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후 우울을 경험한 여성들의 리드믹 요가 참여가 신체구성 및 염증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황예선,박성희 한국여성체육학회 2022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6 No.3

        This study conducted a rhythmic yoga on women, for 12 weeks, who have experienced postpartum depression aiming to observe how the workout affects body composition (weight, body fat mass, body fat-free mass, BMI and body fat percentage) and inflammatory cytokine (TNF-α, IL-6). As for the research target, these women who gained more than 19 points on EPDS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were assigned to a postpartum depression group (n=8) while the others with less than 19 points were placed into a comparison group (n=6). The rhythmic yoga, a workout program, was carried out for one hour and 20 minutes, twice a week for 12 weeks (with these moves using a ball, a rope and a hoop included). Mann Whitney U-test, Wilcoxon test,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process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erms of body composition, weigh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 compared to before exercise in the postpartum depression group (Z=-2.023, p=.043). In terms of inflammatory cytokines, post-exercise IL-6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partum depression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in the intergroup difference (Z=-2.359, p=.029). TNF-α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 compared to before exercise (Z=-2.023, p=.043).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s, weight and body fat ma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NF-α, and weight, body fat mass, BMI, and body fat percentag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L-6. 본 연구는 산후 우울을 경험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12주간 리드믹 요가를 실시 한 후 신체구성(체중, 체지 방량, 제지방량, BMI, 체지방률), 염증 사이토카인(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6:Interlukin-6)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에딘버러 산후우울척도(EPDS;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에서 19점 이상을 받은 여성을 산후우울집단(n=8)으로 19점 이하를 받은 여성을 비교집단(n=6)으로 구 성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인 리드믹 요가 프로그램(볼, 로프, 후프를 활용한 동작들을 음악에 맞추어 실시)은 12주간, 주 2회, 1시간 20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해 Mann Whitney U-test, Wilcoxon test, Spearma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구성의 시기 간 차이에서 산후우울 집단의 체중이 운동전에 비해 운동 후에 유의하게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다(Z=-2.023, p=.043). 염증 사이토카인에서는 집단 간 차이에서 운동 후 IL-6에서 산후우울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Z=-2.359, p=.029) 시기 간 차이에서는 산후우울 집단의 TNF-α에서 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Z=-2.023, p=.043). 신체구성과 염증 사이 토카인과의 상관분석에서는 체중과 체지방량이 TNF-α에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체중, 체지방량, BMI, 체지 방률이 IL-6에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 KCI등재

        출산 후 여성들의 복합무용프로그램 실시가 신체구성, BDNF 및 Serotonin에 미치는 영향

        황예선,오수일,조성희,김상나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mplex dance program(ballet, contemporary dance, yoga) on the body composition, BDNF, and serotonin of delivery women, by providing this program for 12 weeks to 14 women(within one year after delivery: seven women, 1-3 years after delivery: seven women). In the results of body composition, in the main effects in accordance with period,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of body fat percentage. The fat-free ma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of women within one year after childbirth(t=-3.821, p=.009). Regarding BDNF and serotonin, there were no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roups and periods while the main effects did not show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periods(p>.05).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BDNF, body composition, and serotonin, the BDNF and serotonin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p=.025). In the results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natory power was 17.9%(r=.424, r2=.179). 본 연구는 출산 후 여성 14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무용프로그램(ballet, contemporary dance, yoga)을 실시한 후 신체구성, BDNF, Serotonin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신체구성의 결과, 시기에 따른 주효과에서는 체지방률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제지방량에서는 출산 후 만 1년 이내 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t=-3.821, p=.009). BDNF, Serotonin에서는 집단과 시기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볼 수 없었으며, 주효과에서도 집단 간, 시기 간 차이를 볼 수 없었다(p>.05). BDNF와 신체구성,Serotonin과의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 BDNF와 Serotonin이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p=.025) 단순회귀 결과 17.9%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424, r2=.179).

