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 정책 과제 연구 -보육의 전문성과 공공성 확대를 중심으로-

        황옥경 ( Ock Kyeung Hwa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4 아동복지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개정 영유아보육법이 보육의 전문성 실현과, 공공성을 확대하는데 얼마나 기여 할 수 있을지를 보육정책이 갖추어야 할 기본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개정 영유아보육법과 정부가 공보육과 보육의 전문성 실현을 위해 내놓은 각종의 보육 정책들 및 이와 관련한 보고서들이 분석되었다. 연구의 분석결과 개정영유아보육법이 보편적 서비스로서의 보육을 강조하고 있고, 아동권리를 보호한다는 관점에서 보육을 접근하고 있고, 민간보육시설에 대한 지원규정을 명문화하는 등의 보육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정책보완이 이루어졌고, 그리고 보육교사에게 국가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규정을 명시함에 따라 교사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개정 영유아보육정책이 여전히 시설운영 측면 보다 ‘아동중심’의 보육시설 운영에 대한 규정이 취약하고,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충분히 강화하기 위해 정책이 추가로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보육 프로그램의 표준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보육시설유형에 따른 정부의 재정지원 방식을 놓고 심각한 의견 차이를 노출하고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보육시설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방식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와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 임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seek a way for expanding publicity and attainment of professional of child care, which has been main factor of amendment of child care policy. For this, current child care policy has been analysed. From the analysis, such factors hindered achievement and strengthening professional of public child care as existence of child care policy that has condoned `child centered``, administerial vulnerability of finance for child care institution by the government, exposure of serious conflict of a method of financial support by the government towards child care institutions, and insufficiency of the policy for strengthening the profession of child care teachers even though standard of qualification for child care teachers has been supplemented have been pointed. An actual research and report of a strategy for financial support for development of profession and expansion of publicity for child care, necessity of complementary measures for expanding teachers` professional, and expansion of policy support in order to secure child-centered child care system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

        정서적 학대 및 방임 판단 준거 연구

        황옥경(Ock-Kyeung Hwang),구은미(Eun-Mi Koo),박지민(Ji-Min Park),송미령(Mi-Ryoung S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적 학대와 방임의 판단 과정에서 판단의 준거 범주를 마련하고자 한다. 정서적 학대와 방임의 판단 준거 범주를 구성하기 위해, 아동학대를 판단하기 요인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정서학대와 방임의 판단준거 안을 구성하였고, 판단 준거 안에 관해 전문가 21명 대상으로 쌍대비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HP 분석을 이용하여 판단 준거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정서적 학대와 방임의 판단 준거 8개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적 학대의 판단 준거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결과는 ‘결과의 심각성’(0.230), ‘행위의 위험성’(0.192), ‘지속성’(0.134), ‘반복성’(0.130), ‘의도성’(0.125), ‘신고 이력’(0.078), ‘아동의 연령’(0.070), ‘행위 유형’(0.041) 순으로 나타났다. 방임의 판단 준거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결과의 심각성’(0.248), ‘행위의 위험성’(0.189), ‘지속성’(0.124), ‘반복성’(0.120), ‘의도성’(0.105), ‘아동의 연령’(0.091), ‘신고 이력’(0.066), ‘행위 유형’(0.058) 순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학대와 방임의 8개 판단 준거를 설정하여 준거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서학대와 방임 판단 시, 하나의 근거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judgment in the process of judg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The criteria for judg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as composed by constructing the criteria for judg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the factors that judge child abuse. A pairwise comparis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1 academic and field experts on the criteria for judg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The data surveyed by experts’ opinions were used to deriv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riteria for judgment using AHP analysis.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ight criteria for determin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revealed the follow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riteria for judging emotional abuse are ‘severity of consequences’ (0.230), ‘risk of behavior’ (0.192), ‘persistence’ (0.134), ‘repetition’ (0.130), ‘intentionality’ (0.125), ‘Reporting History’ (0.078), ‘Children’s Age’ (0.070), and ‘Action Type’ (0.041).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riterion for judging neglect was ‘the severity of the outcome’ (0.248), ‘the risk of action’ (0.189), ‘persistence’ (0.124), ‘repetition’ (0.120), ‘intentional’ (0.105), ‘Children’s age’ (0.091), ‘reporting history’ (0.066), and ‘action type’ (0.058). The eight criteria for judg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ere set, and a method of giving points according to the criteria was suggested.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 KCI등재

