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향납세제도에 관한 일본 최고재판소 판결에 대한 검토 - 고향납세대상단체로서의 지정거부처분을 중심으로 -

        황헌순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3 法과 政策 Vol.29 No.2

        Terms such as regional crisis and local extinction are no longer unfamiliar in our society. Accordingly, the current government’s 120 national tasks also include “preventing local extinction and strengthening the balanced development promotion system” under the “local era that is good to live anywhere in Korea.” From January 1, 2023, the “Hometown Love Donation Act” took effect. Donations through this law are intended to serve as an effective factor that can revitalize the depressed area based on the affection felt by people living outside their hometowns. The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is similar to Japan’s hometown tax system, and Japan has introduced and operated this system since 2008. It can be said that the hometown love donation and hometown tax system in Korea and Japan are designed to solve the crisis in the provinces caused by the concentration and overcrowding of the population in certain areas such as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given that the Hometown Love Donation Act has been in effect since 2023, discussions have not yet emerged that specific problems should be solved.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Japan’s recent Supreme Court ruling, in which the hometown love donation system was introduced earlier, to see what implications these discussions in Japan can have for Korea in the future. Based on this research purpose, we will examine the related contents based on the recent ruling of Japan’s Supreme Court. In Korea, attention is being paid to what role the hometown love donation will play in expanding the finances of local governments. Like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of Japan examined in this article, overheating related to donations and returns may occur in Korea in the future, and a zero-sum game related to donations may occur, as mentioned in the supplementary opinion of this ruling.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such as the Hometown Love Don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purpose of the delegated regulations deviates from the scope of delegation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in the legal text or at least at the stage of legislative discussion. In addition, when looking at Article 15 of the current Hometown Love Donation Act as a comparative legal review with this ruling,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insufficient regulations on what coercion can be exercised to fulfill the demands if local governments do not comply with the recommendations of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this regard, it seems necessary to make a policy judgment on whether to prepare a separate system with coercion in the future. Also, for reference, a separate review is needed in the future regarding the area subject to the hometown love donation.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violations of the return provision regulations. It hopes that donations of love for hometow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local finance in the future, and that what we have seen in this ruling in such discussions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operation of the system. 우리 사회에서 지방의 위기 혹은 소멸과 같은 용어는 더 이상 생소하지 않다. 현 정부의 120대 국정과제에도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하에 ‘지방소멸방지, 균형발전 추진체계 강화’가 포함되어 있다. 2023년 1월 1일부터 「고향사랑 기부금에 관한 법률」(약칭: 고향사랑기부금법)이 시행되었다. 이 법을 통한 기부금은 고향을 떠나 외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애향심에 기반하여, 침체된 지역에 활력을 불러올 수 있는 효과적인 요소로 작동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고향사랑 기부금제도는 일본의 고향납세제도와 유사하며, 일본은 이 제도를 2008년부터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의 고향사랑기부금 및 고향납세제도는 수도권 등 특정 지역으로의 인구집중 및 과밀화로 인해 발생하게 된 지방의 위기를 해결해 보고자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3년부터 고향사랑기부금법이 시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아직 특정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논의는 크게 대두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고향사랑기부금제도가 우리나라보다 일찍 도입된 일본의 최근 최고재판소 판결을 살펴봄으로써 일본에서의 논의가 향후 우리나라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지 살펴보기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확충에 있어 고향사랑기부금이 어떠한 역할을 할지 향후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본 글에서 살펴본 일본 최고재판소 판결과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향후 기부금 및 이에 대한 답례품과 관련한 과열경쟁이 발생할 지도 모르며, 본 판결의 보충의견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기부금과 관련한 제로섬 게임이 초래될 수도 있다. 본 판결은 고향사랑기부금과 같은 새로운 제도가 도입됨으로 인해서, 위임받은 규정이 위임범위를 일탈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그 취지가 법률 문언 혹은 적어도 그 입법논의 단계에서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판결과의 비교법적 검토로서 현행 고향사랑기부금법 제15조를 함께 살펴볼 때, 지방자치단체가 행정안전부장관의 권고사항 등 요구를 따르지 않은 경우, 어떠한 방법으로 지방자치단체 간 기부금 수령에 대한 형평성을 도모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와 별도의 제도 마련에 대한 정책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참고로 고향사랑기부금의 대상이 되는 지역과 관련해서는 향후 별도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답례품 제공규정의 위반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향후 지방재정에 있어 고향사랑기부금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을 기대하며, 그러한 논의에 있어서 본 판결에서 살펴본 내용 등이 해당 제도를 추후 운용해 감에 있어서 참고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일본 판결례의 검토를 중심으로-

