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덴칭거’ 우리말 번역의 역사와 가치

        황치헌(Hwang, Chiho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덴칭거 한국어판 번역 작업은 수원가톨릭대학교 황치헌 신부와 이성효 신부(현 주교)의 발의로 2003년 시작되었다. 2005년 주교회의 상임위원회는 덴칭거 번역 계획을 승인하며, 번역물에 대한 저작권을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가 갖고, 번역물은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와 천주교용어위원회 최종 검토를 반드시 거치도록 하였다. 2007년 7월 초벌 번역이 완료된 이후, 교정 작업에 들어갔으나 신학용어, 인명, 지명이 번역자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어 통일 작업이 요구되었다. 2008년 11월 계약 연장을 신청하고, 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섯 명으로 구성된 상임위원회(위원장: 심상태, 위원: 이성효, 곽진상, 황치헌, 박현창, 박찬호)체제 하에 번역 작업을 이어나갔다. 그러나 번역위원들이 신학교에서 강의 외에 학생들의 생활지도와 여러 가지 보직을 맡느라 덴칭거에만 전념할 수 없었고, 또 번역위원들 두 명이 투병 생활을 해야 했으며, 전체 사료에서 일부분만을 발췌한 본문의 경우, 시대적 상황과 신학적 문제, 라틴어에 담긴 신학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번역 작업이 지연되었다. 제출기간에 쫒기어 미완성 상태의 원고를 보냈으나, 작업 지연과 출판 기한 연장, 그리고 초벌 번역에 대한 불신 등으로 2011년 주교회의 상임위원회는 덴칭거의 번역과 출판을 수원가톨릭대학교에 위임한 적도 있다. 주교회의 교리주교위원회의 검토 의견과 전문가의 의견을 받아들여 다시금 덴칭거는 CCK에서 출판하게 되었고, 수원가톨릭대학교 번역팀이 필요한만큼 시일을 두고 번역하되, 완성된 번역본에 대해서는 수원가톨릭대학교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도록 하였다. 신앙교리위원회의 감수 작업과 재차 수정 작업 끝에 2015년 11월 번역 원고를 제출하고, CCK 편집팀과 마지막 교열, 교정 작업 끝에 2017년 3월 주교회의 차원의 출판기념회로 번역 작업을 마치게 되었다. Die koreanische Übersetzungsarbeit des Denzinger begann 2003 mit der Initiative der Professoren an der Universität Suwon, nämlich Chihon Hwang und Seonghyo Lee. Die ständige Kommission der koreanischen Bischofskonferenz bestätigte 2005 den Plan der koreanischen Übersetzung des Denzinger und beschloss, dass die katholische Konferenz von Korea(CCK) das literarisches Eigentum haben und die Kommission der Glaubenslehre und der Fachwörter die Übersetzungsarbeit endgütig überprüfen sollen. Nachdem die erste Übersetzungsarbeit im Jahre 2007 vollendet wurde, mußte man eine Korrektur lesen, indem man das Manuskript vereinheiltichte, weil die theologische Terminologie, Personenname und Ortsname nach der Übersetzern verschieden dargestellt wurden. Im Jahre 2008 bat man um die Verlängerung des Vertrags und setzte die Übersetzungsarbeit unter aus fünf Professoren bestehenden ständigen Kommission fort. Aber die Arbeit verzögerte sich. Denn die Professoren beschäftigten sich wegen der Vorlesungen, der Leitung der Seminaristen und der vielerlei Stellen nicht ganz mit dem “Denzinger”, die zwei Professoren kämpften gegen die Krankheit und man stoß auf machen Schwierigkeiten, indem man die zeitliche Umstände, die theologische Frage und Bedeutung des lateinischen Terminologie auffasste. Man schikte CCK das unvollstängdige Manuskript unter zeitlichen Druk und die ständige Kommission der koreanischen Bischofskonferenz gab aber im Jahre 2011 der Universität Suwon den Auftrag, die Übersetzungsarbeit und die Veröffentlichung des Denzingers zu übernehmen, wegen der Verzögerung der Arbeit, der Verlängerung der Veröffentlichung und dem Misstrauen der ersten Übersetzungsarbeit. Die Kommission beschloß nach der Beratung der bischöflichen Kommission der Glaubenslehre und des Fachmanns, dass CCK wiederum die Veröffentlichung des Denzinger übernehmen soll, unter der Bedingung, dass die Universität Suwon so viel arbeiten, wie er braucht und die Verantwortung auf den vollständigen Manuskript nehmen soll. Nach der Überprüfungsarbeit der Komission der Glaubenslehre und dem mehreren Korrekturlesen gab man das Manuskript ab und vollendete die Übersetzungsarbeit im Jahre 2017 nach der letzten Revision der CCK mit einer festlichen Veranstaltung, an der alle koreanischen Kardinale und Bischöfe teilnahmen, aus dem Anlass der Publikation des koreanischen Denzinger.

