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에서 궤환채널의 잡음을 고려한 ARQ 기법의 정보전송율 분석

        황재문,박진수 한국정보통신학회 200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6 No.8

        본 논문에서는 ARQ 기법의 성능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궤환채널의 잡음을 고려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상태도를 이용하여 ARQ 메카니즘을 표현하였고, 신호흐름 그래프에 대한 생성함수를 이용하여 ARQ 기법의 정보전송율을 수학적으로 유도하였다. 채널은 광범위한 채널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나카가미-m 페이딩 채널모델을 사용하였으며, BPSK 및 BFSK 시스템에 ARQ 기법을 적용하여 궤환이득과 페이딩 지수 m에 따른 시스템의 정보전송율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궤환채널의 잡음이 증가할수록 ARQ 기법의 정보전송율은 감소하지만 궤환이득과 페이딩 지수 m이 증가할수록 ARQ 기법의 정보전송율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트에러확률의 차이로 BFSK에 비해 BPSK의 정보전송율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the throughput performance of an ARQ scheme is analyzed with noisy feedback channel, in order to exactly analysis for performance of an ARQ scheme. An ARQ mechanism is presented by state diagram, and the throughput of an ARQ scheme is mathematically derived using generation function for a signal flow graph. The channel is modeled by the Nakagami-m fading channel which is distributed over far and wide, and the throughput performance of an ARQ scheme, which is applied in BPSK and BFSK systems, according to feedback gain and fading index m is analyz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In the results, It is shown conformed that the throughput of an ARQ schem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noise for feedback channel, but it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feedback gain and fading index m. Also, it is shown that the throughput of an ARQ scheme using BPSK system is superior to BFSK system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bit error probability between BPSK and BFSK systems.

      • KCI등재

        雲養 金允植의 中國 認識 ― 領選使 활동 시기를 중심으로 ―

        황재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3 고전과 해석 Vol.15 No.-

        본고는 영선사 활동 시기를 중심으로 하여 김윤식의 중국에 대한 인식의 구도와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당시의 세계 질서는 조공-책봉 체제로부터 독 립국가 간의 조약 체제로 전환하고 있었으며, 영선사 김윤식은 이처럼 중국의 위상 및 중국-조선의 관계가 변동하는 시점에 중국에서 세계 질서 재편의 과정과 중국 사회의 현실을 지켜보았다. 또 이를 통해 중국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였는데, 그 양상은 그의 일기인 陰晴史와 문집인 雲養集을 통하여 엿볼 수 있다. 본고에 서는 이를 몇 가지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김윤식은 이홍장이 제기한 속방론을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중국의 위 상이 하나의 독립국가로 변화되는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조선과 중국 사이의 특별 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복합적인 인식의 결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중국에 대 한 인식의 양상을 살펴보면, 객관적인 시각에서 풍속을 살피면서도 중국 사회가 겪고 있는 아편 , 개화 정책에 대한 반대, 신문의 부정확성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비판 적인 진단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조선이 가까운 미래에 경험하게 될 만한 문제에 대해서는 깊은 관심을 보였다. 역사적인 맥락에서 보면, 김윤식의 중국 인식은 앞선 시기의 소중화론 또는 조선중화주의의 시각과는 달라진 면모를 보인 다고 평가된다. 즉 중국을 만주족 국가로서의 청나라로서가 아니라 조선보다 앞서 서 개화 정책을 펴는 국가의 이미지로 파악함으로써 앞선 시기의 중국 인식과는 달 라진 면모를 보여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out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Kim Yun-shik’s understanding of China. Kim was an envoy sent to the Qing dynasty in 1881-1882, and he conferred with government officials of the Qing dynasty about treaty with the United States. In those days the status of China in the world order was changing, and then the Qing dynasty was a nation state like any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the modern treaty with the Western countries represented and confirmed that changing situation, so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Kim’s understanding of China had changed in those times. This paper have examined his diary, Umcheongsa(陰晴史) and his collection literary works, Unyangjip(雲養集) for this reason. It is well known nowadays that Kim had accepted the subject satae theory forced by Lǐ Hóngzhāng. But in a sense it could be said that the theory could be accepted without repulsion, because it could meaned a establishing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modern world order, public law of all nations(萬國公法) system in Kim’s thought point of view. Based on this specific perspective Kim observed and described the social reality of the Qing dynasty, so the manner and sight that he taken to express the phenomena and problem of contemporary China were different from that of his foregoer. Subject matters that he critically described in his diary and works were foot-binding, opiumism, split of public sentiment, inaccuracy of journals, and so on. Those were not frequently treated in works written by foregoing authors in the envoy-journey period. And his diary and works were not exposed the feeling that the Qing dynasty is barbarian dynasty and so cannot be a successor of Chinese culture, it can be pointed out a distinct feature of his understanding on ‘real China’. Finally the image of China in his works was floating from that of the empire control the medieval east Asia to that of one nation-state in the world. But it is also true that he accepted China-Qing as a special country which could lead Korea-Joseon well to a new world.