      • KCI등재
      • KCI등재

        자연과학분야 : 댄스화 굽 높이에 따른 댄스스포츠 실시가 폐경기 비만여성의 Adipocytokines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황예선 ( Ye Seon Hwang ),오수일 ( Su Ill Oh ),이웅배 ( Woong Bae Lee ) 한국무용과학회 201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폐경기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댄스스포츠 수행 시 서로 다른 굽 높이의 댄스화(7cm, 3cm) 착용에 따른 Adipocytokines 및 골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들은 폐경이후 %fat 30이상인 비만 여성 24명(7cm-11명, 3cm-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운동 프로그램은 댄스스포츠 차차차(1-6주)와 자이브(7-12주)를 12주간, 주 3회, 90분간, 운동강도 60-85%HRmax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t-test(independent & paired), pearson``s의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adipocytokines 항목 중 adiponectin에서 두 집단 모두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골대사 호르몬에서는 두 집단 모두 운동 후 OC은 유의한 감소를, CTx는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adipocytokines과 골대사 호르몬의 상관 및 회귀 결과에서는 adiponectin이 OC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약 9%의 설명력을 보였다. 폐경기 비만 여성들에게 있어 12주 간의 댄스스포츠 운동이 adiponectin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골대사에서는 골교체율과 운동 강도 측면에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결과로 해석할 수 있어 좀 더 장기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ance sports on 24 postmenopausal obese women`` adipocytokines and bone metabolism hormone when they performed dance sports for 12 weeks while wearing 7cm & 3cm heeled dance shoes, respectively. The study subjects were 24 obese postmenopausal women who had more than %fat 30 (7cm-11 persons, 3cm-13 persons). The exercise program was Cha cha cha (1 to 6 weeks) and Jive (7 to 12 weeks) of dance sports. It was performed 12 weeks, three times a week, 90 minutes each time. The exercise intensity was 60-85%HRmax. The data were analyzed by used t-test(independent & pair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exercise, the two groups (Cha cha cha group and Jive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diponectin among adipocytokines items. In the case of bone metabolism hormones, after exercise the two groups had a significant fall in OC, but a significant rise in CTx. According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of adipocytokines and bone metabolism hormones, adiponectin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OC, and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ed around 9% explanation power. The 12-week dance sports exercise positively affected a rise in obese postmenopausal women`` adiponectin. As for bone metabolism, the exercise brought about the positive or negative result in the aspects of bone turnover and exercise intensity, and thus it is considered that more long-time and diversified research is required.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비만도에 따른 중년여성의 Dance Sports의 참여가 신체구성 및 비만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황예선(YeSeonHwang),오수일(SuIlOh)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는 고도 비만그룹(40%fat 이상)과 경도 비만그룹(35%fat이하)의 중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dance sports program을 적용하였을 때, 신체구성 및 비만관련인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1-6주까지는 차차차를, 7-12주까지는 자이브를 실시하였으며, 운동강도는 60-85%HRmax로 하였고 bpm증가수와 반복횟수로 강도를 조절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구성에서는 운동 12주 후에 두 집단 모두 체지방률과 체지방량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p<.001) 체중, 제지방량, 체질량지수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다. 비만관련인자에서는 운동 후 인슐린의 유의한 감소(p<.01)와 글루코스의 유의한 증가(p<.001)를 나타냈다. 하지만 렙틴, 아디포넥틴, HOMA-IR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12 weeks' dance sports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obesity related factors in middle-aged women with high obesity (over 40%fat) and low obesity (below 35%fat). subjects were conducted with 20 middle-age obese women who voluntarily applied for the study(high obese group : HOG 9, low obese group; LOG 11). Cha cha cha was done from week 1 to 6, Jive from week 7 to 12, and intensity of main exercise was 60-85%HRmax to make it adjustable to the music's rate of bpm(beat per min) and repetition. In the results, %fat, fat mas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 after the 12 week exercise (p<.001), but no significantly in body weight, LBM, BMI in the body composition. Insulin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p<.01), and glucose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p<.001). but no significantly in leptin, adiponectin & HOMA-IR in the obesity related factor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무용전공과 댄스스포츠전공 여중생의 심폐기능 및 혈중 젖산 농도 비교 연구