        황헌순 한국조세법학회 2024 조세논총 Vol.9 No.2

        조세와 관련하여 헌법상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는 세법의 입법과 집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 예컨대, 조세회피행위의 경우 조세법률주의를 중시하면 과세할 수 없다는 한계에 직면하며, 담세력에 따른 조세평등을 중시하면 이에 대한 과세가 가능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이러한 과세는 ‘법률’에 따른 과세는 아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입법자의 입법을 통해서 해결하여야 하는 것이며, 행정부나 사법부의 법해석이라는 미명 하에 관련 규정의 해석범위를 초월하여 과세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의 관계는 조세평등주의가 조세법률률주의의 실질적 내용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우리나라와 법체계가 유사한 일본에서는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 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특정 납세자에게 고율의 세율에 기초하여 과세처분한 반면, 그 밖의 납세자들에게는 저율의 세율로 과세처분한 사안이 문제된 바 있다. 이 판결이 특히 주목을 받았던 이유 중의 하나는 고율의 세율적용이 타당하다는 것이었다. 그 결과 법령에 따른 적법한 처분과 법령에 반하는 저율의 조세부과처분에 대한 문제가 검토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첫째, 조세평등주의가 조세법률주의에 우선한다는 견해가 있다. 즉, 고율에 따른 과세보다 저율에 따른 과세가 다수라는 점에서 조세평등을 고려하여 해당 사안에서는 조세평등주의가 조세법률주의에 우선한다는 것이다. 이는 고율에 따라 과세된 납세자를 구제하기 위한 결과였다고 생각된다. 둘째, 조세법률주의의 실질적 내용으로서 조세평등주의는 집행 및 입법상 작동하는데, 입법 시에는 집행을 염두에 둔 평등을 고려하여 입법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해당 법조항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했으면 위 사안과 같이 과세처분이 달라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는 조세법률주의의 내재적 제약으로서 고율의 납세자에게도 기타 납세자들과 동일한 과세를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볼 때, 조세법률주의와 조세공평주의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양자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세법상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가 공통적으로 논의된다는 점에서 향후 우리에게도 중요한 사례로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세법률주의의 내용을 이루는 조세평등주의에 있어서 수직적 평등 및 수평적 평등을 논의함에 있어서 그 실질적 내용으로서 법조문의 규율밀도 및 명확성에 대해서도 보다 깊이있게 살펴보아야 한다는 점, 합법성의 원칙이라는 것이 법내용평등 뿐만 아니라 법적용평등에 있어서 조세법률주의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한 이론적 검토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Regarding taxes,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ax equalitarianism in the constitutional law are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in the legislation and enforcement of tax law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ax avoidance, if no taxation without law is emphasized, there is a limit that it cannot be taxed, and some believe that if tax equalitarianism is emphasized, taxation is possible. However, in conclusion, these problems must be resolved through legislative legislation, and it will not be allowed to go beyond the scope of interpretation of relevant regulations by law enforcement or legal interpretation of the administration or the judiciary. In this re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ax equalitarianism is understood that tax equalitarianism constitutes the actual content of no taxation without law. On the other hand, among Japanese case, it is not a tax avoidance issue, but it has been a problem for certain taxpayers based on a high tax rate, while other taxpayers have been taxed based on a low tax rate. In this case, given that the application of a high rate is particularly reasonable, the issue of legal disposition under the law and the imposition of a low rate of tax contrary to the law was reviewed. In this regard, first, there is an opinion that tax equalitarianism takes precedence over no taxation without law. Considering tax equality, tax equalitarianism takes precedence over no taxation without law in this case, given that there are many taxes according to low rates rather than high rates. This is thought to have been the result of relieving taxpayers who are taxed according to the high rate, in that they cannot request equality of illegality. Second, it is a view that the principle of legitimacy starts from tax equalitarianism, not no taxation without law. In this way, it is believed that the above issue can be resolved smoothly. However, more diverse reviews of the history and other research are needed for this. Third, as a practical content of no taxation without law, tax equalitarianism works in enforcement and legislation, and in the relevant legislation, it should be legislated in consideration of equality with enforcement in mind. If the relevant legal provisions had been more clearly defined, the taxation disposition would not have changed as in the above case, which is an inherent constraint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high-rate taxpayers should be taxed the same as other taxpayers. From the above discuss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may be variou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ax equalitarianism. In particular, it will be necessary to look at the two as important examples for us in the future as they are commonly discussed in the tax laws of Korea and Japan. In discussing vertical and horizontal equality in tax egalitarianism, which constitutes the content of tax legalism, it is possible to examine in-depth the discipline density and clarity of legal provisions as well as how the principle of legality harmonizes with No taxation without law in legal content equality.

