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Bartholin 씨선(氏腺)에서 발생한 선암(腺癌)의 방사선치료

        오원용,황인순,Oh, Won-Yong,Whang, In-Soo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7 No.1

        A patient with primary adenocarcinoma of Bartholin's gland is reported and the literatures relevant to this disease reviewed. Not only this disease is very rare but also primary carcinomas of Bartholin's gland are misdiagnosed as cysts or abscesses in half of the cases, leading to considerable delay in diagnosis. And so, It was wasted long time before definitive therapy. However, because of a different clinical behavior, cancer of the Bartholin's gland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ulvar carcinomas. Histologically,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denocarcinoma are the most common. Virtually all histologic types of Bartholin's gland carcinoma metastasize to lymph node, bone, lung and liver in distant sites. The authors data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support the concept that radical vulvectomy with or without bilateral inguinal-femoral lymphadenectomy is required. On the other hand, except primary radiation treatment for small or medium sized cancers, the results obtained by radiation therapy in carcinoma of the vulva including Bartholin's gland are generally discouraging. A role for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suggests because of high incidence of positive inguinal-femoral Iymph nodes. In the near time, natural history and biological behavior of Bartholin's gland cancer must be disclosed in detail. And also optimal treatment modality and prognostic factors shall be determine. 외음부의 Bartholin씨선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은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약 200예가 보고되고 있지만 아주 희귀한 종양이다. 일반적으로 처음 내원 당시에는 낭종이나 포는 염증성 농양으로 오진하기 쉬우며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진이 이루어져서 근치적 치료가 시도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모되는 경우가 많다. 아직까지는 이 악성종양에 대한 원인과 적절한 치료방침에 대하여 결정된 바 없이 논란이 많으나 다른 외음부악성종양과는 엄격히 다르게 구별지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악성종양에 대한 치료방법으로써 방사선치료는 랴듐삽입 또는 전자선을 이용한 치료 등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지만 그 효과는 기대에 훨씬 못 미치고 치료성적과 생존율도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외과적으로 근치적 외음부절제술과 양측 서혜부 및 대퇴부 임파절절제술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치료성적과 생존율도 괄목할 만큼 향상되었으나 수술 후 잔존하는 병변으로 인하여 재발이 문제시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경험한 1예와 다른 저자들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앞으로 이 악성종양에 대하여 보다 세심한 임상적 관찰과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이 시급히 요청되며, 아울러 적절한 치료방침의 결정과 함께 예후인자에 대한분석을 통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망된다고 하겠다.

      • SCOPUSKCI등재

        흉폐부에서 발생한 악성소세포 종양의 방사선치료

        오원용,양진영,황인순,Oh, Won-Young,Yang, Jin-Yeong,Whang, In-Soo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흉폐부 또는 흉벽에서 발생하는 악성소세포 종양군인 Ewings sarcoma, 횡문근육종, Askin tumor, 신경아세포종, PNET, 임파종 등은 현미경학적 소견만으로는 감별하기 어렵다. 그러나 최근에는 조직세포화학적검사, 면역세포화학적검사, 세포배양, 세포유전학적 검사등의 도움으로 상기한 악성소세포 종양군들이 모두가 같은 계통의 primitive pluripotent cells로 부터 분화되어 발병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 방사선치료, 항암요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예후는 재발 과원격전이로 인하여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치료한 예를 보고하면서 흉폐부에서 발생하는 악성소세포 종양군의 조직발생과 감별진단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Malignant small round cell tumor (SRCT) of the thoracopulmonary region appears to originate in the soft tissues of the chest wall or the peripheral lung. A differential diagnosis of poorly differentiated small round cell tumors which include Ewing's sarcoma of bone and soft tissue, embryonal rhabdomyosarcoma, Askin tumor, neuroblastoma, peripheral neuroectodermal tumor, small cell osteogenic sarcoma and Iymphoma are often difficult by light microscopy alone. In recent, by the extensive studies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histochemical study, immune-chemical study, cytogenetics and gene analysis, these tumors may be derived from the primitive and pluripotential cells, differentiating into mesenchymal, epithelial and neural features in variable proportions. Treatment for SRCT of thoracopulmonary region is not determined because of massive involvement of the lung, pleura or soft tissues of the chest wall resulted in a dismal outcome despite aggressive surgery, irradiation and chemotherapy.