      • 전염병의 역사와 교회의 삶

        황치헌(Hwang, Chiho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1 이성과 신앙 Vol.70 No.-

        교회의 역사 초기, 서기 65년과 165~180년에 “안토니누스 페스트”, 그리고 241~266(252~261)년에 “치프리아누스 페스트”, 그리고 황제 막시미아누스 치하 때(286~305년) 미지의 악성 전염병이 로마제국에 발생했다. 그러나 로마제국 시대의 전염병은 불행하게도 로마제국으로부터 박해를 받는 그리스도교 성장에 불리하게 작용하였으며, 그리스도교 박해의 또 다른 구실을 만들어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염병에 대한 책임을 떠맡고 박해를 받았던 그리스도교인들은 이교도들과는 달리 이웃 환자들을 돌보고 간호하는 애덕행위를 실천했다. 그리고 그리스도교 고대 시기에, 곧 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누스(재위 527~565년) 치하 때 541년에 “유스티니아누스 페스트”가 발생하였는데, 이때 펠라지오 2세 교황(재위 579~590년)이 교황으로서 처음으로 전염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후임자 대 그레고리우스는 연설에서 전염병을 하느님의 채찍, 하늘의 진노의 칼로 비유하며, 하느님의 진노를 가라앉히기 위해 로마 신자들에게 신분에 따라 일곱 지역으로 나누어 연송을 바치며 행렬을 하도록 명하였다. 소위 “흑사병”이라고도 불리는 페스트가 14세기에 발생하였는데, 이때 사람들은 페스트를 인간의 죄에 대한 하느님의 벌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재앙을 피하기 위해서 요구된 신앙의 응답행위로 편타고행이 생겨났다. 또한 페스트가 확산되는 위기상황에서 자구적으로 형제회들이 생겨났다. 또한 사람들은 페스트에 대한 공포로 미신과 점성술에 의지했고, 페스트 시대의 공포를 죽음의 무도와 같이 조형예술에서 표현했다. 반면 많은 사람들은 교회에 보호를 요청했고 신앙 안에 굳게 머물려고 하였으며, 특히 성인들께 보호와 전구를 요청하였다. 그리고 페스트 유행이 지나간 이후 살아남은 이들은 희생자들을 기념하고, 마을과 도시를 페스트 전염병에서 지켜주는 수호신 역할을 하도록 페스트 십자가와 페스트 기둥을 만들었다. 또한 페스트 시기에 성직자들이 성사집행 중에 페스트의 전염 위험에 노출되어 많이 사망하였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병자성사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페스트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환자의 고해를 듣지 않고 이들에게 병사성사도 베풀지 않으며 사목지를 떠난 신부들도 많았고 또 사직한 신부들도 있었다. 그리고 아비뇽 교황청에 머물렀던 교황 클레멘스 6세는 페스트 발병 시에 드려야 하는 새로운 기원미사(Missa pro vitanda mortalitate)를 드리도록 하였고, 희년과 관련된 칙서와 유다인 박해 금지 칙서를 반포했다. 17세기에 이르러서야 교회는 전염병을 신앙의 대상만이 아닌 예방 의학의 대상으로 생각하면서 전염병의 감염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게 되었다. In der Frühgeschichte der Kirche brach eine unbekannte Epidemie, nämlich im Jahr 65 und 165-180, “Antoninus-Pest”, im Jahr 241-266 “Cyprianus-Pest” und unter der Herrschaft von Kaiser Maximian(286-305) im Römischen Reich aus. Die Pest wirkte jedoch leider gegen das Wachstum des Christentums unter der Verfolgung durch das Römische Reich und schuf einen weiteren Vorwand für die christliche Verfolgung. Im Gegensatz zu Heiden praktizierten aber die Christen, die die Verantwortung für diese Epidemie übernahmen und dadurch verfolgt wurden, wohltätige Handlungen für die Kranken. Und während der Regierungszeit des Römischen Kaisers Justinian trat noch die “Justinianische Pest” im Jahr 541 auf. Zu dieser Zeit starb der Papst Pelaggio II. an dieser Pest. Sein Nachfolger, Gregor der Große verglich in seiner Rede die Pest mit der Peitsche Gottes und dem Schwert des Zorns des Himmels und befahl den römischen Gläubigen, entsprechend ihrem Status mit septiformis Litaniae an einer Prozession teilzunehmen, um Gottes Zorn zu unterdrücken. Der sogenannte “Schwarze Tod” entstand im 14. Jahrhundert. Man betrachtete die Pest als Gottes Strafe für die menschliche Sünde. Um eine solche Katastrophe zu vermeiden, entstand das Flagellantentum als erforderlichen Reaktion auf den Glauben. Darüber hinaus entstanden die Bruderschaften von selbst in dieser Krisensituation, in der sich die Pest ausbreitete. Aus Angst vor der Pest verließ man sich auf die Aberglauben und Astrologie. Man drückte die Angst vor der Pest in der Bildkunst wie Totentanz aus. Auf der anderen Seite baten viele Menschen die Kirche um Schutz und versuchten, fest im Glauben zu bleiben, insbesondere baten sie die Heiligen um Schutz und Fürbitte. Und die Menschen, die die Pest überlebten, errichteten später die Pestkreuze und Pestsäule, damit diese den Opfern gedenken und als Wächter dienen, um Städte vor der Pest zu schützen. Während der Pest starben viele Priester, weil sie bei der Spendung der Sakramente dem Risiko einer Ansteckung ausgesetzt waren. Daher starben viele Menschen, ohne Sterbesakramente zu empfangen. Aus Angst vor der Pest hörten jedoch viele Priester nicht die Beichte des Kranken, spendeten ihnen keine Sterbesakramente, verließen ihre Pfarrei und einige waren sogar zurückgetreten. Der Papst Clemens VI., der in Avignon geblieben war, befahl während des Ausbruchs der Pest eine neue Missa pro vitanda mortalitate zu feiern, und erließ ein Jubiläumsbulle und ein Bulle über das Verbot der Judenverfolgung. Erst im 17. Jahrhundert begann die Kirche, sich aktiv gegen dem Risiko von Epiedemie vorzugehen, indem sie die Epidemie nicht nur als Objekte des Glaubens, sondern auch als Objekte der Präventivmedizin betrachtete.