        정서적 학대 및 방임 행동 범주 및 하위 행동 타당성 연구

        황옥경(Hwang, Ock Kyeung),구은미(Koo, Eun Mi),박지민(Park, Ji Min),송미령(Song, Mi Ryo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현장과 사법 판단 과정에서 적용 가능한 정서적 학대와 방임의 행동 범주 및 하위 행동 유형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정서적 학대와 방임의 행동 범주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를 모두 수집 ·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수차례의 연구진 회의를 통해 1차 조사용 델파이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21명의 아동복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는 내용 타당도 비율, 전문가 의견 수렴도 및 합의도, 안정도, 평균 및 표준편차, 신뢰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적 학대의 행동 범주는 모두 ‘자극 및 상호작용 차단하기’, ‘무시/거부하기’, ‘겁주기’, ‘모멸감 주기’, ‘위험한 상황에 노출시키기’, ‘능력 이상의 무리한 기대와 강요하기’의 6개이며, 각각의 행동 범주에 따른 하위 행동 유형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방임의 행동범주는 ‘물리적 방임’, ‘정서적 방임’, ‘의료적 방임’, ‘교육적 방임’, ‘환경적 방임’으로 5가지이며, 각각의 행동 범주에 따른 하위 행동 유형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의 행동 범주와 하위 행동에 대한 분석결과는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행동의 맥락과 행동 범위 그리고 행동 양상에 대한 이해와 판단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로써 본 연구는 아동보호서비스 과정에서 정서적 학대와 방임을 분별하여 간과되는 사례가 없도록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relevant behavioral categories and sub-behaviors in determin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hile examining social and judicial criteria to consider the applicability of these categories in the field of child abuse. To this end,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behavioral categorie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as analyzed. Based on this, the first Delphi questionnaire was composed through several research team meeting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with 21 child welfare professionals. Then these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feasibility ratio, expert opinion convergence and consensus, stabilit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reliability. The six behavioral categories of emotional abuse were “cutting off stimuli and interactions”, “ignoring/rejecting”, “intimidating”, “giving a sense of humiliation”, “exposing to dangerous situations”, and “excessive expectations and coercion of abilities”, and the validity of each type of behavior (in determining that a child is a victim of emotional abuse) was verified. The five behavioral categories of neglect were “physical neglect”, “emotional neglect”, “medical neglect”, “educational neglect” and “environmental neglect”, and the validity of each type of behavior(in determining that a child is victim of neglect) was verified. The behavior categories and sub-behaviors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in this study would help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scope, and aspects of behavior in determining emotional abuse and neglect.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child protection services clearly distinguish between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do not minimize their seriousness in the assessment process.