      • SCOPUSKCI등재

        Large Cell Carcinoma of the Lung - An analysis of clinical features and survival

        양진영,이형식,문성록,김귀언,서창옥,노준규,오원용,황인순,Yang Jin Yeong,Lee Hyung Sik,Moon Sun Rock,Kim Gwi Eon,Suh Chang Ok,Loh Jojn J.K,Oh Won Yong,Whang In Soo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1985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 및 연세암센터에서 치료받은 33명의 대세포 폐암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중 28명 이 남자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대세포 미분화폐암이 가장 많았으며 종양의 위치는 우측 폐에 19명, 좌측 폐에 14명에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대세포 폐암은 상당수가 폐의 주변부에 종양이 위치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조사에서는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주변부 만큼 많이 관찰되었다($51.5\%$와 $48.5\%$). 33명의 환자중 21명이 IIIB기 이상의 상당히 진행된 병변을 갖고 진단되어 졌다. 총 15명의 환자에서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는데 이중 11명이 진단당시부터 원격전이를 갖고 있었고 나머지 4명은 치료 도중이나 치료 후 발견된 경우였다. 원격전이 부위는 다양하였는데, 연부조직, 피부, 췌장 및 충수돌기등 다른 폐암에서는 흔치 않는 부위에서의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치료는 개인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초기에 진행된 병변을 가진 환자가 많았으므로 19명 만이 근치적 목적의 치료를 받았으며 나머지 14명은 고식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받았는데 치료후 2명의 환자에서 완전 관해를 얻었다. 4명의 환자가 24개월에서 54개월까지 장기 생존하였으며 2년 생존율은 $14.3\%$였고 중앙생존 기간은 6개월 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해 본 결과 늑막 유출액이 없었던 환자군과 치료후 완전 관해를 보였던 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좋았다 (p<0.01).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었던바($25\%$) (p<0.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이를 원발부위,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따라 분석해본 결과, 특히 T-병기중 T3, 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p<0.0005), T1, 2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 되지 않았다(0.3<p), 따라서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에 의한 종양의 관해 정도는 대체적으로 상호연관성이 관찰되고 있으나, 초기 병변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바 유도화학요법에 의해 관해가 없더라도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와 N stages (AJCC), 3) mucoepidermoid carcinoma에 있어서 분화 정도 였다.하다고 생각한다.$6\%$, 수술이 필요하였던 환자는 $1\%$로 합병증의 증가 없이 A점에 8900cGy, 직장에 7300cGy정도의 국소치료가 가능함을 보여 주었으나 생존율에 대한 추후 분석이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보면 6,000rad이하에서 20/63$(34.9\%)$의 실패율에 비하여 6,000rad이상일 때는 10/49$(20.4\%)$의 실패율이었다. 연령 벨로는 $40\~49$세에서 실패율(14/41 $24.1\%$)이 많았다. 본 성적으로 보아서 생존율은 여러 저자들과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A점 선량은 8,000rad 이상, B점은 6,000rad이상이 조사되어야 적정선량이 됨을 시사해 주고 있다.\%$가 대부분이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33 patients with large cell lung carcinoma treated at Yonsei University Cancer Center between Jan.1985 and Dec.1989. Of the thirty-three patients, twenty eight were men and five women. Median age was 59 years.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pathologic type, $78.8\%$. Twenty one of thirty three patients had far advanced diseases, stage IIIB-IV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Pleural effusion was initially presented in 12 patients, and SVC syndrome appeared in 5 patients. As to location of the primary tumor,19($57.6\%$) appeared in the right lung and 14 ($42.4\%$) in the left. Patients with a centrally located primary tumor mass were nearly the same as those peripherally located (17 vs.16). Fifteen of thirty three patients developed metastasis involving not only bone, brain, the opposite lung, adrenal gland but also soft tissue, skin, pancreas and appendix. Treatment was individualized with 19 treated radically and 14 palliatively. After treatment, only two patients showed a complete response. Long term survival was observed in 4 patients: 1 (24 mo.),2 (41 mo.) and 1 (54 mo.). The overall 2 year survival rate was $14.3\%$ while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6.0 month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 observed that pleural effusion-absent group and complete response group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better survival rate (p<0.01).