      • KCI등재

        농구경기기록원 자격취득에 대한 법적 검토 - 행정에 있어서의 차별금지원칙 등을 중심으로 -

        황헌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3 스포츠와 법 Vol.26 No.1

        Sports Basic Law has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in Korea now. The basic ideology of Article 2 is to ensure that the value of sports can spread throughout our society, including education, culture, environment, human rights, welfare, politics, economy, and leisure, and to ensure that individuals are not discriminated against in sports activities, autonomy and democracy. In the past, sports activities were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for individual citizens to participate as athletes. However, due to the recent expansion of sports for all, individual citizens have played various roles related to sports such as referees and leaders in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guarantee of discrimination and equal opportunity” that “individuals should not be discriminated against in sports activities.” In conducting such a study, it will be reviewed focusing on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the basketball game statistics recorder'. As a research method, we will look at related discussions in volleyball, baseball, and soccer, which are mentioned as major ball games in Korea in addition to basketball, and look at related systems in Japan, which have similar legal systems to Korea. Summarizi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legal review with Japan, it seems that there are more exceptions in Korea regarding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for referees and Score keepers. Compared to the people who use the general promotion or promotion system, the exceptionally recognized qualification conditions should not work as convenience or preferential treatment for a specific person. Second, there is posibility for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core keepers. Although Article 4 (4) of the Korea Basketball Association's Qualification and Education Regulations explicitly stipulates that the age of Score keepers is up to 60 years old, it is possible to find a qualification requirement to be under 40 years old in notification of education. No people should be deprived of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due to age restrictions. In addi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is content violates the higher law and its effect cannot be recognized.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se problems,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closely review related discussions at the execution stage of sports administration rather than legislative discussions. In other words, it will be important to monitor whether the association is currently complying with the regulations in conducting individual education or classes. It is expected that the contents reviewed in this study will be revised as a system reflecting the purpose of the Sports Basic Law. Through this, I hope that sports administration will be carried out more effectively. In the end, the basic ideology of Sports Basic Law lies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legally review this basic ideology not only to be a simple confirmatory regulation, but to exert its purpose in individual sports activities. It is hoped that the basic principles of the Sports Basic Law and individual sports administration will not be discussed separately, but that sports administration will be discussed as an extension to promote more consistency and unity. 현재 우리나라에는 「스포츠기본법」이 제정되어 시행 중이다. 동법 제2조는 이 법의 기본이념으로서 ‘이 법은 국민 모두가 스포츠 및 신체활동에 자유롭고 평등하게 참여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스포츠의 가치가 교육, 문화, 환경, 인권, 복지, 정치, 경제, 여가 등 우리 사회 영역 전반에 확산될 수 있게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그 역할을 다하며, 개인이 스포츠 활동에서 차별받지 아니하도록 하고, 스포츠의 다양성, 자율성과 민주성의 원리가 조화롭게 실현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이념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과거에는 스포츠활동을 한다는 것이 국민 개개인이 선수로서 참여하는 것을 주된 논의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생활체육의 확대 등으로 인해, 국민 개개인이 스포츠활동에 참가함에 있어 심판, 지도자 등 스포츠와 관련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위 기본이념과 관련하여 특히 ‘개인이 스포츠 활동에서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는 ‘차별금지와 기회균등의 보장’의 관점을 연구의 주제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농구의 경기통계 기록원의 자격요건’을 중심으로 검토하기로 한다. 연구방법으로서 농구 이외에 우리나라에서 주요 구기종목으로 언급되는 배구, 야구, 축구에서의 관련 논의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법체계가 유사한 일본의 관련 제도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현재 농구경기에 있어서의 심판과 경기기록원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과의 비교법적 검토를 행한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심판과 경기기록원의 자격취득과 관련하여 예외가 더욱 많이 마련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예외는 일반적인 승급 혹은 승격제도를 이용하는 국민과 비교할 때, 특정인에 대한 편의 혹은 특혜로 작동해서는 안 될 것이다. 둘째, 경기기록원의 연령에 따른 차별취급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는 점이다. ‘대한민국농구협회 경기원 자격 및 교육규정’ 제4조 제4항은 경기원의 활동연령은 만 60세까지로 한다고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에 대한 공지에 있어서 만 40세 이하로 한다는 자격요건을 발견할 수 있다. 연령제한규정으로 인해 스포츠활동에 참가하는 기회가 박탈당하는 국민이 생겨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은 상위규정에 위반하는 내용으로서 그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으로서는 입법적 논의보다는 스포츠행정의 집행단계에서 관련 논의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현재 협회의 개별 교육이나 강습을 행함에 있어 제규정들을 잘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중요할 것이다. 결국 이러한 논의들의 바탕에는 「스포츠기본법」의 기본이념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이념이 단순한 확인적 규정에 그치지 않고, 개별 스포츠활동에서 그 취지를 발휘하도록 법적으로 검토하는 차원에서 본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스포츠기본법」의 기본이념과 개별 스포츠행정이 별도로 논의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연장선상에서 논의되어 보다 일관성 및 통일성을 도모한 스포츠행정이 행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탄소중립 실현에 있어서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확대를 위한 조세제도