      • KCI등재

        생애 첫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 탐색

        황옥경(Ock-Kyeung Hwang),김상림(Sang-Lim Kim),명준희(Jun-Hee 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생애 최초로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를 위한 교육내용을 탐색하여, 초보부모 대상 교육자료가 갖추어야 할 핵심내용 범주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13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정부 부처, 대학, 그리고 공공의료기관에서 개발하여 보급한 영유아 대상 국내외 부모교육자료 총 22종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zar & Cote(2002)의 역량요소 근거에 따라 지식, 기술, 태도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생애 최초 부모가 되는 초보 부모 대상 교육자료가 갖추어야 할 내용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국내·외 부모교육 자료는 공통적으로 ‘지식’에 해당하는 주제를 가장 큰 비중으로 다루고 있었으며, ‘태도’와 관련한 내용을 가장 적은 비중으로 다루고 있었다. ‘지식’과 관련하여, 국내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이 출산 및 육아 관련 정책에 관한 정보제공에 비중을 두는 반면, 국외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은 출산 직후 부모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는 지식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은 ‘수유, 수면, 울음 등’ 의 양육기술들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는 반면에, 국외 부모 교육자료의 내용은 발달영역에 따라 월령별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양육기술 팁을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태도’와 관련하여, 국내외 자료 모두 양육 스트레스, 출산 후 우울감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었는데, 국외 부모 교육자료 내용의 경우, 부모가 육아의 조급함을 버리고 자녀와의 건강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었다. 결론 최종 도출된 초보 부모 대상 부모교육 내용 범주는 4개 범주, 10개 주제로 구성되었다. 4개 범주는 1) 부모 첫걸음, 임신과 출산, 2) 생후 1세, 아기의 놀라운 역량, 3) 부모 1년, 유능한 부모되기 4) 육아, 슬로우 다운이다. 이는 초보 부모의 출산 후 양육의 혼돈을 줄이고 부모로서 역량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우리 사회의 긍정적인 양육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pose content categories of educational materials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of new parents who become parents for the first-time in their live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22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ent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and dis-seminated by government departments, universities, and public medical institutions from January 2013 to January 2023 were analyzed. The materials were analyzed based on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ccording to Azar and Cote’s theory(2002).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content categories for new parents educational materials, and verified their validity. Result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ent education materials, ‘knowledge’ related-cont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and ‘attitude’-related content accounted for the smallest proportion. Regarding “knowledge,” domestic parent education focused on providing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y information, while international education focused on knowledge that could prevent parental confusion immediately after childbirth. Regarding ‘skills’, the domestic education content outlined the skills of ‘feeding, sleeping, etc.’, while the interna-tional content provided specific parenting skills tips for each month. With regard to ‘attitude’,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ducation contents deal with stress management and depression after childbirth, and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education content, it was intended to help parents slow down and have healthy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Conclusions The proposed category of new parent education content consisted of 4 categories and 10 topics. The four categories are: 1) parenthood, pregnancy and childbirth, 2) 1 year of age, baby's incredible capabilities, 3) 1 year of parenthood, becoming a competent parent, and 4) parenting, slow down. This will help reduce the con-fusion of postnatal parenting for new parents and improve their competence as parents, and it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 positive parenting environment in our society.

      • KCI등재

        지방자치 정부의 아동권리 조례 제정의 함의 -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황옥경 ( Ock-kyeung Hwang ) 한국아동권리학회 2005 아동과 권리 Vol.9 No.2

        본 연구는 일본 지방자치 정부들의 아동권리 조례 제정과정 및 내용과 부천시의 아동권리 조례 제정을 위한 활동을 분석해 봄으로써 지방자치 정부의 아동권리 조례의 방향과 그 내용을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일본 지자체들의 권리 조례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에 대한 보고서들과 평가문헌들이 분석되었다. 아울러 부천시 아동권리 실태 조사결과가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기존의 아동관련 기구들의 아동권리 보호 활동과 충돌하지 않는 아동권리 침해사례를 다룰 수 있는 공적체계를 개발해 나가야 할 것, 아동정책을 분석하고, 제안할 수 있는 아동권리 위원회를 구성 할 것, 아동참여를 독려하고, 지방정부의 아동예산의 우선 배정이 고려되어야 하며, 아동권리에 대한 시민의 이해를 확대 하는 것 등을 지방정부가 아동권리 조례를 추진해 나가는데 고려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아동권리 조례제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역의 아동보호 기관들과 협조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sed the process of developing a city Ordinance for Children's Right of a district in Japan and at Buchon in Korea, and suggested the direction and substance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law. For this, regulations for children's rights of local authorities in Japan and reports pertaining to this subject were collected. The results from a survey of current situation of children's rights in Buchon City were also analysed. From this process, this study implied factors to consider when a local authority promotes a regulation of children's rights: developing a public system to deal with cases of violating children's rights, which does not conflict with the existing organization for children, organizing a committee for children's rights that is to analyse and promote a law and policy of children's rights, encouragi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children's rights, consideration of financial allocation for children in local government, and expanding the people'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 effective way for maintaining a cooperative system with other child care institutions in the local area fo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hildren's rights policy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상황과 선교 ; 아동에 대한 교회 지원의 선교적 함의