      • SCOPUSKCI등재

        Radiation Treatment for Malignant Small Cell Tumor of the Thoracopulmonary Region

        Won Young Oh(오원용) , Jin Yeong Yang(양진영) , In Soon Whang(황인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1

        흉폐부 또는 흉벽에서 발생하는 악성소세포 종양군인 Ewings sarcoma, 횡문근육종, Askin tumor, 신경아세포종, PNET, 임파종 등은 현미경학적 소견만으로는 감별하기 어렵다. 그러나 최근에는 조직세포화학적검사, 면역세포화학적검사, 세포배양, 세포유전학적 검사등의 도움으로 상기한 악성소세포 종양군들이 모두가 같은 계통의 primitive pluripotent cells로부터 분화되어 발병되는 것으로 확인되였다.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 방사선치료, 항암요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예후는 재발과 원격전이로 인하여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치료한 예를 보고하면서 흉폐부에서 발생하는 악성소세포 종양군의 조직발생과 감별진단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Malignant small round cell tumor (SRCT) of the thoracopulmonary region appears to originate in the soft tissue of the chest wall or the peripheral lung. A differential diagnosis of poorly differentiated small round cell tumors which include Ewing's sarcoma of bone and soft tissue, embryonal rhabdomyosarcoma, Askin tumor, neuroblastoma, peripheral neuroectodermal tumor, small cell osteogenic sarcoma and lymphoma are often difficult by light microscopy alone. In recent, by the extensive studies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histochemicala study, immuno-chemical study, cytogenetics and gene analysis, these tumors may be derived from the primitive and pluripotential cells, differentiating into mesenchymal, epithelial and neural features in variable proportions. Treatment for SRCT of thoracopulmonary region is not determined because of massive involvement of the lung, pleura or soft tissues of the chest wall resulted in a dismal outcome despite aggressive surgery, irradiation and chemotherapy.

      • SCOPUSKCI등재

        소세포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및 생존율

        오원용(Won Yong Oh),송미희(Mi Hee Song),황인순(In Soon Wh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4 No.2