        황헌순 한국조세법학회 2023 조세논총 Vol.8 No.3

        탄소중립 실현은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달성하여야 할 중요 과제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는 종래 경험하지 못한 이상기후, 자연재해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재해를 억제하기 위해서라도 탄소배출량 감소와 탄소중립 실현은 필수적이다. 다만, 탄소중립 실현은 각국의 탄소중립 선언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원이 함께 노력하여야 한다. 이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는 2018년에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를 발표했다. 국내에서 정부는 2021년 10월 18일에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을 발표했다. 그 내용으로서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40%를 감축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러한 국내외의 선언에도 불구하고, 실제 세계적으로 탄소배출량은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마찬가지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을 기초로 관련 제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외에도 정부는 탄소중립 실현에 가장 큰 장벽인 온실가스 등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화석연료 사용 혹은 소비에 대해 금전적 부담을 가하는 제도도 논의하고 있다. 이는 결국 금전적 부담을 통해 국민들의 행동변화를 촉구하겠다는 것이다. 반대로,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행위는 장려해야 할 것이다. 탄소중립 실현을 도모함에 있어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확대와 보급은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는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으로 더욱 각국에서의 에너지의 안정적 수급이라는 문제가 중요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은 여전히 외국들의 수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개선하여야 할 과제이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국내외 상황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보급 및 확대를 도모하기 위한 조세제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나름의 의견을 개진한 바이다. 납세자의 입장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구매 등으로 인해 납부하여야 할 세액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된다. 그렇다면, 해당 설비를 통해 비용의 인정을 위하여 감가상각제도를 활용하게 되는데, 그에 대한 내용연수가 어떠한지에 대해서 현행 법령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이에 대해서는 현실적인 교체 주기 및 외국의 법제를 참고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에 관한 감가상각 내용연수를 보다 분명히 하여, 납세자의 예측가능성과 법적안정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보다 적극적인 확대를 위해 특별가속상각제도의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현행법상 해당 제도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부품 등을 생산하는 시설에 한하여 인정된다고 해석된다. 향후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보급 및 확대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해당 설비의 생산시설 뿐만 아니라, 완제품을 구매하는 일반 국민들에게 대해서도 특별가속상각제도와 같이 감가상각제도를 보다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책과 법제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다만, 이때 해당 설비를 이용하여 손익통산을 활용한 조세회피에는 별도로 대처가 필요할 것이다.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이라는 과제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보급 및 확대를 고려함에 있어 관련 조세제도의 검토를 통해 탄소중 ...

      • KCI등재

        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에 관한 소고 - 체육회의 통합목적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황헌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1 스포츠와 법 Vol.24 No.3

        Korea has traditionally operated professional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for all in physical administration. The separate practice of elite physical education is related to past national policies. However, there is no need to make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elite and sports for all for the same reasons as in the past. Sports organizations tha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ere also integrated and operated in 2015. However, Apart from the integration of the sports association, leaders who guide those who perform sports still distinguish the qualification system as professional sports instructors and life sports instructors. Given the integrated progress of sports organizations to solv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 and living sports,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the sports leader qualification system as well. Based on this sense of problem, this paper looked at the case of Japan for comparative legal review. In Japan, the goal of sports policy has traditionally been to expand the base of sports life, not the same elite sports policy as Korea. In this regard, Japan has a unified system, not divided into sports leadership systems like Korea. In order to continue activities such as the integration of sports associ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thletes from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living sports, Korea also needs to operate a unified leadership qualification system. This will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ports administration and create a true integration of the sports association. 우리나라는 종래부터 체육에 있어서 전문(엘리트) 체육과 생활체육이 양분되어 운영되어 왔다. 엘리트 체육이 별도로 행해져 온 이유는 국위선양을 중요시하는 등의 과거 국가정책과 관련있다. 하지만, 현재 세계 내에서의 우리나라 위상을 생각하면, 과거와 같은 이유로 엘리트 체육을 생활체육과 엄격히 구분하여 별도로 장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엘리트 체육 중심행정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종래 양분되어 있던 체육회도 2015년에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다. 대한체육회의 통합은 엘리트 체육을 위시한 정책으로부터 생활체육을 포함한 스포츠 전반에 대한 관여를 의미하며, 여기에는 스포츠지도자에 관한 영역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체육회의 통합과는 별도로 스포츠지도자의 경우, 그 자격제도와 관련하여 전문스포츠지도사와 생활스포츠지도사로 양분되어 있다. 사회적 환경의 변화, 종래부터 논의되어 온 엘리트 체육중심 행정의 문제 등도 체육회의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를 현행 방식과 같이 엄격하게 양분하는 것이 타당한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행 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가 현재와 같이 전문스포츠지도사와 생활스포츠지도사로 구분되어야만 하는 정당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법적 고찰을 행하기로 한다. 현행 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가 여전히 엘리트 체육중심 행정의 근간이 되는 것이라면, 이는 체육회 통합의 취지와도 배치되는 것이므로 그에 관한 수정이 필요하게 된다. 다만, 이는 법학 및 체육계의 다양한 논의가 필요한 사항이므로 단기간에 행해질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장기적인 관점의 변화를 고려함과 동시에 현재 운용되고 있는 두 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다. 현행 문제점에 대해서는 향후 원활한 스포츠행정을 위해 조속히 개선될 것을 주장한다. 연구방법으로서 장기적인 관점의 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위해 일본의 법제도를 중심으로 비교법적 고찰을 행하였다.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와 법체계가 유사하다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체육정책의 목표가 우리나라와 같은 엘리트 체육정책이 그 기반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체육생활의 저변확대에 있었다. 일본은 당초 스포츠정책의 기조가 우리나라와 달랐기 때문에 스포츠지도자 자격제도 역시 우리나라처럼 이원화되어 있지 않으며, 일원화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현행 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가 엘리트 체육을 우대하는 결과를 발생시키는 것이라면 일본과 같이 일원화된 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엘리트 체육의 폐해를 방지하는 동시에 생활체육의 저변확대를 통한 선수양성 및 우수한 지도자 양성을 위해 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의 개선을 도모함으로써 단기적 및 장기적으로 국민들이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스포츠행정이 행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수익자연속신탁 과세제도-일본과의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황헌순 한국세무학회 2021 세무학 연구 Vol.38 No.1