      • 중세 그리스도교 신경의 역사적 변천 연구

        황치헌(Hwang, Chiho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1 이성과 신앙 Vol.49 No.-

        니케아 공의회와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에서는 정통신앙이 아닌 그릇된 신앙을 가진 이들에 대하여, 삼위일체 하느님 안에서 삼위의 관계, 성부와 성자와의 동일본질, 성자의 참된 인간이심, 성령의 신성에 대한 믿음을 그들의 언어로 고백했다. 그리고 에페소 공의회 때에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네스토리우스에 반대하여 말씀과 육의 위격적 결합과 하느님의 모친이 정통신앙으로 고백되었다. 또한 칼케돈 공의회 때에는 에우티케스를 겨냥하여 그리스도의 두 본성에 하나의 위격에 대한 결정적 선언을 한다. 뒤를 이은 공의회들과 교황들의 개인적인 신앙고백들은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에페소,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들에 대한 존경과 신뢰를 보여주었고, 마지막으로 제3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의 단의설을 반대하며, 그리스도 안에 두 본성적 의지와 두 본성적 활동을 고백하였다. 이 모든 공의회의 노력과 역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정체성’에 대한 그리스도교 교회의 공적 신앙과 그 고백을 말해준다. 그것은 바로 오늘날에도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고백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그분께서는 참 하느님으로 계시면서 참 사람이 되셨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참 하느님이시며 참 사람이시다.”(464항). 본 논문은 그리스도교 신경이 초세기를 거쳐 중세기에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살펴보면서 신경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내용을 다루었다.

      • ‘덴칭거’란 무엇인가?

