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 강의에서의 비대면 토론 방안 연구 : 자기성찰노트를 분석 대상으로

        황희선(Hwang, Heesu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5

        이 연구는 비대면 교양 강의에서의 토론 방식에 대한 연구로, 비대면 토론 방식(ver1. 모듈형)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한 뒤 학습자들의 피드백을 받아 더 나은 비대면 토론 방식(ver2. 단계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모든 대학 강의를 비롯한 공식적인 모임이 비대면 방식(온라인)으로 대체되면서, 비대면 상황에서 진행 가능한 토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1차적으로 비대면 토론 방식(ver1. 모듈형)을 설계하여 토론을 시행한 후 받은 학습자들의 피드백을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자기성찰노트 분석 결과 비대면 토론(ver1. 모듈형)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다만 토론 댓글이 자신의 ppt에서 의도한 것과 다른 것들이 있는데 재반론 할 기회가 없어 아쉬워했다. 자기성찰노트의 의견들을 종합하여, 토론 ppt의 댓글에 대해 다시 반론이 가능한 ver.2 단계형 토론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온라인 강의 시대에 가능한 비대면 토론 방식을 제안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추후 신뢰도 있는 결과를 위해 양적 연구가 필요하며 토론 진행의 시간이나 공통 논제 제시 등에 대해서도 보완된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the study of discussion methods for non-face-to-face liberal arts lectures. In this work, we design and apply the non-face-to-face discussion method (ver1. modular) and then propose a better non-face-to-face discussion method (ver2. phased). First of all, this study designed a non-face-to-face discussion method (ver1. modular). We then analyzed the feedback received from the learner. As a result of analyzing learners" introspection notes, there were many positive reviews about non-face-to-face discussions (ver1. modular). However, he felt sorry that there was no chance to argue again even though the discussion comments were different from what he intended in his ppt. In this work, we synthesized the opinions of introspection notes and proposed a ver.2 phased discussion method that allows us to argue again against the comments in the discussion pp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 possible non-face-to-face discussion approach in the age of online lectures. Quantitative research is needed for reliable results in the future, and complementary discussions are also needed on the time of discussion and presentation of common topics.

      • KCI등재

        대학 교양 강의의 대면ㆍ비대면 시험 답안지 텍스트 비교 분석

        황희선 ( Heesun H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면 강의 후 대면 시험과 비대면 강의 후 비대면 시험에서의 답안지 텍스트를 비교해, 답안 텍스트 작성 능력 차이를 확인해 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대면 시험 80부, 비대면 시험 80부의 답안지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평균 글자 수는 비대면 시험 답안지가 더 길었고, 대면 시험에서는 띄어쓰기에 오류가 많이 보였다. 대면 시험에서 같은 분반의 학생들은 비슷한 정도의 분량으로 답안을 작성하였지만, 비대면 시험에선 답안 작성 길이에 격차가 나타났다. 답안의 전개 방식은 비대면 시험에서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대면 시험 답안은 내용 전개에 비슷한 어구가 여러 학생에게 쓰였고, 비대면 시험 답안에서 평균적으로 더 많은 낱말 수가 쓰였다. 대면 강의에서는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이 있어 어느 정도 평균을 맞출 수 있었지만, 비대면 강의(시험)에서는 불가능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면ㆍ비대면 강의에서 보완할 점을 시사한다. 추후 보다 신뢰도 있는 결과를 위한 양적 분석으로 보완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compare the answer sheet text in face-to-face and non-face tests after face-to-face lectures to check the difference in answer text writing ability. To this end, 80 face-to-face tests and 80 non-face-to-face tests were analyzed. The average number of letters was longer on the non-face-to-face test. In the face-to-face test, there were many errors in spacing. In the face-to-face test, students in the same class wrote in a similar amount, but in the non-face-to-face test, there was a gap in the length of writing the answer. The methods of developing the answers varied more in non-face-to-face tests. The face-to-face test was used by several students with similar phrases for content development. On average, more words were used in the non-face-to-face test. In face-to-face lectures, they had an impact on each other, so they were able to average each other, but it seems to be because they were impossible in non-face-to-face lectures(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t will be supplemented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ctures. This study will be supplemented with quantitative analysis for more reliable results in the future.