        황옥경 ( Ock Kyeung Hwa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0 복음과 선교 Vol.13 No.-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seek missiological significance of an early investment of the churches for children. In this purpose, this study has analysed the dimension of investment for children by dealing with relevant reference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mission practice for children in Korean churches, and suggested an direction of investment for children as mission for children. The sources analysed for this study included the area of references of effectiveness of investment for children and of supporting children of the church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pointed out to follow. Effective ways of practicing mission for children of the Korean churches through investment for children are: 1)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missiological significance of investment for children, 2) search for diversification of methods, procedure and system to support children, 3) presentation of part of church facility to the public, 4) training professional workers for children mission, 5) allowance of priority to the supporting children, and 6) allocation and expansion of appropriate finance for children mission.

      • KCI등재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의 놀이·여가 실태에 대한 연구

        황옥경(Ock-Kyeung Hwang),한유미(You-Me Han),김정화(Jeong-Wh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의 놀이·여가 실태를 파악하고자 서울 4개 지역과 경기 농촌 1개 지역의 초, 중, 고등학교 학급의 아동 총 5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아동의 놀이·여가 대상, 놀이·여가 시간, 놀이·여가 장소, 놀이·여가 비용 등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고, 놀이·여가의 연령별, 지역별,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놀이·여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요약,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여가의 대상은 가족보다는 친구의 비중이 높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부모 중 아버지의 비중이 감소하였다. 둘째, 아동의 놀이·여가시간은 미디어를 하면서 보내는 시간이 가장 많았다. 셋째, 아동이 이용하는 놀이·여가 장소도 매우 다양하고 과거와 달리 카페나 노래방 등 성인용 혹은 상업적인 장소가 상당수 있었으므로 놀이·여가의 비형식적이고 비상업적인 본질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여가에 비용이 들어가고 있으며 흥미롭게도 놀이·여가 비용이 아동의 연령이나 성에 다라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lay and leisure status of children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64 childre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in four districts of Seoul and one rural district in Gyeonggi Province.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objects, time, place and cost of both play and leisure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region and sex.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play and leisure subjects were more likely to be friends than family members, and the proportion of fathers among the parent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Second, the children spent most of their play and leisure time on media related activities. Third, unlike in the past, the children"s places of play and leisure were very diverse and included many adult or commercial places, such as cafes and karaoke studios. Fourt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st of play and leisure, depending on the age or sex of the children, but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 KCI등재

