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물인터넷 환경을 위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과 스마트 낚시 루어의 구현

        황제민,신예진,설순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In this paper, we conduct experiments to compare performance of streaming protocols suitable for IoT environment where the power efficiency and real-time service is required, and examine the results by applying the streaming protocol to a smart fishing lure. Recently, IoT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the use of video-based services is increasing. As IoT devices become smaller, their performance is lighter and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on the real-time streaming service. When power or network bandwidth is limited, such as IoT devices, efficient use of limited resources is required. However, Previous studies that compare the performance of streaming protocols have focused on comparing QoE (Quality of Experience) in Ethernet or WiMAX environment or delay by analyzing packets.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streaming protocols in terms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required in poor wireless network, limited-power, and real-time streaming environment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streaming protocol. We confirm that improved performance and efficient live streaming services are possible compared to the existing products in applications where efficient power usage is required and network environment is limited. 본 논문에서는 전원효율성과 실시간 서비스가 요구되는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에 따른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스마트 낚시 루어에 적용하여 결과를 확인한다. 최근 사물인터넷 응용 기술이 발달하며, 이에 따라 영상기반 서비스의 활용도 높아지는 추세이다. 사물인터넷 장치들은 소형화로 인해 성능이 기존 장치들에 비해 경량화되어 실시간 스트리밍 기능에 여러 가지 제약을 가지게 된다. 사물인터넷 기기와 같이 전원이나 네트워크 대역이 제한되는 경우 한정적인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스트리밍 프로토콜의 성능을 비교한 기존 연구들은 이더넷이나 WiMAX환경에서 QoE를 비교하거나 패킷을 분석하여 지연 성능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리는 실험을 통해 무선네트워크 성능이 낮거나 전원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요구되는 성능 지표와 실시간 스트리밍에서 요구되는 품질 지표를 이용해 프로토콜의 성능을 비교하여 가장 적절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찾는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전력 사용이 요구되고 네트워크 환경이 제한적인 어플리케이션에서 기존 제품에 비해 향상된 성능과 효율적인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함을 보인다.

      • KCI등재

        빛과 주파수로 다양한 어종을 유인하고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부표의 설계와 구현

        황제민,정진서,설순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In this paper, we propose a buoy that operates on the surface of water and attracts fish using light and frequency and can show fish under water in real-time.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ght source used for attract the target fish species is so high that it cannot operate for a long time, the types of light or frequency that can be generated are limited, and the control procedure for changing the target fish species is complicated. These make users uncomfortable. The proposed technique consists of the buoy which is capable of attracting fish and a smartphone application which is capable of controlling buoys remotely. The buoy can attract the target species with the appropriate frequency and light because it can generate a wide range of frequency and light. In addition, the buoy provides underwater images taken with a camera located at the bottom of it. Users can control the frequency and light remotely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check fish under water in real-time. This enables the user easily catch the target fish species by attracting fishes to the desired location. 본 논문에서는 수면 위에서 동작하며 빛과 주파수를 이용해 물고기를 유인하고 물고기가 유인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표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목표 어종을 유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원의 전력소모가 크기 때문에 장시간 동작을 못하거나, 생성할 수 있는 빛 또는 주파수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고 목표 어종 변경을 위한 제어 절차가 복잡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져온다. 제안하는 기술은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부표와 원격에서 부표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부표는 넓은 범위의 주파수와 빛을 생성할 수 있어 목표 어종에 적합한 주파수와 빛을 생성하여 유인할 수 있고, 하단에 장착된 카메라로 수면아래를 촬영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에서 부표가 발생할 주파수와 빛을 설정할 수 있고, 수면아래의 물고기 유인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낚시 장소를 이동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물고기를 유인하여 목표 어종을 손쉽게 낚시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모듈형 어댑터 기반 스마트 홈 원격제어 시스템

        황제민,정진서,신예진,설순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home system for usability of disabled people. Previous researches require replacement of the existing devices or installing new electrical cabling, and often use smart phone, so people with disabilities face difficulties in installation and control.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smart button, smart adapter, smart controller, which allows the existing devices to be IoT devices at low cost without replacing them with new ones. We design detachable adapters the can be attached to various types of devices and be applied in regardless of the button configuration of the device through various operation modes to increase versatility. Smart button can be controlled by twi ways of remote control signal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disabled people, the devices can also be controlled by smart button that has simply one physical button. Secondly, the smart controller can control multiple adapters outside of the visible range. In addition, we implement an external remote control function through the web by applying a platform for remote control to our system, and implement an integrated platform that can integrate IPTV and navigation as well as smart home. Our system provides convenience to disabled people in using smart home system and contributes to IoT scalability. 본 논문에서는 장애인의 사용편의성을 고려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들은 댁내의 기기를 교체하거나 설치 공사가 필요하며 스마트 폰을 통해 제어하는 경우가 많아 몸이 불편한 장애인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치 및 제어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스마트 버튼, 스마트 어댑터, 스마트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기존의 기기들을 교체하지 않고 해당 기기들을 저비용으로 IoT 기기로 확장시킬 수 있다. 탈부착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고 다양한 동작방식으로 기기의 버튼구성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 가능한 어댑터를 이용해 범용성을 높인다. 스마트 어댑터는 2가지 방법의 원격제어 신호로 제어가 가능하다. 장애인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물리적 버튼만 가진 인터페이스로 구성한 스마트 버튼을 통해서 제어가 가능하다. 스마트 컨트롤러는 여러 개의 어댑터를 통합 제어할 수 있으며, 가시거리 밖의 어댑터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또한, 제안 시스템에 원격제어를 위한 플랫폼을 적용하여 웹을 통한 외부 원격제어 기능을 구현하며, 스마트 홈뿐만 아니라 IPTV,내비게이션을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이 스마트 홈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고 IoT 확장성에 기여한다.

      • KCI등재

        개인위치공유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향상에 관한 연구

        정진서,황제민,설순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Due to the importance and value of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in recent years, a number of location-based services(LBS) have been launched, and many popular LBS are based on mobile applications, thanks to the popularization of phones with satellite navigation devices. However, since many users of LBS have experienced various side effects that come from the convenience of having a phon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 side effects could become a big social issue. Not only one of them, the steady occurrence of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leakage, has led users to deviate from LBS, but also inconvenience and dislike that come from quality of the services has done. Therefore,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problems of existing personal location-sharing applications. And we demonstrate that we can implement a new personal location-sharing application considering the user experience(UX) by using the interface and system of telephone service found in the analysis process. 최근 몇 년 간 개인위치정보의 중요성과 가치 때문에 수많은 위치기반서비스가 출시되었는데, 위성항법장치를 장착한 스마트폰의 대중화 덕분에 많은 위치기반서비스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반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스마트폰을 소지할 수 있는 편리함의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부작용을 대다수의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자들이 경험했기 때문에, 부작용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로 부상하였다. 그 중에 하나인 꾸준히 발생했던 대량의 정보 유출 사태가 사용자로 하여금 위치기반서비스를 이탈하게 유도하기도 했지만,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지 못한 서비스의 질적인 측면에서 불편함과 싫증 때문에 사용자가 이탈하는 경우도 존재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현존하는 개인위치공유 애플리케이션들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 과정에서 발견한 전화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인터페이스와 시스템을 이용해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새로운 개인위치공유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