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 전시-P-46 > 폐 MDF의 분리수거안

        노정,조현진,박병대 한국목재공학회 2018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

        산림청의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2012년 제정)”이 추구하는 목재의 탄소저장 기능을 증진하고 목재를 지속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산림으로부터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목재의 생산과 공급도 중요하지만 폐기되는 목재나 목질재료의 물질로서 재활용 체제의 확립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국내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지만 전혀 물질로서 재활용되고 있지 않는 MDF는 가구, 건축내장재 및 포장재 등으로 사용되고 그 수명을 다해 폐기되어 타 목질폐기물과 혼재되어 있을 때에는 다른 목질재료의 재활용에도 방해가 된다. 따라서 다양한 목질재료가 혼재하는 목재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이용하고 폐 MDF도 다시 MDF 제조용으로 원료화하여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MDF의 분리수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국내의 폐기물 관리는 환경부의 “폐기물관리법(1986년 제정)”과 시행령, 시행규칙과 각각의 행정규칙 및 자치법규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2016년도의 국내 전체 폐기물발생량은 151,601천톤/연이며 그 중 1.3%인 1,939천톤/연(폐가구 포함)이 폐목재류였으며(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환경부), 그 39.5%인 766천톤/연이 폐 MDF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기 MDF를 효율적으로 분리수거하기 위해 발생원별 현재의 수거, 수집 및 처리 관리의 주체를 조사하고 분리수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활폐목재의 주체는 자치단체장이며 자치단체나 대행업체인 수집·운반 업자, 중간·최종처리업자 및 폐기물 재활용 업체, 사업장시설폐목재는 환경부와 각배출사업자가 주체이고, 자가 또는 위탁에 의해 허가받은 수집운반업체와 폐기물 처리업자가, 건설폐목재는 건설공사 발주자가 주체이며, 건설폐기물 수집운반업체 및 중간처리업자가 처리 및 관리하고 있으며, 각 발생원과 사업장별 적절한 분리수거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1) 노정관.조현진,박병대. 2016 한국목재공학회 춘계 학술발표 요지집. p. 262-263. 2) 노정관.조현진,박병대. 2017 한국목재공학회 춘계 학술발표 요지집. p. 35.

      • < 전시-P-45 > 폐 MDF재생섬유에 대한 반응성염료계의 고착특성

        주선경,노정 한국목재공학회 2018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목질재료 중 현재 물질로서 전혀 재활용이 되고 있지 않는 폐 MDF를 인테리어 성형 소품 제조용의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전년도에는 황, 적, 청색의 반응성 염료(클로로 트리아진계와 비닐슬폰계), 직접염료(디아조계), 배트염료(퀴논계)를 사용한 재생목질섬유의 염색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MDF 재생염색섬유의 경우 셀룰로오스 염색에 주로 사용되는 염료에 의해 염색이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것과, 버진섬유와 재생섬유간의 염색특성에는 크게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염색한 재생섬유의 자외선 촉진 열화처리에 의한 변색의 정도를 색차에 의해 비교한 결과, 자외선의 조사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색차가 증가하였으며, 염료별로는 직접염료의 일광견뢰도가 가장 불량하였으며, 이어 반응성염료 및 배트염료의 순이었다<sup>1~3)</sup>. 따라서, 폐기되는 MDF로 부터 얻은 재생섬유를 인테리어 소품의 제조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최적의 염색조건에 대한 검토와 일광견 뢰도의 향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폐 MDF 재생염색섬유의 자외선에 의한 변퇴색성 개선을 위하여 국내산 리기다소나무로 제조한 MDF를 다시 해리하여 얻은 폐 MDF 재생섬유에 대해 반응성 염료(Reactive Red H-E3B, Reactive Red RB 133%)의 고착특성과 자외선에 의한 변색 특성을 검토하였다. 반응성 염료에 의해 염색된 폐 MDF 재생염색섬유의 일광견뢰도는 미반응 염료의 잔존유무 및 고착정도에 의해 좌우되며, 소핑처리와 고착처리에 의해 자외선에 의한 변퇴색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1) 주선경, 노정관. 2017. MDF용 섬유와MDF 재생섬유의 염색성 비교. 2017 한국목재공학회 춘계 학술발표 요지집. p 31. 2) 주선경, 노정관. 2017. 폐 MDF 염색섬유의 자외선에 의한 변색. 2017 한국목재공학회 추계 학술발표 요지집. p 25. 3) 주선경, 노정관. 2017. 폐MDF를 이용한 염색재생섬유 제조. 목재공학 Vol. 45(3). 297-307.

      • 장애자를 위한 건축설계 요소에 관한 연구 Ⅰ : 미국 장애자 건축에 관한 규정을 중심으로

        노정 서울産業大學校 1995 논문집 Vol.42 No.1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discriminated and facing much difficulty in their lives as much as impossible to comparing with the other normal people. They have many objects to prevent to move themselves on the streets, in the passages of many buildings and facilties in the cities.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ust have right to live with happiness just as the other individuals who do not have disabilities. However, such disadvantag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not easy to by eliminated or decreased because of our historic conventions. But our highly cultured society should have the responsibility to improve their circumetances for their social activities. In the field of building and facilities, they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environment available to them. In the western societies, unlike our ones, environment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much dveloped. Therefore, the Americans with Disablities Act(ADA) of U.S. Federation and ADA Accessbility Guidelines for the States, as examples of them, introduced and analysed and, in this paper form this issue, provided as the first refernce for improving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Law of Korea related to the buildings and the facilities in this country.