      • 채널 에러율의 상태에 따른 Go-Back-N ARQ 기법의 정보전송율 분석

        황재문,강찬석,박진수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1998 産業科學硏究 Vol.15 No.3

        In nonstationary channels, error rates vary considerably.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go-back-N ARQ scheme which estimates the channel state in a simple mamer, and adaptively switches its operation mode in a channel where error rates vary slowly. It provides highter throughput than other comparable ARQ schemes under a wide variety of error rate conditions.

      • 안동댐 부근 미나리 재배환경 조사와 재배법 개발

        황재문,박윤문,권기석 安東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8 農業科學技術 硏究論文集 Vol.5 No.-

        1. 미나리 재배지의 환경조사 안동의 기상 중에 특징적인 것은 안개일수의 증가, 여름철의 기온하강, 겨울철의 기온상승 등이고, 특히 온도의 일교차가 댐 건설 전에 비하여 줄었다. 안동호의 여름철 기온과 수온은 높지만 겨울철 표층수는 결빙이 되지 않아 미나리의 생장과 월동이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안동호 인접토양은 대부분 도산통으로 자갈이 있는 사질토이며 호소와 댐 인근 유휴지의 토양은 유기퇴적물로 인해 비옥하여 미나리 재배가 가능하다. 그러나 부분적인 토양의 중금속오염을 고려하여 재배지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안동호 저수위시의 면적 16.7 ㎢의 약 60%와 인접 유휴지의 면적 약 1,600ha 이상이 미나리 재배가능지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안동호의 물과 상류에서 유입되는 수질도 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계절적으로 변하고 있다.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부영양화가 가속되어 생물학적, 화학적 산소요구량이 높아지고 무기염류와 pH도 증가하였다. 반대로 온도가 하강하는 가을이 되면 이들의 수치가 감소하였다. 안동호의 수질은 2급수를 유지하며 상류 유입수는 청정한 물로 평가되므로 미나리의 재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2. 미나리 재배법 개발 미나리의 봄재배는 댐수위 상승으로 최종 생육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 충분히 가능하리라 판단되며, 여름철 재배는 수온 및 기온의 상승으로 인하여 가능성이 희박하였다. 가을 미나리 재배는 수면위나 토경에서 모두 성공적이었다. 수면위 미나리 재배가 가능한 방법은 수면에 스티로폼 판에 부직포 흡수시트를 깔고 그 위에 발근시트에 미나리를 재배하는 방법과 가두리 양식장에서 망위에 미나리를 재배하는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뿐만 아니라 토경법으로 여름철에는 미나리밭에 발근시트(카시미론)를 펴고 그 위에 미나리 줄기를 뿌려 재배하면 온도(수온)도 하강되고 잡초의 발생도 억제되어 미나리의 재배에 좋은 방법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1. The climate, soil, and water environments in the region of Andong Lake for water dropwort growth. The typical climatic changes after the dam construction and lake formation were increment of fogging days, slight rise in temperature during winter, while low temperature in summer season. In addition, diurnal temperature range became smaller after the dam construction. Since no ice formation was observed on the surface water of the lake, water dropwort could be grown and overcome winter season except the hot summer. Andong Lake-side soil stratum was classified as Dosna series, which is sandy with gravels and sedimented organic matters, thus seemed to be appropriate for the growth of water dropworts unless the soil i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such as lead and cadmium. the possible area for the cultivation of water dropwort was estimated 60% of full water ssurface area of Andong Lake and 1,600ha near the lake. the quality of water from the upper stream and of Andong Lake changed by season and different by the region. In summer, COD and BOD of the water were much higher, and pH and mineral contents of the water also increased. In contrast, in autumn, the water quality was improved showing low COD, BOD, pH and mineral contents. The water quality of the lake was estimated as second grade and clean water streamed in through the inlet of the upper part of the lake suggesting that the overall quality of the lake water was adequate for the cultivation of water dropwort. 2. The cultivating system of water dropwort in the area of Andong Lake Although full growth through the spring to summer season was not evaluated because of flooding this year, observation of plant growth for one wonth after planting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spring cultivation. In contrast, during the summer cultivation, the growth of water dropworts was extremely retarded by high air and water temperature. The fall season cultivation was successful both on the water and soil using proper growing support systems. The cultivating system on the lake water was the floating methods by styrofoam plates attached with the water absorption sheet and rooting sheet (non-woven fabrics). In addition, cultivation on the lake inside the existing fish farm facilities seemed to be alternative way. The effect of rooting sheets observed in the soil cultivation system seemed to be due to the prevention of weeds and decreases in the temperature of the soil and water.