        황치헌(Hwang, Chiho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신경 편람은 2000년 가톨릭교회 역사 안에서 제기된 신앙과 도덕 문제에 대한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을 선별하여 모은 편람으로서, 1854년 독일 뷔르츠부룩 대학 하인리히 덴칭거(Heinrich Denzinger, 1819-1883) 교수신부가 처음으로 만든 책이며, 2017년 현재까지 마흔 네 번의 증보판이 나왔다. 로마 게르마니쿰 신학원에서 수학한 덴칭거는 뷔르츠부룩 대학의 교의학 교수로서 활동하면서 독일 교회의 회복을 위해서 옛 신경들, 공의회와 교회회의 결정들 및 교황 교서, 헌장, 교령, 검열문, 회칙들을 선별하여 하나의 모음집을 만들어 냈다. 그의 사후, 이그냐츠 슈탈, 클레멘스 반바르트, 요한네스 움베르크, 카알 라너, 아돌프 쉰메쳐, 페터 휘너만이 후속 개정판을 계속해서 내놓았으며, 한국어를 포함하여 11개국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덴칭거』는 단순히 사료모음집이 아니라 문헌들을 선택하는 데에 명시적으로나 암묵적으로 신학적인 구상이 깔려 있는 모음집이다. 곧 교회의 권위가 최종 결정한 신앙과 도덕에 관한 문서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과, 따라서 교도권의 결정이 교황의 결정과 선언에만 치중되어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또한 교도직의 문서들이 시대와 공간 안에서 반포되었고 따라서 당대의 언어관습을 따랐기 때문에, 전문적인 신학적 표현들이 모든 문헌에서 정확히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지 않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덴칭거』를 올바로 이용하기 위해서 문헌들의 전체 역사적, 어문학적, 교회사적 맥락의 연구도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Enchiridion Symbolorum ist ein Sammelwerk der Glaubensbekenntnisse und kirchlichen Lehrentscheidungen zu Fragen des Glaubens und der Sitten, die 2000 Jahre lang gestellt wurden. Das hat im Jahre 1854 Heinrich Denzinger, Professor an der Universität Würzburg in Deutschland veröffentlicht. Bis 2017 kam 44. erweirterte Auflage heraus. Denzinger, alter Germaniker in Rom, hat ein Sammelwerk geschaffen, indem er als Professor der Dogmatik an der Universität Würzburg die alten Glaubensbekenntnisse, die Definitionen der Synoden und Konzilien, die päpstlichen Schreiben, Konstitutionen, Dekreten, Zensuren und Encykliken auserwählte, zur kirchliche Regeneration Deutschlandes. Nach seinem Tod gaben die Herausgeber, nämlich Ignaz Stahl, Clemens Bannwart, Johannes Umberg, Karl Rahner, Adolf Schönmetzer, Peter Hünermann die verbesserte Auflage heraus und der Denzinger ist samt der koreanische Sprache in 11 Sprache übersetzt. Der Denzinger ist nicht ein reines Qullenwerk, sondern hat explizit oder implizit eine theologische Konzeption zur Auswahl der Dokumente. Man muss bemerken, dass der Denzinger orientiert ist, an die Dokumente über Glauben und Sitten, welche die Autorität der kirchlichen Lehramt endgültig geschlossen hat, und dass der Denzinger nur auf die päpstlichen Lehrdokumente unter der Lehrentscheidungen des Lehramtes Gewicht legt. Man muß auch bemerken, dass die einzelnen theologischen Fachausdrücke in jedem Dokument genau den gleichen Sinn nicht besäßen, weil die Dokumente in der Zeit und Raum veröffentlicht wurden und sich das Lehramt am theologischen Sprachgebrauch der jeweiligen Epochen orientiert hat. Und man soll zum rechten Gebrauch des “Denzinger” im historischen, philologischen und kirchengeschichtlichen Kontext die Texten forschen.

      • 고려왕에게 보낸 교황 요한 22세의 서한에 대한 유럽의 연구 동향

        황치헌(Hwang, Chiho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1 No.-

        1333년 아비뇽에 머무르던 교황 요한 22세가 북경 교구장을 원나라에 파견하면서 고려왕에게 그리스도교에 대한 협조의 내용을 담아 보낸 라틴어 서한 사본을 발견하였다는 뉴스가 나왔다. 그 서한에 따르면 이미 고려 시대 때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있었고, 따라서 한국천주교회의 기원은 1784년이 아니라 130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위의 서한에 대한 연구 작업은 이미 유럽에서, 그것도 19세기부터 최근에까지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위 서한에 대한 서양의 연구작업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1859년 마르첼리노 다 치베차로부터 시작해서, 20세기에는 장 바르텔레미 리샤르, 21세기에는 알렉산더 토에펠이 위 서한을 연구하며 당시의 고려왕을 충숙왕과 연결시키면서 프란치스코회 선교사들을 통하여 고려 시대에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있었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그러나 ‘Corum’과 ‘Soco de chigista’에 대해서 객관적 사료와 증거가 없이 가정과 유추로 얻은 결론이기 때문에 그 주장들을 아직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에는 어렵다. 앞으로 이 서한에 대한 연구는 어원학적, 지리학적 연구 등 다방면에 걸쳐 종합적인 연구를 요구하며, 아울러 아직 발견되지 못한 사료에 대한 접근과 발굴까지도 요청한다. It was reported that the letter copy written the Latin language to say about the cooperation toward Christianity was found, which was sent to king Goryeo, Korean dynasty, dispatching the diocesan bishop of Beijing to Yuan Dynasty by Pope John XXII during his stay in Avignon in 1333. According to the letter, there were already Christians in the days of Goryeo, so the origin of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be traced back to not 1784 but early 1300s. By the way, a research work on above the letter was already carried out in Europe from the 19th century until a recent date. This theses aims to introduce the research work of the West on above the letter. Starting from Marcellino da Civezza, both Jean Barthélémy Richard in the 20th century and Alexander Toepel in the 21st century studied deep into above the letter and got king Goryeo connected to the king Chungsuk. Moreover they argued that there were Christians in the days of Goryeo by Franciscan missionaries. However, because of the conclusion by the assumption and the inference without the objective historical records and evidence over ‘Corum’ and ‘Soco de chigista’, it is yet difficult to be accepted the assertions as a historical fact. From now, the study on this letter should be needed for a comprehensive study, and also should be required even the approach toward still undiscovered historical records and the excavation.