        In the past, trusts commonly not were used as a means of property management in Korea. However, the demand of trust is increased as a means of rational property management In the face of economic growth and an aging society. So trust law completely revised in 2011. As a result, new trust system are imposed for example Living trust for will substitute and Beneficiary Consecutive Trust. The situation of legislation is similar in Japan. It is a kind of welfare trust or family trust in case of Beneficiary Consecutive Trust. In the case of Japan, the review of the relevant tax system was discussed along with the revision of the trust law.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 readjustment of the tax system was insufficient in Korea. This paper reviews the case of Japan, which has a similar legal system with Korea for Beneficiary Consecutive Trust. From this point, consid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implications or points that we can get from Japan’s case. From this study, it makes the difference below;first,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uses the concept about trusts with successive beneficiaries same as trust law’s meaning. It assume change of beneficiaries only by former beneficiaries death. Second, there is the no regulation Term of existence of trust in trust Law. From this situation, taxpayer can try various things for example deferral of tax and so on. So the consideration needs to discuss for tax-avoidance. Third, the difference in timing of gift in trust beneficiary rights is needed to consider. it is different compare with Japan system. Taxpayers can try to avoiding progressive tax rates by setting numerous beneficiaries. For these things, we need to check other countries examples. Japan and US’s example will help for it. and we need to think about concept and case of trusts with successive beneficiaries and timing of gift in trust beneficiary rights by considering Japan’s system. The purpose of legislation in Japan is prevention of tax avoidance and vitalization of newly imposed trusts system. And we need to consider consistency with other tax law and tax respite system. In our case, it is necessary to refer to Japan’s case of similar legislation in addition to its own efforts for the use of the newly introduced trust system and prevention of tax avoidance.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상사신탁 이외의 신탁이 재산관리 수단으로써 보편적으로 활용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최근 고령화시대에 접어드는 등 사회적 수요에 따라 합리적 재산관리의 수단으로써 신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전면개정된 현행 신탁법은 위와 같은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유언대용신탁, 수익자연속신탁 등 새로운 신탁유형을 규정하게 되었다. 조세와 관련해서는 수익자연속신탁을 설정한 결과, 위탁자 사망 후의 상황에 대한 논의가 행해지므로 상속세와 증여세가 깊이 관련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 신탁법 개정시에 세제는 그에 수반하여 충분히 개정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지적된다. 이에 본고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수익자연속신탁에 대해 우리나라와 유사한 법개정 경위를 가진 일본과의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수익자연속신탁의 개념에 대해 신탁법의 개념을 차용하고 있으며, 신탁법에서는 사망으로 인해 수익자가 변경되는 경우만을 상정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신탁법상 수익자연속신탁 규정을 보면, 당해 신탁의 존속기간에 관한 규정이 없다. 신탁법상 논의 뿐만 아니라 세법에서도 수익자연속신탁의 존속기간 부재로 인해 납세자는 신탁을 활용함으로써 장기간의 과세이연, 혹은 신탁계약에 따라서는 신탁원본에 대한 과세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신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존속기간 제한규정이 필요하다. 셋째,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신탁수익권의 과세시기에 대해 수익실현시과세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때, 한 명의 수익자가 수익을 받는 경우에 비해 위탁자가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의 누진세율의 적용을 회피하기 위해 다수의 수익자를 설정해 둠에 따른 조세회피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검토 결과 첫째, 수익자연속신탁에 있어 사망 이외의 방법으로 수익자가 변경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세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익자연속신탁의 존속기간과 관련해서는 일본과 미국의 경우 신탁에 대한 존속기간을 법에서 규정해 두고 있으므로 위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지나친 장기간의 과세이연, 조세부과의 불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외국과 같은 입법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신탁수익권 과세시기의 문제에 있어서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의 부정회계방지에 관한 연구- 일본의 부정지출 사례를 중심으로 -

