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용성과 소태산의 同異에 대한 몇가지 문제

        김광식(金光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3 No.-

        본 고찰은 근대공간 종교계의 거목인 백용성과 소태산을 비교하려는 논고이다. 이들은 불교의 혁신, 개혁을 추구하였고, 나아가서는 독자적인 불교의 교단(대각교, 불법연구회)을 출범시킨 불교혁신가, 불교개혁가였다. 그런데, 지금껏 이들에 대한 비교 연구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때문에 이글은 이들의 비교 연구를 촉진하는 성격을 갖는다. 인문학에서 비교를 하려면 양측의 인물에 대한 이해가 충분해야 한다. 그리고 비교하는 관점이 선명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필자는 이 연구의 적합자는 아니지만, 이 분야 연구를 개척하겠다는 입론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백용성은 전통 불교의 교단으로 출가, 수행을 하여 깨친 고승이다. 그는 3ㆍ1운동 민족대표를 역임한 이후 역경, 출판, 참선결사회, 선농불교 등을 통해 불교혁신 활동을 치열하게 추진했다. 나아가서는 제도권 교단을 이탈하여 독자적인 교단인 대각교(大覺敎)를 창립(1926)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외압으로 대각교의 자진 해소, 조선불교선종 총림(朝鮮佛敎禪宗叢林)으로 재기, 해방 이후에는 대각회로 계승되었다. 이렇듯 백용성은 기존 불교 교단의 ‘주변부’에 있었다. 그에 반해 소태산은 수행과 오도를 한 이후 새로운 회상인 불법연구회(佛法硏究會)를 창립(1924)하였다. 이는 기존 불교 교단 및 여타 신흥종교와 무관한 노선이자 조직체이었는데 해방 이후에는 원불교로 계승되었다. 소태산의 지향은 불법에 연원을 둔 혁신불교이었는데, 불법연구회는 교단과 신흥 종교의 경계에 서 있었다. 필자가 주목한 비교의 대상은 일원상(一圓相), 삼학수행(三學修行), 승려의 자립, 한글이다. 이와 같은 대상을 선정한 것은 백용성과 소태산의 행적, 정체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 논고가 백용성, 소태산, 대각교, 원불교, 개혁불교 등의 연구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This is the dissertation to compare Baek Yongseong, the great tree of the religious sect in modern times, with Sotaesan. They pursued an innovation, reformation of Buddhism, and moreover they were the Buddhist innovators, the Buddhist reformers who inaugurated the religious orders of the independent Buddhism(Daegakgyo, Bulbeop research society). But so far, there have never been tried for the comparative research on them. So, this has the characteristic to promote the comparative study for them. If you want to compare them in Humanities, you should understand both figures enough. And the perspective to compare must be clear. In this part, I am not a suitable person for the research though, I just implemented the study in the position to develop this research field. Baek Yongseong is a prelate who came to the traditional buddhist order, practiced, and gained an enlightenment. After he was in charge of the racial representative of 3.1 Koean independent movement, he promoted hard the innovative buddhist movement through translating sutras, publication, Chamseon resolution society, and Seonnong Buddhism etc. Furthermore, he established Daegakgyo(大覺敎, 1926) which was an independent religious order, leaving from the traditional system sect. the comprehensive monastic complex of Joseon Buddhist Seon sect, and was succeeded to the Daegak Society.Such like this, Baek Yongseong was in ‘Surrounding part’ of existent Buddhist order. On the other hand, Sotaesan established Bulbeop research society(1924), which was a new organization, after doing practice and gaining an enlightenment. This was the irrelevant line and organization to the existent buddhist sect and other new religions, but it was succeeded to Wonbulgyo(圓佛敎) after Korean liberation. The aiming point of Sotaesan was the innovative buddhism based on the origination of Buddhist dharma, the Bulbeop research society stood on the border between the religious order and a new religion. comparative subjects that I focused on are the mark of great circle(一圓相), Practice with the three supreme principles(三學修行), Priest’s Economy of independence(僧侶의 經濟的 自立), and Hangul(Korean). I thought that they showed well the pasts, identifications of Baek Yongseong and Sotaesan for the reason why I choose such factors. I look forward to having this dissertation that can be a reference for the studies on Baek Yongseong, Sotaesan, Daegakgyo, Wonbulgyo, and Innovative Buddhism etc.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