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synchronization of Theta Oscillations in Prefrontal Cortex during Self-stimulation of the Medial Forebrain Bundles in Mice

        황은진,Heonsoo Lee,최지현 한국뇌신경과학회 2018 Experimental Neurobiology Vol.27 No.3

        Stimulation of the medial forebrain bundle (MFB) can reinforce intracranial self-stimulation (ICSS) in rodents (i.e., reward-seeking behavior). The MFB stimulation produces a highly reliable behavioral output that enabled a clear distinction of the animal behavioral states between the non-ICSS and ICSS periods. However, the cortical states during these reward-seeking behaviors are not fully characterized in comparison to those during volitional behavior. This study was designed to characterize the cortical rhythms of and coherence between pre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during the wheel-turning behavior reinforced by the ICSS in comparison to the wheel-turning without ICSS. We used a wheel for freely moving mice, which was programmed to deliver cathode currents through an electrode in the MFB at each one-quarter turn of the wheel to induce ICSS. The wheel-turning epochs were extracted from the pre-ICSS, ICSS and post-ICSS sessions and the prefrontal EEGs and the hippocampal LFPs in the epochs were analyzed with power and synchronization analyses. During the ICSS, the EEG power decreased at 6~10 Hz in the prefrontal cortex, while was not significantly altered in the hippocampus.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phase synchrony between the prefrontal cortex and the hippocampus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two regions during reward-seeking motion decreased preceding MFB stimulation reinforced by ICS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ta-activity can be reliably dissociated from active behavior if the animal is involved in self-stimulation.

      • KCI등재

        남녀노인의 체력수준에 따른 허벅지둘레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의 연관성

        황은진,윤소미,이윤빈,이대택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4

        체력수준에 따른 허벅지둘레(ThC)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CDRF)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체력상태와 ThC가 독립적으로 CDRF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76.3세(±6.78)의 남녀노인 119명을 선정하였다.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ThC, 신체조성, 심폐지구력(CE), 근력(MS), CDRF 변인으로 혈압,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다. 남성노인의 허리둘레와 중성지방(r=0.320, p=0.039), ThC와 수축기혈압(r=0.309, p=0.046), ThC와 당화혈색소(r=0.310, p=0.046), 악력과 이완기혈압(r=0.372, p=0.015)이 연관성이 있었다. 여성노인은 허리-엉덩이둘레 비율과 중성지방(r=0.300, p=0.008), CE와 HbA1c(r=-0.239, p=0.036), 남성노인은 CE “하” 그룹에서 ThC와 수축기혈압(r=0.602, p=0.023), 여성노인도 MS “하”그룹에서 ThC와 HbA1c(r=-0.592, p=0.002)이 연관성이 있었다. 남녀노인의 체력상태와 ThC는 독립적으로 CDRF와 연관성이 있었고, 체력수준이 낮은 남녀노인의 ThC와 CDRF의 일부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igh (ThC) girth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CDRF) according to fitness level, and investigated whether the former independently affects the latter. A total of 119 old men and women (76.3±6.8 yrs) was recruited. Their waist (WC), hip, and ThC,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endurance (CE), and muscle strength (MS) were also measured. For the CDRF, blood pressure (BP), total, high-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s (TG), fasting blood glucose, and glycated hemoglobin (HbA1c) were measured. Relationships between WC and TG (r=0.320, p=0.039), ThC and systolic BP (r=0.309, p=0.046), ThC and HbA1c (r=0.310, p=0.046), and MS and diastolic BP (r=0.372, p=0.015), in old men.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waist-to-hip ratio and TG (r=0.300, p=0.008), and between CE and HbA1c in old women (r=-0.239, p=0.036). Relationship between ThC and systolic BP in less fitted men was noticed (r=0.602, p=0.023), and between ThC and HbA1c in less strong women was noticed (r=-0.592, p=0.002). Fitness status and ThC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DRF. The data showed partly relationships between the ThC and CDRF according to the fitness level in old populations.

      • KCI등재

        리더와 구성원의 역할 기대 상호일치성과 자기결정성이 리더십 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

        황은진,문명 한국공공관리학회 2023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7 No.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leadership education and training,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role expectation and motivati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on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leadership education and training and participation intention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amotivation, intrinsic, and external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For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public enterpri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as analyzed using binary logit analysis and ordered logi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ap in perception of role expectation was found through a t-test between the supervisor's role oneself and the supervisor's role perceived by the subordinates. Second, both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leadership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re influenced by a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Third,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relational factor. In other words, this study would suggest we should focus on the need to enhance the relational competence between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or colleagues in order to convert the members' awareness of the need for education to actual participation in education. 본 연구는 리더십 교육훈련 필요성 인식과 교육 참여 의도를 높이기 위한 영향요인을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대역할 상호일치 정도와 자기결정성 동기를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기대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역할을 사고적 역할, 과업적 역할, 관계적 역할로분류하였고, 자기결정성의 동기는 무동기,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공기업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항로짓분석과 순서형로짓분석을 활용하여 요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교육훈련 필요성 인식과 교육참여 의도 모두 무동기와 내재적 동기의영향을 받는다. 둘째, 교육참여 의도는 관계에 대한 기대역할이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의 교육 필요성 인식도를 실질적인 교육 참여 의도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상사와 부하 혹은 동료 간 관계의 제고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공공기관의 ESG와 조직성과:기관장의 리더십과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조절 효과

        황은진,조상미,안지영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2 사회적기업연구 Vol.1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In addition, we explore the possibility of moderating role of the leadership and human resource system in ESG-performance link. Specifically, the effect of ESG activities of institutions on multidimensional organizational performance(financi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unique purpose performance, and innovation performance) is verified using data from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121 public institutions subject to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from 2018 to 2020 using data from th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telegram disclosure system ALIO and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Results find that ESG activities of public institution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organization's finance, unique purpose, and innovation performance. Nex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adership and dedicat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was confi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moderating effect between ESG and the performance of the unique purpose business. It implies that human resource competency presents the possibility 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ESG management. In addition,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n appropriate human resource system to improve institu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empirical evidence that presents interactions between public institution ESG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ESG 활동과 조직성과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조직 내 주요 특성인 기관장의 리더십과 인적자원제도가 ESG 활동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째, 국내 공공기관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관의 ESG 활동이 다차원적인 조직성과(재무성과, 조직고유목적성과, 혁신성과)에 관한 효과를 검증한다. 둘째, 공공기관의 ESG 활동의 다차원적인 조직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 더 적합한 조직 내부 특성, 특히 기관의 인적자원 역량을 이론적으로 탐색해보고 더 긍정적인 시너지를 유도하여 성과를 높이는지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기관장의 리더십 역량과 헌신형HR 시스템과 ESG 활동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모델을 개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ALIO) 및 기획재정부 자료를 활용하여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 대상의 121개의 공공기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ESG 활동은 조직의 재무, 고유목적사업, 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리더십과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ESG-조직성과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를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ESG 활동의 조직성과에 대한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민간기업 위주로 이루어진 ESG 효과성에 관한 연구를 공공의 영역으로 확대하였다. 또한, 공공기관의ESG 경영활동의 효과를 높이는 방안으로 최고경영자(CEO)의 리더십 및 인적자원시스템의 설계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포괄적인 이해와 실증 증거를 통해 ESG 경영과 다차원적인 조직성과 간의 연구에서 인적자원역량이ESG 경영의 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공공기관 ESG 경영, CSR 전략과인적자원관리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제시한 경험적 증거를 통해 기관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적합한 인적자원제도 수립 및 실행에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