        황헌순 한국부패방지법학회 2023 부패방지법연구 Vol.6 No.1

        There are national interests, fairness, and common sense in the state affairs and the principles of state administration proposed by the current government. The "fairness and common sense" in constitutional state also includes adhering to the rule of law, in which laws legislat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 representative of the people, apply fairly to all citizens. Also, rule of law should be comply with providing financial resources for the operation of the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ule of law, the provision of financial resources must be subject to the tax burden in accordance with the basis regulations of the tax law. This is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n our constitutional law. In addition, the tax burden must be imposed substantially equally according to each person's taxable capacity, which appears as Principle of taxation equality under the constitutional law. In this way, taxes imposed and collected by taxpayers such as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are unilateral and compulsory monetary benefits, and there is no explicit opposition to them. Therefore, the financial resources raised through taxation must be used transparently and fairly. And residents can use systems such as residents suit under the Local Autonomy Act to monitor whether the taxation subject is using the funds legal. In this regard, this paper will examine matters related to illegal expenditures such as political activity expenses issued in Japan based on ordinances. And money such as political activity expenses is also used in Korea as a expense for parliamentary activities. Through the case of Japan, which has a similar legal system to Korea, it could discuss what implications our society can derive to prevent corruption in the use of public funds related to political activities in the future. First, accounts that receive money through taxes, such as future political activity expenses, should be more specific and distinguished. In case accounting use does not go as plann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system such as appropriation. Second, if fraudulent accounting use is detected, strong sanctions should be imposed, such as not being able to receive related expenses in the future. Third, as long as the subsidy consists of taxpayers' money, it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ize of the amount. Using Japan's case as a basis for calculation,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e system is that can reduce corruption of money delivered by people's taxes through more specific legislation in the future. 현 정부가 제시한 국정과제와 국정운영원칙을 보면, 국익, 공정, 상식 등이 있다. 법치국가에서의 ‘공정과 상식’은 국민의 대표인 의회에서 입법한 법률이 국민 모두에게 공정하게 적용되는 법치원칙을 고수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러한 법치주의는 국가의 운영 등을 위한 재원마련에 있어서도 준수되어야 한다. 법치주의 관점에서 볼 때, 재원마련은 세법의 근거규정에 따라 조세부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이 우리 헌법이 천명하고 있는 조세법률주의이다. 그리고 조세부담은 각자의 담세력에 따라 실질적으로 평등하게 부과되어야 하며, 이는 헌법상 조세평등주의로 나타난다. 이렇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와 같은 과세권자가 부과·징수하는 조세는 일방적, 강제적 금전급부이며, 그에 대한 명시적 반대급부가 필연적인 것이 아니다. 따라서 조세를 통해 마련한 재원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의 경우, 과세권자가 재원을 투명하게 사용하고 있는지 감시하기 위해 지방자치법상 주민소송과 같은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일본에서 조례에 기초하여 교부된 정무활동비 등의 부정지출과 관련한 사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정무활동비와 같은 금원은 우리나라에서의 의정활동비와 비교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와 유사한 법체계를 가지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통해 향후 우리 사회가 정무활동과 관련한 공금사용에 있어서의 부패방지를 위해 어떠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지 논의해 보기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첫째, 향후 정무활동비와 같이 조세를 통해 금원을 교부받는 회계를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구분해야 한다. 회계사용이 계획대로 되지 않는 경우를 위해 전용과 같은 제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정한 회계사용이 발각된 경우에는 향후 관련비용을 교부받을 수 없는 등 강한 제재를 부과해야 한다. 셋째, 교부금이 국민의 세금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상, 부정사용된 금액의 크기에 구애받아서는 아니된다. 일본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향후 보다 구체적인 법령제정을 통해 국민의 조세로 교부되는 금원에 대한 부패가 줄어들 수 있는 제도마련을 기대한다.