      • KCI등재

        1728년 무신란(戊申亂) 관련 문헌의 재검토

        황재문 국문학회 2019 국문학연구 Vol.0 No.40

        무신란(戊申亂)은 18세기 정치사에 있어 매우 중대한 사건이었다. 영조가 새로운 제도와 정책을 시행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지만, 국왕의 정통성에 대한 의심이라는 요소를 내포한 위험한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국왕은 실제 사건의 규모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공신을 녹훈하였고, 공식적인 이해의 틀을 담은 『감란록』(1729)과 『천의소감』(1755)을 간행했다. 국왕이 제시한 사건 이해에 대해 여러 방향의 반론이 있을 만한 상황이었지만, 이후 조선의 망국 이전까지는 『감란록』 등에 대한 전면적인 반론을 담은 문헌은 간행되지 않았다. 대신에 정치집단 혹은 가문이나 지역의 관점에서 나름의 의도를 갖고 『감란록』을 보완하는 문헌들이 나타났는데, 『남정일록』, 『무신창의록』, 『호남절의록』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문헌은 국가에서 주도한 공식적인 기록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국가적으로 공인받지는 못했으며 특정 개인 혹은 집단의 공적을 강조 또는 과장한 흔적을 지니고 있다. 또 때로는 사실 여부가 의심스러운 진술을 포함하고 있기도 하다. 반론이라면 소극적인 반론인 셈이다. 조선 왕조가 끝나고 붕당의 의미가 약화된 시점에 이르면, 무신란은 허구화의 대상이 된다. 힘센 장사이자 큰 전공을 세운 장수로 알려진 공신 이만유의 행적을 다룬 전기를 편찬한다고 내세운 『사상당실록문집』이 그 대표적인 사례인데, 이 문헌에서는 『남정일록』과 같은 기존의 기록에서 각종 전공의 주체를 ‘이만유’로 바꾸는 등의 전통적인 방식을 활용하면서도 때로는 야담이나 소설적인 요소를 가미하였다. 이에 의하면 이만유는 어릴 때 천재성을 보이고 자라서는 이인(異人)을 만나 새로운 능력을 얻었으며 낮은 신분임에도 국왕의 예우를 받으며 출정하고 제갈량 같은 지략을 발휘하여 초인적인 공을 세우는 인물이 된다. 이 문헌이 간행되지 못하고 필사본으로 남은 것은 이러한 허구화가 아직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에는 용인되기 어려웠을 허구화의 면모를 보이는 것은 분명히 새로운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문헌이 많이 산출되지는 못했는데, 이는 무신란이 국왕이 없어진 시대의 새로운 관심사와 맞지 않는 부분이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민족주의적인 요소가 강한 단군이나 동명왕, 드라마적 요소가 강한 장희빈이나 사도세자 등이 자주 문학의 소재가 되었던 것과는 다른 상황이었던 것이다. Musin Rebellion(戊申亂)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ffair in the hiotory of 18th Century Joseon. On the occasion of this rebellion King Yeongjo reorganized the taxation and examination system, but he had to keep his eyes on the public discourse. Because it was clear that this rebellion put forward a dangerous argument that implied doubts about the legitimacy of the king. While the king praised many public figures, he compiled a book with official opinions, suck as Gamlanrok(勘亂錄) and Cheneuisogam(闡義昭鑑). Although some might have disagreed with the descriptions in these texts, no documentary works containing full-scale counterargument against the Gamlanrok was pu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nstead, texts to supplement Gamlanrok with its own inten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action, family or region appeared, including Namjeongilrok(南征日錄) and Honamjeleuirok(湖南節義錄). These texts seem to be official records led by the state, but in reality they are not nationally recognized and bear the mark of highlighting or exaggerating the achievements of a particular individual or group. It also sometimes contains suspicious statements about