        아동학대행위자 분리방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황옥경(Ock-Kyeung Hwang),송미령(Mi Ryoung S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는 아동학대 가해자를 가정에서 분리 조치할 수 있는 실효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피해아동과 아동학대행위자 분리조치에 관여하고 있는 사법 분야 및 아동복지 분야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FGI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피해아동과 아동학대행위자 간의 분리 필요’, ‘분리 조치 과정에서 문제점’, ‘아동학대행위자 분리 및 격리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등으로 정리하였다. 아동 안전을 위해, 아동 최선의 이익 관점에서 아동학대행위자와 피해아동 분리 보호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분리조치 과정에서 현장 대응 인력이 갖게 되는 부담감, 아동학대행위자 분리 및 격리조치에 따른 대비책 미비, 현재 응급조치 및 긴급임시조치의 처벌 규정의 미비, 피해아동 보호를 위해 아동을 분리를 먼저 고려하는 것이 문제로 느끼지 못하는 인식 등이다. 이에 대해 아동학대행위자 분리 및 격리조치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에 관하여서는 현장조사 시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지침 마련, 아동학대행위자 분리 및 격리 조치 시행령 및 시행규칙 등 마련, 감호위탁 근거 규정 마련, 아동학대행위자 분리조치가 가능한 양육지원 서비스 강화, 아동학대사건을 바라보는 인식 전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피해아동의 이익 중심의 아동학대행위자 분리제도 도입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아동학대행위자 우선 분리에 대한 인식 제고, 아동 안전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가해자 분리하여 격리 방안으로 체포, 임시조치 강화와 감호위탁 근거 규정 마련, 감호위탁시설 및 격리를 위한 일시거주시설확대, 행위자가해자 분리조치 이후 원가정 양육기능 지원 등이 실효성 있는 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effective measures to separate and isolate child abusers at home.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on eight experts in the field of justice and child welfare who were involved in the separation of victims and child abusers. The FGI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need to separate the victim from the child abuser, problems in the process of separation measures, and practical alternatives for the separation and isolation of child abusers. Concerning child safety, it was responded that the separation protection of child abusers and victims should be considered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The burden of on-site response personne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child abusers, lack of countermeasures for separating and isolating child abusers, lack of punishment regulations for emergency and emergency temporary measures, and the recognition that separating children first were not considered problematic. Regarding practical alternatives to the separation and isolation of child abusers, the need to prepare clear guidelines for the use of on-site investigations, implementation and enforcement regulations for separation of child abusers, strengthening child support services, and changing perception of child abuse cases were suggested by respondents. Based on these results, a plan to introduce a separation system for child abuse offenders centered on the interests of victims can be proposed as follows. To raise awareness of the separation of child abusers and provide child safety devices, effective systems should be implemented to separate perpetrators, strengthen temporary measures, and provid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custody and isolation.

      • KCI등재

        아동정책 전달체계의 구조와 한계

        황옥경 ( Ock Kyeung Hwa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6 아동복지연구 Vol.4 No.3

        본 연구는 현행 아동정책 전달체계를 행정기구를 중심으로 분석해봄으로써 아동의 요구와 필요에 부응하는 아동정책을 수립하고, 아동정책 전달체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의 범위는 첫째, 중앙정부의 아동정책 행정기관들의 직제와 업무 내용이며, 둘째, 지방정부의 아동정책 행정기구의 직제와 업무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홈페이지를 통해 조직구성과 업무내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아동정책 수행체계에 대한 정부보고서와 이와 관련된 문헌 연구 자료들을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아동정책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위해서는 아동정책을 다루는 전담부서가 설치되어야 하며, 아동정책조정위원회의 조정기능을 강화하고, 아동정책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기 위해서 독립적인 모니터링 기구를 신설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현재의 아동정책은 요보호 아동 중심의 사후개입적 아동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아동정책의 행정 전달체계도 통합적이고 적극적이기보다는 파편화되고 소극적인 행정관리 체계에 머물러 있는 형편임을 앞서의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서 권리주체와 보호의 대상으로서의 아동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현행행정제도로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담부서의 신설, 아동정책조정위원회의 조정기능 강화, 독립적인 모니터링 기구의 설립이 절실하게 요구되며, 우리나라 의회에서 아동문제를 신속하게 다룰 수 있도록 아동관련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아동관련 정책의 개발과 추진과정이 보다 전문화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기부터 전담부서의 신설로 전문적인 행정관리 체계를 통해 이들의 요구를 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사회적 통로를 갖고 있어야 한다. 아동정책 전담 부서는 정책목표가 구체적 서비스로 실현되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개입될 수 있는 것으로 아동정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기제가 될 것임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seek a way to formulate a child policy, which meets the children`s needs, and to develop the delivery system of child policy by analysing the current delivery system of child policy and especially by focusing 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services for children i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been dealt. For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systems and services of child policy, the Web-site of the relevant organizations, government official reports, and the literature on this subject have been consult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btaine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child policy have been suggested: that is, needs for establishing an exclusively responsible department for children, consolidating the coordinating roles of committee for child policy, and founding a special organization in charge of monitoring child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