      • KCI등재

        신탁에 있어서의 수탁자과세에 대한 연구-실질과세와의 논의를 중심으로-

        황헌순 한국조세법학회 2022 조세논총 Vol.7 No.1

        The trust system is in the spotlight as a means of succession and manage- ment of property in a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Korea’s Trust Act was completely revised in 2011 to reflect the changed economic reality and improve the trust system to conform to the global standard. Partial revising have been made to the taxation problems arising from the use of the trust. And individual tax laws, such as the Income Tax Act, have been significantly revised around 2020, but there are still many areas that need to be discussed in the future. and this paper is one of the example. In general, the ownership of the property is transferred to the trustee from grantor by disposing of his or her property to the trustee in a trust. Thereafter, the trustee pays the profits generated by managing and operating the trust property to the beneficiary designated by the grantor. At this time, if there is no beneficiary, profits generated from the trust property are reserved to the trustee. In this case, since the trustee withholds the relevant profits, it is a question of whether the trustee should be a taxpayer. If the trustee values the fact that he or she has economic capabilities, he or she may be regarded as a taxpayer. On the other hand, the trustee only receives remuneration by managing the trust property, and cannot be said to be the actual owner. In this way, there is room for criticism that tax obligations on the trustee is an administrative expedient taxation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substance of legal relations between the parties.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above discussion, focusing on a comparative legal review with Japan, which has similar legislation to Korea. In Japan, the Trust Act was completely revised in 2006 and the trust tax system was revised in 2007. In additi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substance over form under the tax law is similar to Korea. In terms of substance over form, it would be reasonable for the beneficiary to bear the tax obligation, but if there is an unnecessary tax delay due to the absence of the beneficiary,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tax the trustee’s economic capabilitie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owner and the current occupant in Japan’s substance over form discussion and to make theoretical attempts to apply the mindset underlying this discussion to trust taxation. This paper will serve as a theoretical reference for trust taxation in con- sidering how to convince taxpayers of this taxation method legally before the policy judgment that the trustee should bear the tax obligation. 우리나라 신탁법은 1961년 제정 이래 내용개정이 전혀 없었는데, 변화된 경제현실을 반영하고 신탁제도를 글로벌스탠더드에 부합하도록 개선하여 사회현실을 고려하고자 2011년에 전면개정이 행해졌다. 이러한 법개정은 신탁제도가 저출산・고령화사회에 있어 재산의 승계 및 관리수단으로서 각광받게 된 하나의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신탁법 개정과는 별도로 신탁제도의 활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세문제에 대해서는 부분적인 대응이 이루어져 온 후, 2020년경에 소득세법 등 개별 세법이 대폭 개정되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향후에도 개별적 쟁점들에 있어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수탁자과세에 대한 논의도 그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신탁은 위탁자가 자신의 재산을 수탁자에게 처분함으로써 당해 재산의 소유권이 수탁자에게 이전된다. 이후 수탁자는 당해 신탁재산을 관리・운용하여 발생하는 수익을 위탁자가 지정한 수익자에게 지급하는 것이다. 이때 수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신탁재산에서 발생하는 수익이 수탁자에게 유보된다. 수탁자가 신탁에서 발생한 수익을 유보하고 있으며, 추후 어느 시점에 수익자가 수익을 수취하게 될지 확실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불필요한 과세이연을 방지하기 위해 수탁자를 납세의무자로 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이에 대해 수탁자가 신탁수익에 대한 경제적 부분을 형식상으로나마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중시하면 수탁자를 납세의무자로 볼 여지도 있다. 반면, 수탁자는 신탁재산의 관리를 행함으로써 그에 대한 보수를 받을 뿐, 실질적으로 진정한 소유자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수탁자에게 납세의무를 부담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당사자 간 법률관계의 실질을 고려하지 않은 행정편의주의적인 과세라는 비판이 있을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위탁자과세신탁 및 우리나라와 유사한 법제를 두고 있는 일본과의 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수탁자과세의 이론적 논의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일본은 2006년 신탁법의 전면개정, 2007년 신탁세제 개정이 행해진 바 있으며, 세법상 실질과세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있어서도 우리나라와 유사하다. 실질과세의 측면에서 보면, 수익자가 납세의무를 부담하는 것이 타당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익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탁자가 경제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실질과세에 있어서 실질이 있다고 판단하여 과세할 수 있는가 하는 논의가 필요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의 실질과세 논의에 있어 위법소득에 대한 과세문제와 같이 실제 소유자와 현재 점유자가 상이한 법률관계를 고찰하고, 이러한 논의의 기초에 있는 이론을 신탁과세에 적용해 보고자 시도함에 본고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는 입법자가 신탁과세에 있어 과세이연 등을 용납할 수 없으므로 수탁자과세를 인정하는 것과 같은 과세가 널리 인정되면, 납세자의 사적 자치라는 영역은 상당히 축소될 우려가 있다. 세법은 어디까지나 사적자치 혹은 사적거래를 기반으로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에 기초할 때, 수탁자가 납세의무를 부담해야 한다는 정책적 판단에 기초한 과세에 앞서, 법이론적으로 수탁자과세를 납세자에게 어떻게 납득시킬 수 있을까 하는 점을 고찰한다는 점에서 본고가 향후 신탁과세에 있어 하나의 이론적 참고...

