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거주 중국유학생의 한국전통문화 “한(韓) 스타일”에 대한 인식

        황옥선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7

        Han Style has developed a comprehensive plan for five years after this was published to organize the traditional culture. Now, the plan for the ongoing analysis is required at the time of execution. Therefore, in this study, Han Style is represented to Chinese students in Korea, on how they recognize betwee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Han Style. Also, Han Style analyzed the importance on how it is recognized to Chinese stud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isiting expecta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the visit. Also, they are aware of the Korean Wave, but the awareness of Han Style was low. There should be an required aggressive marketing strategy. Second, survey results for the Han Style six areas, the importance and awareness about Korean traditional paper was found of whether the low. The field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 various programs. Third, the creativity and competitiveness about Han Style had a positive evaluation, experience and recommendations, and wanted more images of continuous development and selling. Therefore, it should develop and execute the Han Style to run the variety of contents. 한국 전통 문화의 체계화를 위하여 ‘한(韓) 스타일(Han Style) 육성종합계획’이 발표된 지 5년이 경과하였다. 이제는 그 계획의 지속적 실행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거주 중국 유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한국 전통 문화와 정부에서 명명한 한(韓) 스타일 인식도, 중국인들이 생각하는 ‘한류’ 의미와 한(韓) 스타일의 인식도 차이 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한(韓) 스타일 6대 분야에 대한 중요도와 인식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기대치가 방문전보다 방문후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한류에 대하여는 인식하고 있으나 한(韓) 스타일에 대하여는 낮은 인식도가 나타났다. 한(韓) 스타일의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한(韓) 스타일 6대 분야를 조사한 결과, 한지에 대한 중요도와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다. 한지분야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셋째,한(韓) 스타일의 창의력과 경쟁력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를 하였으며, 체험 및 추천, 그리고 지속적인 개발과 판매를 원하는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한(韓) 스타일을 위한 다양한 체험 콘텐츠를 개발ㆍ실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회계원리 교과서의 학습단원 구성요소 내용기술 형태에 대한 인식 및 선택차이 연구

        황옥선 한국상업교육학회 2008 상업교육연구 Vol.21 No.-

        기존의 상업계 고등학교의 회계교과서 내용 구성 체계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학계의 전문가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 틀의 범위 내에서 저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학습단원 구성요소를 활용함으로써 교과서가 만들어 졌다. 저자들은 학생들의 입장을 고려하여 교과서 집필을 하였지만 실제적으로 학생들의 성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학생들에 의한 내용체계를 구축하지는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의 학습단원 구성요소 중 머리말, 학습목표, 학습내용, 보충학습, 연습문제 등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야 학생들의 학습 성과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를 실증 검증하였다. 그 결과, 머리말은 시각적인 형태로 기술되는 것이 학생만족 인식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학습목표의 경우에는 어떠한 기술형태도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습목표에 대하여는 학생들이 무관심하거나 상대적으로 학습내용에 더 많이 관심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학습내용을 설명하는 기술형태에서는 장문형태보다는 단문 요약식 기술과 그림, 흐름순서도 등의 시각적인 표현을 첨가하는 것이 학생만족 인식에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내용의 유형체계와 학생만족 인식 사이에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회계원리 교과서의 학습내용은 각 단원의 특징에 따라 이론, 문제, 기업사례 등이 다양하게 기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보충학습 형태에서는 모두 형태의 기술이 비유의적으로 나타나 보충학습은 저자의 필요에 따라 장문형태, 단문형태, 시각형태 등을 적절히 활용하면 될 것이다. 연습문제에서는 출제기관 표시하는 것이 더욱 학생만족 인식에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습문제가 어느 곳에 배치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하여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연습문제의 형태는 주관식과 객관식이 혼용되어 다양하게 기술되는 것이 학생들의 학습만족 인식을 향상 시킬 것으로 나타났다. The exciting contents formation in the Accounting Principle Textbook is make up by virtue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experts of the academy world. and in the scope of, The textbook is make up use of the various learning unit by the writers. But the authors have written to consult the position of student, in substance, have not constructed contents formation in the students position by the survey of performance satisfaction measurement. This research have been a laboratory experiment about to be come satisfy of the learning performance for the students the form how to be line up a preface, learning object, learning contents, supplement learning, exercise etc. The results, a preface and learning contents have presented to bring along learning performance that the description of visual form. The learning object and supplement learning have not been significant. The exercise has lied better than indicate of the question organization. The exercise form has resulted in improvement learning performance satisfaction of students make a various description form of use subjective together with objective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