        목 적: 국한성 소세포폐암에 대한 임상적 특성, 방사선치료에 의한 국소관해율과 생존율 그리고 재발양상 등을 분석하여 향후 보다 나은 치료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2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국립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국한성병기의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 및 화학치료의 병용요법으로 치료한 26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방사선치료환자(전체 환자의 75%)들은 4,000-5,500cGy 범위에서 조사받았다. 환자에 대한 추적율은 81%였으며 생존율은 Kaplan-Meier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2개월이었고 1년 및 2년생존율은 각각 65.3%와 15.4%였다. 방사선치료후 완전관해율은 50%, 부분관해율은 23%였으며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15개월 및 11개월이었다. 유도 항암제요법후 부분관해 이상의 관해율 54%였으나 방사선치료를 추가하므로써 부분관해 이상의 관해율이 73%로 향상되였다. 치료에 대한 반응의 정도에 따라서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의 차이를 보여 완전관해군은 15개월, 부분관해군 11개월, 무반응군 10개월이었다. 방사선 선량에 따른 반응율은 4,000cGy 이하에서는 66%, 4.000-5,000cGy 에서는 69%, 5,000cGy 이상은 86%였다. 치료실패는 전체 환자의 81%인 21예에서 관찰되었으며 국소재발은 9예,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를 보인 군은 3예, 원격전이만 보인 군은 9예였다. 결 론: 국한성병기의 소세포폐암을 유도항암제요법으로 치료한 결과 반응율이 54%에 불과 하였으나 방사선치료를 추가하므로써 국소반응율을 73%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 보다 높은 국소제어율을 얻기 위해서는 방사선 조사선량을 5,000cGy 이상으로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치료실패의 원인인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반응이 좋은 복합화학치료가 필요하다. 최근 국소병변의 완전관해율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 활발히 시행하고 있는 방사선치료 및 약물요법(concurrent chemoradiotherapy)을 동시에 시행하는 치료법을 본원에서는 추후에 시도할 예정이다. Purpose: To improve treatment modality and results by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local control, survival and recurrence rate in limited stage 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26 patients with limited stage small cell lung cancer were treated with combined radiation and chemotherapy from Feb. 1986 to Dec. 1992 at the National Medical Center. We followed up on 21 patients (81%), who were mostly irradiated with 4,000-5,000cGy (75% of all patients) in the results by the analysis retrospectively. Survival rate was evalu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Mean survival of irradiated patients with limited small cell lung cancer was 12 months. 1-year and 2-year survival rate were 65.3% and 15.4%. Tumor response rate and median survival after combined chemotherapy and irradiation were the following ; 50% and 15 months of complete response, and 23% and 11 months of partial response respectively. Response rates by radiation dose were 66% for below 4,000cGy. 69% for between 4,000-5,000cGy and 86% for above 5,000cGy. 21 of all patients showed treatment failure(81%), which as appeared 9 of local failure.9 of distant failure and 3 of local and distant failure. Conclusion: Local response rate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alone in limited stage of small cell lung cancer was 54%. Furthermore it was increased to 73% after adding of radiation. We have to increase radiation dose above 5,000cGy and need to try new effective chemotherapy agents for the improvement of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 and also will try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near time.

      • SCOPUSKCI등재

        Large Cell Carcinoma of the Lung

        Jin Yeong Yang(양진영),Hyung Sik Lee(이형식),Sun Rock Moon(문성록),Gwi Eon Kim(김귀언),Chang Ok Suh(서창옥),Joun J K Loh(노준규),Won Yong Oh(오원용),In Soon Whang(황인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1985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 및 연세암센터에서 치료받은 33명의 대세포 폐암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중 28명이 남자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대세포 미분화 폐암이 가장 많았으며 종양의 위치는 우측 폐에 19명, 좌측 폐에 14명에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대세포 폐암은 상당수가 폐의 주변부에 종양이 위치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조사에서는 중심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주변부 만큼 많이 관찰되었다(51.5%와 48.5%). 33명의 환자 중 21명이 ⅢB기 이상의 상당히 진행된 병변을 갖고 진단되어 졌다. 총 15명의 환자에서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는데 이중 11명이 진단당시부터 원격전이를 갖고 있었고 나머지 4명은 치료 도중이나 치료 후 발견된 경우였다. 원격전이 부위는 다양하였는데, 연부조직, 피부, 췌장 및 충수돌기둥 다른 폐암에서는 흔치 않는 부위에서의 원격전이가 관찰되었다. 치료는 개인별로 차이가 많았는데, 초기에 진행된 병변을 가진 환자가 많았으므로 19명 만이 근치적 목적의 치료를 받았으며 나머지 14명은 고식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받았는데 치료후 2명의 환자에서 완전 관해를 얻었다. 4명의 환자가 24개월에서 54개월까지 장기 생존하였으며 2년 생존율은 14.3%였고 중앙생존 기간은 6개월 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해 본 결과 늑막 유출액이 없었던 환자군과 치료후 완전 관해를 보였던 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좋았다 (p<0.01).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33 patients with large cell lung carcinoma treated ar Yonsei University Cancer Center between jan. 1985 and Dec. 1989. Of the thirty-three patients, twenty eight were men and five women. Median age was 59 years.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pathologic type, 78.8%. Twenty one of thirty three patients had far advanced diseases, stage ⅢB-Ⅳ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Pleural effusion was initially presented in 12 patients, and SVC syndrome appeared in 5 patients. As to location of the primary tumor, 19(57.6%) appeared in the right lung and 14(42.4%) in the left. Patients with a centrally located primary tumor mass were nearly the same as those peripherally located(17 vs. 16). Fifteen of thirty three patients developed metasis involving not only bone, breain, the opposite lung, adrenal gland but also soft tissue, skin, pancreas and appendix. Treatment was individualized with 19 treated radically and 14 palliatively. After treatment, only two patients showed a complete response. Long term survival was observed in 4 patients: 1(24 mo.), 2(41 mo.) and 1(54 mo.). The overall 2 year survival rate was 14.3% while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6.0 month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 observed that pleural effusion-absent group and complete response group had a statistical significant better survival rate(p<0.01).