      • KCI등재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과세제도에 대한 연구

        황헌순 한국세법학회 2023 조세법연구 Vol.29 No.3

        탄소중립 실현은 어려우면서 중요한 과제이다. 탄소중립 실현은 각국의 탄소중립 선언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원이 함께 노력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세계적으로 탄소배출량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탄소중립 실현에 있어서의 문제인 온실가스 등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화석연료 사용 혹은 소비에 대해 금전적 부담을 가하는 탄소세와 같은 제도의 도입이 논의되었다. 이는 결국 금전적 부담을 통해 행동의 변화를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금전적 부담이 행해져야 하는 것인지에 관심이 많았다. 따라서 탄소세에대해서는 경제학적인 분석이 주로 행해져 왔다. 반대로 최근에는 이에 대한 법학적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보여진다. 탄소세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도 중요하지만, 탄소세와 같은 조세부담 역시 조세법률주의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각 세법의 목적과 취지를 고려하여 관련 조세가 부과되어야 한다. 탄소배출에 대해서도 개별 세법들의 성격과 취지 등을 고려하여 보다 법적인 정당성이 부여된 과세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탄소배출에 대한 조세로서 중요성을 가지는 교통․에너지․환경세를 중심으로 관련 논의를 살펴보았다. 교통․에너지․환경세의 경우, 교통관련 부분과 에너지․환경에 대한 부분이 과세근거를 달리하고 있다는 점, 목적세로 운용되어 재정운용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어렵다는 점, 한시법으로서 일몰기한이 정해져 있다는 점, 탄소세로 보기에는 그 과세대상이 협소하다는 점 등을 살펴보았다. 이외에도 현재 휘발유나 경유와 같은 화석연료는 개별소비세의 과세대상이기도 하지만, 현재는 교통․에너지․환경세만 부과되고 있다. 교통․에너지․환경세의 경우 2024년에 일몰기한이 도래한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일몰기한 도래 시에 교통․에너지․환경세를 탄소세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한다. 이를 위해 이용자부담의 원칙에 기반한 교통세는 그 성격을 고려하여 에너지․환경과는 다른 조세제도를 운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교통세의 경우에는 도로의 이용에 대한 측면을 고려하여 전기자동차와 같은 친환경자동차에 대해서도 해당 부분에 대한 조세부담을 고려하는 것이 조세공평에 합당할 것이다. 다만,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고려는 에너지․환경과 관련한 부분에서 참고하여야 할것이다. 또한 에너지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줄여야 하므로, 이에대해서는 교정적 성격을 가지는 개별소비세를 기반으로 운용하는 것이 조세의 성격과취지를 고려한 과세제도라고 보여진다. 그리고 중장기적으로는 이러한 과세체계 위에에너지․환경세를 탄소세로 하여, 현재보다 더 다양한 화석연료를 과세대상에 추가하여탄소세와 같은 성격으로 운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그러한 세율은 국민경제에 대한 부담을 고려하여 일본의 지구온난화대책세와 같이 점진적인 상승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향후 탄소중립사회 실현과 이를 위한 탄소배출에 대한 과세체계를 검토함에 있어 법적 연구의 참고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Realization of carbon neutrality is an important and difficult task to be achieved. To do carbon neutrality needs to effort globally. Nevertheless, carbon emissions are not actually decreasing worldwide. Accordingly, carbon tax imposes a financial burden on the use or consumption of fossil fuels. It aims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cluding greenhouse gas. This means that it will eventually promote a change in behavior through financial burdens. There was a lot of interest in how much financial burden should be imposed on this. Therefore, economic analysis has been mainly conducted on the carbon tax. On the contrary, it seems that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legal discussions on this in recent years. Economic analysis of carbon tax is also important, but tax burdens such as carbon tax should also be based on tax legalism. In addition, related taxes should be im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and purpose of each tax law. For carbon emissions, a taxation system with more legal legitimacy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and purpose of individual tax law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related discussions focusing on traffic, energy and environment tax, which are currently important as taxes on carbon emissions in Korea. In the case of traffic, energy and environment tax, the tax base for transportation and energy and the environment is different, it is difficult to promote financial management efficiency by operating as a purpose tax, the sunset period is set as a temporary law, and the tax is narrow in terms of carbon tax. In addition, fossil fuels such as gasoline and diesel are currently subject to individual consumption taxes, but only traffic, energy and environment tax are currently imposed. In the case of traffic, energy and environment tax, the sunset deadline arrives in 2024.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convert traffic, energy and environment tax to carbon taxes when the sunset deadline arrives. To this end,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operate a tax system different from energy and the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the transportation tax based on the principle of user burden. Accordingly, in the case of transportation tax, it would be reasonable to consider the tax burden on 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in consideration of the aspect of road use. However, consideration of eco-friendly vehicles should be referred to in areas related to energy and the environment. In addition, since the use of fossil fuels that affect energy and the environment must be reduced, it seems that operating based on individual consumption taxes with a corrective nature is a tax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nature and purpose of the tax. In the mid- to long-term, it seems that it is possible to consider using traffic, energy and environment tax as carbon taxes, adding more diverse fossil fuels to the taxable and operating them in the same nature as carbon taxes. And such a tax rate needs to be raised gradually, such as Japan's global warming countermeasure tax, in consideration of the burden on the national econom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legal research in reviewing the realization of a carbon-neutral society in the future and the taxation system for carbon emi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