      • KCI등재

        다종민족지: 환경 파국 시대의 생물문화적 희망한 민족지적 연구

        황희선 ( Heesun Hwa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1

        본 논문은 최근 많은 연구가 발표되며 주목받고 있는 분야인 ‘다종민족지(multispecies ethnography)’의 다양한 경향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소개하고, 역사적 전개 과정과 주요 이론적 함의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종민족지는 2010년에 처음으로 분야의 명칭이 제안된 이래로, 그보다 앞서 등장한 과학기술학연구 및 비인간 연구의 성과들을 활용하여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 및 ‘비인간 문화’를 이해하는 논의를 진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그 등장이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쟁점 중 하나인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인간을 단독적으로 규정되는 존재로 바라보기보다는 다른 생물종들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 기술하는 특징을 지닌다. 글의 본문에서는 민족지를 넘어 보다 일반적인 다종연구의 기틀이 된 과학학자 도나 해러웨이의 관련 논의 및 인류학자 애너 칭의 연구를 간단히 소개하고, 다종민족지라는 표제로 출간된 여러 연구들을 생명정치, 행위력과 감응, 토착문화연구 및 민족생물학, 존재론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검토하며, 분야 전반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간단하게 소개한다. This essay introduces the growing literature of ‘multispecies ethnography’ by reviewing its history of development over the recent years, as well as its critiques. The literature is classified here into four subject categories; biopolitics, agency/affect, indigenous culture/ethnobiology, and lastly, ontology. Coined in 2010, the term encouraged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nonhumans, and helped with setting up a groundwork for studies on ‘nonhuman cultures’ in sociocultural anthropology. As the concept emerged with the awareness on the ongoing environmental crisis, the approach is in many respects characterized by its taking of human as constituted in relation to other beings, through which alternative relationships may be formed.

      • KCI등재

        텍스트 차원에서 연결어미가 갖는 필자의 의도에 대한 고찰: 칼럼을 분석 대상으로

        황희선(Hwang Hee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차원에서 연결어미가 필자의 의도를 갖는다고 보고, 이를 분석해내는 데에 있다. 먼저 연결어미가 텍스트상에서 응집성과 의도성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van Dijk의 거시구조와 수사구조이론(RST)을 분석 도구로 삼아, 전문가 필자가작성한 논증 텍스트인 ‘칼럼’에서 연결어미가 문맥에서 갖는 역할을 찾고자 하였다. 열 편의 칼럼을 분석한 결과, 응집성이 높은 논증 텍스트에서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문장을길게 쓰는 문맥은 필자의 숨은 의도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필자는 독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독자를 글의 내용에 끌어들이고자 하는 문맥에 ‘-지만’을 사용하였다. ‘-(으)며’의 사용 양상이 특징적으로 두드러졌는데, 같은 필자라고 하더라도 논증의 초구조를갖는 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반면, 에세이와 같은 내용의 문맥에서는 ‘-(으)며’를 자주 사용하지않았다. 연결어미가 필자의 ‘의도’와 ‘응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아/어서’와 ‘-니까’와 같은 인과적 표현의 연결어미는 사용되지 않았다. 표면적인 언어 표현으로 자신의 주장을 드러내는 것은 선호하지 않았다. 추후 접속 조사 사용 문맥과의 비교, 대등적 연결어미 사용 문맥의 양적 연구 등을 진행하고자한다. 후속 연구에서 보완하여 보다 신뢰도 높은 결과를 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ee that connecting-ending carries the intentions of the writer at the text level. First, we assumed that the connecting-ending of connectivity carries cohesion and intentionality in text, and we wanted to analyze this. Using van Dijk’s macro-structure and Rhetorical Structure Theory(RST) as an analysis tool, we wanted to find out the role of connecting-ending in the context of “Column,” an argument text written by an expert writer. After analyzing 10 columns, we found out that the context of writing long sentences using connecting-ending in highly cohesive argument text carried the hidden intentions of the writer. I used “-only” to focus the readers’ attention and attract the readers to the content of the article. The use of “-(으)며” was characterized by its distinctive aspect. Even the same writer did not use it in the writing that carried the superstructure of the argument. In the same context as the essay, “-(으)며” was often u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necting-ending of connection could have affected the writer’s “intention” and “cohesion.” The connection of causal expressions such as “-아/어서” and “-니까” was not used. It was not preferred to reveal one’s arguments with superficial verbal expressions. We will conduct a comparison with the context of using access surveys, and conduct a quantitative study of the context by using equivalent connecting-ending. We want to supplement thisin subsequent studies to produce more reliabl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