      • KCI등재후보

        김치에 관한 원주지역 주부들의 식생활 실태조사

        노정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4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life about kimchi of the housewives.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22 housewives in Wonju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point of housewives' domestic duties, over 50% of housewives took care of their domestic duties alone, and the rate who learned how to manage domestic duties from their mothers before marriage decreased as the age got younger. 77.6% of housewives responded that both man and woman could manage a dietary life at home in the future, and the rate of such response was higher as their educational careers were higher and they were younger. In the point of housewives' basic situation about kimchi, the rate of housewives who knew how to prepare kimchi was high as they were older, and the holding rate of a refrigerator for kimchi was high as much as 72.4%. In the point of preparation for kimchi, the rate who made kimchi by themselves was high, but the rate of preparing kimchi by their parents for them was higher in the twenties. Frequency of making kimchi, an amount or a kind having a job or not. Housewives' opinion of a market kimchi was that it was expensive, and not sanitary, and rate of purchasing kimchi was also low. In the point of the prepartion method of kimchi for the winter, the rate who gained kimchi from their parents was higher as they lived in an apartment, and had a nuclear family, and had the lesser family members. In an amount of kimchi prepared for the winter, 11~22 heads were 23.9% and 21~30 heads were 21.9%. In the point of the method preparing kimchi in the future, 53.8% of housewives responded that they would make by themselves, and 28.0% answered they would prepare or purchase. 77.4% of housewives answered that they would teach how to make kimchi to their children. In conclusion, in housewives of Wonju area, wanted to make kimchi by themselves and wanted their children to learn how to make kimchi.

      • KCI등재
      • 대나무재의 접착성

        노정,김재경,김사익,조종수,윤승락 진주산업대학교 1999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6

        3종의 죽재(맹종죽, 왕대 및 솜대)에 대한 특성(생재함수율, 절간길이, 두께등)의 변이 및 상온경화형 수지 접착제에 대한 죽재의 접착성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재함수율은 죽고 및 절부나 절간부에 관계없이 솜대가 가장 낮았으며, 솜대나 맹종죽은 죽고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데 반해 왕대는 중간부가 가장 높았다. 절간부의 길이는 3죽종 모두 하간부나 상간부에서 보다 중간부에서 길었으며, 절간수 20까지의 절간길이의 평균은 왕대, 솜대, 맹종죽의 순이었다. 동일직경에서 간벽의 두께는 맹종죽이 가장 두꺼웠으며, 왕대가 가장 얇았다. 맹종죽에 대한 상온경화형 수지 접착제의 접착성능은 PVAc와 요소수지가 우수하였으며, 동일접착조건에서의 목재(낙엽송)와 목재 접착재료 보다도 내수접착강도는 약 2배 우수하였다. 구조용 상온경화형 수지 중에서는 수성고분자-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접착제의 접착성능이 가장 양호하였다. 접착성능이 비교적 우수한 PVAc 및 수성고분자-이소시아네디트수지에 의한 왕대의 접착성능은 양수지 모두 맹종죽 보다 우수하였다. 접착부위(절부+절부, 절부+절간부, 절간부+절간부)나 적층시의 접착면(외피부+외피부, 외피부+내피부, 내피부+내피부)에 따른 맹종죽의 접착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단지 내피부간의 절부와 절부의 접착성능은 타 접착면이나 접착부위 보다 10∼20㎏f/㎠ 낮았다. The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including green moisture content, internode length, and clum-wall thickness and the bonding properties of ambient setting resin adhesives in three bamboo species, Phyllostachys pubesens Mazel. et Z (Moso bamboo), P. bambusoides Sieb. et Zucc (Giant Timber bamboo), and P. nigra var. henosos Stapf (Hachiku bamboo), were evaluated. Among three species, Hachiku bamboo showed the lowest green moisture cintent without exception for culm height, node and internode parts. In species of Hachiko and Moso bamboos, as the culm height was increased, green moisture content in middle culm. Compared with lower or upper culms, the internode length was the longest in middle culm of all three species. and the order of averaged internode length under internode number 20 was as followed; Giant Timber bamboo>Hachiku bamboo>Moso bamboo. With same value of diameter, Moso bamboo contained the thickest culm-wall, while Giant Timber bamboo the thinnest. The superior bonding property of ambient setting resin for mon-structural uses in Moso bamboo was obtained in PVAc and urea-formaldehyde resin, and the wet bonding strength was two times better than in wood (Larix species) adhesion, Among the ambient setting resins for structural uses, water based polymer-isocyanate resin adhesives showed the best bonding properties. In Giant Timber bamboo, the bonding properties using PVAc and water based polymer-isocyanate resin adhesives were better than in Moso bambo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bonding properties in Moso bamboo depending on adhesion position and zone, but the bonding property of node-node parts, which were bonded as inner layer and inner layer, was lower by 10 to 20㎏f/㎠ than other adhesion position and z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