유일한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라마르틴은 목가적 장편서사시 『조슬랭』에서 산의 온갖 이미지를 풍요롭게 묘사하고 있다. 혁명을 피하여 독수리동굴로 숨어든 신학생 조슬랭의 눈과 감성을 통하여 시인이 그려내는 산의 양상은 계절에 따라, 밤낮에 따라 제각기 독특하고 신비로운 이미지를 드러낸다. 그에 못지않게 아름다운 물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폭포와 호수 또한 두 연인 조슬랭과 로랑스의 영혼이 결합하는 신성한 장소이며, 지상에서 가장 평화롭고 신비로운 안식처이다. 라마르틴은 미묘한 떨림으로 속삭이며 자신을 에워싸는 대자연의 신비로운 움직임에 발맞추어 신에게 한 걸음씩 다가가며,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감정의 순화와 영혼의 고양을 체험한다. 그의 궁극적 욕망은 자연 속에서 신을 발견하는 일이다. 그는 좀더 가까이 신의 존재를 느끼기 위하여 자연에 몰입하며, 『조슬랭』 전편을 통하여 자연의 경이를 찬미함으로써 신의 존재를 드러내려한다. 『조슬랭』은 자연과 신 사이에 존재하는 최고의 조화를 보여주는 시편이다. 라마르틴은 이 작품에서 대자연의 온갖 미묘한 색채와 향기와 소리로 신의 영광을 찬미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애착을 신에 대한 찬양으로 귀결시킨다. 요컨대 시인자신의 종교적 염원이 여기서 사제 조슬랭의 고뇌와 명상을 통하여 시로 구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