      • SCOPUSKCI등재

        Local Control and Survival in Radiation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송미희,양진영,오원용,유남수,황인순,Song, Mi-Hee,Yong, Jin-Young,Oh, Won-Young,Yoo, Nam-Soo,Whang, In-Soo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1 No.2

        본 국립의료원 치료 방사선과 에서는 1986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5년간 방사선 치료를 받은 III병기 비소세포성 폐암 37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조사를 통하여 임상적 특징과 생존율을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이중 29예가 사망시 또는 1991년 8월까지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치료후 추적 조사기간은 최소10개월, 최고60개월 이었고, 추적율은 $78.4\%$이었다. Kaplan-Meier법에 따른 전체 환자 37예의 2, 5년 생존율은 각각 $20.6\%,\;6.9\%$이었으며 중앙생존 기간은 10개월 이었다. Performance status에 의하면 KPS가 $80\%$ 이상인 I군의 2,5년 생존율과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29.2\%,\;9.7\%,$ 13개월 이었고, KPS가 $80\%$ 이하인 II군의 2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13.7\%$와 7개월 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05). AJCC 병기에 따른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 간을 보면 $III_a$ 병기의 2, 5년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간이 $29.2\%,9.7\%$및 12개월 이었고 $III_b$ 병기의 2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8.6\%$와 10개월로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 그외 조직 병리학적 유형별, 방사선 선량별, 방사선 반응군별, 항암화학요법 유무에 따른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overall 5년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간은 $6.7\%$와 10개월 이었고 performance status 만이 통계적으로유의한 예후인자였으며, 병리조직학적 유형, 병기, 방사선 치료선량, 방사선 반응유무와 항암화학요법 등의 예후인자들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he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37 patients with stage III non small cell lung cancer who received the radiotherapy from Feb. 1986 to Dec. 1990 at the Dept. of Radiation On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This analysis, with 29 patients $(78.4\%)$ having been followed from 10 to 60 months, was done to know the survival rate and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The actuarial 2,5-year survival rates were $20.6\%,6.9\%$ in our all patients and median survival time was 10 months. Of patients with KPS (Karnofsky prformance status) greater than $80\%,$ the 2, 5 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time were $29.2\%,9.7\%$ and 13 months, respectively. The 2-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KPS less than $80\%\;were\;13.7\%$ and 7 months, respectively. The survival difference according to performance status was statisticaly significant $(29.2\%\;vs.\;13.7\%)(p<0.05).$ In stage IIIa, the 2,5-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time were $29.2\%,9.7\%$ and 12 months, respectively. The 2-year survival rate and metian survival time of stage IIIb were $8.6\%$ and 10 months, respectively. The survival difference between stage IIIa and IIIb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p>0.1). Of the prognostic factors, the difference of survival rate by initial performance stat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But the difference of survival rates by pathologic cell type, stage, total radiation dose, radiotherapy response, and cmbination with chemotherap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SCOPUSKCI등재

        Local Control and Survival in Radiation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송미희(Mi Hee Song),양진영(Jin Yeung Yang),오원영(Won Young Oh),유남수(Nam Soo Yoo),황인순(In Soon Wh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1 No.3

