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月精寺所藏 高麗再彫大藏經 印經本에 대하여

        金芳蔚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보 Vol.0 No.31

        본 논문에서는 고려재조대장경이 판각 이후 인출되는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고, 그 속에서 1865년 인출된 월정사소장 인경본의 위상과 인출과정 및 그 배경을 논구해 보았다. 그리고 월정사소장본의 서지적 특징을 검토한 후, 1865년 인출과정에서 작성된 보유목록의 의의와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장경은 조선 개국과 함께 여러 차례 인출되었고, 심지어 세조 4년에는 50부나 인출되었다. 인경발문이나 실록기사를 검토해보면, 16세기 초까지 인출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17․18세기에는 인출되지 않다가 19세기에 들어 1865년에 모처럼 인출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19세기 들어서의 정치 사회적 변화와 불교계의 부흥 움직임과 연관시켜 분석해 보았다. 둘째, 월정사소장본의 인출과정을 전하는 네 가지 기사를 제시하고, 그 속에서 인출과정과 배경을 추론해 보았다. 단편적인 기사이기 때문에 인출과정 전모를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이었으나, 대강의 밑그림이나마 그릴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1865년 인출은 대원군의 후원 하에 고종즉위 기념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전체 총괄은 남호영기가 담당했고, 인출과정에서 교정은 해명장웅이 담당했으며, 실무는 部林大德과 淸霞․影應․通虛 등이 담당했다. 셋째, 월정사소장본의 서지적 특징으로, 먼저 형태서지적 특징을 간략히 살펴본 후 일부 결락본과 결락장 그리고 그 외 특이사항을 표로 제시하였다. 넷째, 보유목록은 당시 인출과정에서 해명장웅에 의해 작성되었다. 기존 대장목록에서 빠져있던 경판들을 모아서 함차순을 매겨 별도로 목록을 작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지 인출과정에서 대장목록에 빠져있는 것들을 모아놓았다는 의미에 다름 아니다. 따라서 고려재조대장경판과 전혀 성격이 다른 판들이 다수 착종되어 있다. 국간판과 사간판의 구별이 필요한 것이다. 끝으로 월정사소장본의 가치를 살펴보면, 우선 19세기 인경본으로서 거의 완질에 가깝게 남아있고 그 보존상태도 우수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거의 300년간 대장경이 인출되지 못하다가 19세기 중반에 들어서야 모처럼 인출된 것이라는 점에서 그 상징적 의의를 더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inted book of new-carved Goryeo Tripitaka belonging to Woljeongsa. This book was printed in 1865, one year prior to Gojong's enthronement, and distributed into two places, Mt. Seolak's Oseam and Mt. odae's Woljeongsa. The book having kept in Woljeongsa survives to present almost entirely. In this paper, I investigates the history of Goryeo Tripitaka's printing briefly, the background of 1865's printing and the position of the printed book in Woljeongsa's possession. Finally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 is examined and the meaning and issue of Additional List(보유목록) made by Haemyeong Jangwoong(海冥壯雄) at that printing time i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