      • 트렌토 공의회의 ʻ신학교 설립교령ʼ과 그 실행에 대한 연구

        황치헌(Hwang, Chiho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40 No.-

        본 논고는 트렌토 공의회에서 ‘신학교 교령’이 형성되는 과정과 그 교령이 어떻게 실행되었는지를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제1장에서는 ‘신학교 교령’이 생겨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제2장에서는 트렌토 공의회 제23회기 때 결정된 ‘신학교 교령’의 내용에 대해서 분석하며, 제3장에서는 이 ‘신학교 교령’이 어떻게 실행되어 갔는지를 살펴보았다. 예딘이 정확히 파악한 바대로, 공의회에서 ‘사제 교육 문제’를 밝히는데 이끌었던 동기는 공의회 제4차 회기 이후에 나온 설교의 개혁이었다. 그리고 ‘신학교 교령’의 탄생에 영향을 미친 것은 폴 추기경의 영국식 신학교와 성 로욜라의 이냐시오가 설립한 콜레기움 게르마니쿰이다. 마침내 트렌토 공의회 1563년 7월 15일 성품성사에 관한 교리가 선포된 공의회 제23회기에서 재속 사제 양성을 위한 특정 목적을 가진 신학원(Collegium)을 생각하기로 의견을 모았으며, 마지막 제18조로써 “Cum adolescentium aetas” 교령 안에 이른바 ‘신학교 교령’이 반포되었다. 교령 Cum adolescentium aetas는 수세기를 걸쳐 교회가 가는 길의 전환점이 되었다. 이 교령은 교회의 역사 안에서 처음으로 교구사제 양성을 위한 새로운 영성적인 기관을 창출한 것이다. 그러나 법이나 규정에 의해서만이 새로운 삶을 창조하지 않는다. 그것은 응용과 실행을 필요로 한다. 트렌토 공의회의 신학교 교령이 도처에 실행되기까지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가장 어렵게 극복해야 했던 세 가지 장애들은 신학교 설립 자금 조달과 재속 사제 중에 적합한 교수능력과 지도능력을 가진 사람들의 부족이었으며, 마지막으로 국가[황제, 영주]의 간섭이었다. Bei diesem Beitrag geht es um den historischen Prozeß der Entstehung des Seminardekret des Trienter Konzils und seine Verwirklichung. Wie Hubert Jedin recht beobachtet hat, war der Anlaß, der zur Erörterung der Frage der Priesterbildung auf dem Konzil führte, bezeichnenderweise die Reform des Predigtwesens, die nach Sess. IV auf die Tagesordung des Konzils kam. Und was auf die Entstehung des Seminardekret einwirkte, war besonders das englische Seminar vom Kardinal Pole und Collegium Germanicum vom Heiligen Ignatius von Loyola. Am 15. Juli 1563, in der 23. feierlichen Sitzung des Konzils, auf der die Lehre vom Weihesakrament verkündet wurde, wurde endlich in den Decreta super reformatione als 18. und letzer Canon das Dekret „Cum adolescentium aetas„ das sogenannte Seminardekret, publiziert. Das Dekret Cum adolescentium aetas ist ein Markstein auf dem Wege der Kirche durch die Jahrhunderte geworden. Es hat zum ersten Male in der Geschichte der Kirche für die Ausbildung des Diözesanklerus, und zwar für die theologische wie die spirituelle, eine Institution geschaffen. Aber Gesetze allein schaffen noch kein neues Leben. Sie bedürfen der Anwendung und Durchführung. Es hat geraume Zeit gebraucht, bis sich das Dekret überall im Orbis catholicus durchsetzte. Als die drei am schwersten zu überwindenden Hindernisse erwiesen sich die Aufbringung der Kosten, der Mangel an geeignetetn Lehr - und Leitungskräften im Weltklerus und der Eingriff der Staaten[Kaiser, Fürs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