        본 국립의료원 치료 방사선과 에서는 1986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5년간 방사선 치료를 받은 III병기 비소세포성 폐암 37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조사를 통하여 임상적 특징과 생존율을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이중 29예가 사망시 또는 1991년 8월까지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치료후 추적 조사기간은 최소10개월, 최고60개월 이었고, 추적율은 78.4%이었다. Kaplan-Meier법에 따른 전체 환자 37예의 2, 5년 생존율은 각각 20.6%, 6.9%이었으며 중앙생존 기간은 10개월 이었다. Performance status에 의하면 KPS가 80% 이상인 I군의 2,5년 생존율과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29.2%, 9.7%, 13개월 이었고, KPS가 80% 이하인 II군의 2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13.7%와 7개월 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p<0.05). AJCC 병기에 따른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 간을 보면 III_a 병기의 2, 5년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간이 29.2%,9.7%및 12개월 이었고 III_b 병기의 2년 생존율과 중앙 생존기간은 8.6%와 10개월로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 그외 조직 병리학적 유형별, 방사선 선량별, 방사선 반응군별, 항암화학요법 유무에 따른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overall 5년 생존율 및 중앙 생존기간은 6.7%와 10개월 이었고 performance status 만이 통계적으로유의한 예후인자였으며, 병리조직학적 유형, 병기, 방사선 치료선량, 방사선 반응유무와 항암화학요법 등의 예후인자들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he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37 patients with stage III non small cell lung cancer who received the radiotherapy from Feb. 1986 to Dec. 1990 at the Dept. of Radiation On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This analysis, with 29 patients (78.4%) having been followed from 10 to 60 months, was done to know the survival rate and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The actuarial 2,5-year survival rates were 20.6% ,6.9% in our all patients and median survival time was 10 months. Of patients with KPS (Karnofsky prformance status) greater than 80%, the 2, 5 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time were 29.2%, 9.7% and 13 months, respectively. The 2-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KPS less than 80% were 13.7% and 7 months, respectively. The survival difference according to performance status was statisticaly significant (29.2% vs 13.7%)(p<0.05). In stage IIIa, the 2,5-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time were 29.2%, 9.7% and 12 months, respectively. The 2-year survival rate and metian survival time of stage IIIb were 8.6% and 10 months, respectively. The survival difference between stage IIIa and IIIb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p<0.1). Of the prognostic factors, the difference of survival rate by initial performance stat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But the difference of survival rates by pathologic cell type, stage, total radiation dose, radiotherapy response, and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SCOPUSKCI등재

        Radical Radiotherapy with Lumpectomy (wide excisional biopsy) for Early Breast Cancer

        오원영(Won Young Oh),황인순(In Soon Wh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6 No.2

        초기 유방암의 치료는 근치적 절제술이 오랫동안 주된 치료방법으로써 선택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여성의 유방을 보존하고 미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보조적 절제술 후 근치적 방사선치료법이 개발되어 지대한 관심과 상당한 논란이 거듭되어 왔다. 이러한 논란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동안 세계적으로 많은 후향성 또는 전향성 분석을 시행하여 두 치료방법사이의 치료효과를 비교하여 본 결과, 국소치료율, 재발율, 그리고 생존율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치료성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최근에는 보조적 절제술 후 근치적 방사선치료법이 여성들의 유방을 보존하고 미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소치료율, 재발율, 생존율도 근치적 절제술의 성적과 대동소이하므로 초기 유방암의 치료에 활발히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본원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보조적 절제술 후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초기 유방암 1예를 보고하면서 아울러 많은 문헌고찰과 함께 향후 치료방침을 세우고자 한다. However, long-term results of retrospective studies suggest that, for the great majority of individuals, mastectomy or conservative surgery with radiation therapy were be equally effective. The results at 5 and 10 years from prospective randomized trials indicate that survival following primary radiation therapy for early breast cancer is equivalent to that fellowing mastectomy. When competently Performed, Primary radiation therapy gives highly satisfactory cosmetic results and acceptably low rates of local tumor recurrence. A number of controversial issues remain concerning patient evaluation and selection and the optimal techniques of treatment, both surgical and radiotherapeutic. In addition, further work is needed to clearity the best way to integrate primary radiotherapy with adjuvant systemic treatment. And further follow-up of these patients with primary radiation therapy for early beast cancer will be required for ultimate proof of the relative merits. A case which was conservative surgery and radical irradiation of early breast cancer with review of literatures will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