whether they are true or no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Musin Rebellion turned into an object of fictionalization. A case in point is the Sasangdang-Silok-munjip(四尙堂實錄文集) which features a biography about the achievements of the powerful man and great general Yi manyu. In this book, editor or writter changed other people's exploits to those of Yi Manyu, and sometimes added elements of legend and fiction. The fact that this work has not yet been published show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social acceptance of such fiction, but nevertheless, it is certainly a new change to show the face of fiction tha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tolerate before. However, the similar texts did not produce much,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Musin Rebellion was inconsistent with the new concerns of the time. At least it cannot be evaluated as a successful reinterpretation or reconstruction of this rebellion.

      • Feedback 에러를 고려한 ARQ 기법의 정보전송율 분석

        황재문,박진수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1997 産業科學硏究 Vol.15 No.2

        Automatic-repeat-request protocols have been analyzed for quite some time, but the issue of error in the feedback channel has nat received much attention. In some applications, such as digital mobile communications, this issue can be Important.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feedback errors on the throughputs of the stop-and wait (SW), go-back-N (GBN), and selective repeat (SR) ARQ protocols for the case of a point-to-point channel under some feedback information assumptions. It is shown that the deleterious effects of feedbackerrors on the throughputs of continuous ARQ protocols can be greatly reduced by simple modification in the retransmission operation, provided that the "complete state" of the receiver is sent back with each acknowledgment.

      • KCI등재
      • 안동지역 농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

        황재문 安東大學校 安東地域社會開發硏究所 1996 安東開發硏究 Vol.7 No.1

        지방자치시대가 개막되고 WTO체제가 출범하여 국내외적인 농업여건이 변하고 있어 앞으로는 지역특성을 가지며 세계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농산물과 농산품의 생산에 주력하지 않으면 지역농업이 살아 남기 어렵다고 예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안동지역의 농업현실을 파악하고 지역실정에 알맞은 농촌의 발전 및 농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몇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안동의 농업여건은 타 지역에 비해 농업기반이 불리하지만 환경이 깨끗하고 사과, 고추, 마 등의 작물의 주요 생산지이며 각종 특산품이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안동은 환경을 고려한 농업지구로 발전해 나감과 동시에 권역별로 특산단지(시설원예, 축산, 생명자원, 토산품 생산, 수출농업, 환경친화형 농업)를 조성하여 생산에서부터 유통, 가공, 판매에 이르기까지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생산기반 및 시설이 확충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