        황예선(YeSeonHwang),오수일(SuIllOh)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는 점증적 운동수행을 실시에 따른 여중생의 심폐기능 비교와 혈중젖산농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여중생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무용전공:8, 댄스스포트전공:8, 일반 여중생:9). 집단 간 심폐기능 및 집단 간 측정 시기별 혈중 젖산 분석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정은 Duncan’s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심폐기능에서는 안정시심박수, 최대심박수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최대산소섭취량, 환기량, 운동 지속시간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혈중 젖산농도에서는 각 집단의 peak값은 회복 3분(무용집단, 일반집단)과 회복 5분(댄스스포츠집단)에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측정시기별 혈중 농도 분석에서는 회복 10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mpared changes of cardiopulmonary function, to analysis concentration of blood lactate at rest(before exercise) and after (immediately , recovery 1min, 5mm, 10min, 15min, 30min) the maxi mal graded exercise. The subjects was selected Middle school girls of 25(dance major; 8, dance sports major; 8, control group; 9).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one-way ANOVA on the between groups of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concentration of blood lactate, post-hoc was used Duncan’ s, significance level was α=.05. The results of cardiopulmonary function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HRrest(beats/min), HRimx(beats/min) but VO<sub>2</sub>max(㎖/kg/min), VE(ℓ/min)/ All-out time(sec)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p<.05). Concentration of blood lactate was showed the peak of exercise after 3min (dance group, control group), 5min(dance sports group). And exercise after 10min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p<.05).

      • KCI등재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오수일,황예선,유민주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3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in middle-aged women(n=28) who has hypertension or diabetes with obesity. [METHOD]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performed 10 weeks with 80 minutes per day and 3days per week and aerobic exercise with resistance exericse. The participant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hypertension group(n=15, systolic blood pressure≥140mmHg) and diabetes group(n=13, glucose≥120mg/dl). [RESULT]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after 10 weeks, body weight, fat mass, BMI, %fa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wo groups all. Th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hypertension group,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diabetes group,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cardiorespiratory endur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hypertension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 blood pressure, WHR. diabetes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 glucose, but HDL-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0 weeks after and there were significantly interaction o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glucose.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combined exercise program have beneficial effect that positive change of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in middle-aged women who has hypertension or diabetes with obesity. Especially systolic blood pressure in hypertension group and glucose in diabetes group have decreased by combined exercise program. So if this program applies for a long time, we think it can use effective to prevent relate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disease [서론] 본 연구는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하면서 고혈압과 당뇨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동반한 중년 여성의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대사증후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28명의 비만 중년여성 중 비만하면서 고혈압을 갖고 있는 고혈압 집단과(n=15. SBP≥140mmHg) 비만하면서 당뇨를 갖고 있는 당뇨 집단(n=13, glucose≥120mg/㎗)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10주간, 주 3회, 80분 간(준비운동 10분, 본운동 6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하였으며, 유산소운동(트레드밀 걷기+고정식 바이크 싸이클링)과 저항운동(free weight 이용)을 병행한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 신체구성 결과, 두 집단 모두 제지방량을 제외한 체중, 체지방량, BMI, 체지방률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건강관련체력에서는 고혈압 집단이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에서, 당뇨 집단이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서는 고혈압 집단이 수축기혈압, WHR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당뇨 집단은 glucose에서 유의한 감소와 HDL-C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원반복변량분석 결과 수축기 혈압과 글루코스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보았을 때 비만을 동반한 고혈압 및 당뇨를 가진 중년여성에게 있어 복합운동의 적용이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긍정적인 측면의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주간의 복합운동 후 고혈압집단에서 수축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당뇨집단에서 글루코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운동 프로그램을 장기간 적용한다면,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10주간의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오수일,황예선,유민주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e middle-aged women's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and inflammatory factors[WBC(White Blood Cell), GGT(γ-glutamyl Transferase), UA(Uric Acid)] for 10 weeks. [METHOD]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a metabolic syndrome group(23 persons) and a normal group(17 persons) according to the statu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40 middle-aged women who were currently obese or on the boundary of obesity.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erobic exercise using stationary bikes and resistance exercise including sit-ups, leg lifting, push-ups, sitting down and up, lifting the heel, etc for 10 weeks, 3 times a week, 70 minutes (warm-up; 5 minutes, main exercise; 60 minutes, cool-down; 5 minutes).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hown in all items (Glucose, W/H, blood pressure, TG, HDL-C). And with regard to difference between periods, significant difference i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DL-C was shown. In case of inflammatory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hown in WBC, GGT, and UA.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of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and inflammatory factors showed that Glucose and TG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WBC in metabolic syndrome group, and had influence of 12% and 20.4% respectively. [CONCLUSION] Owing to the combined exercise performed for 10 weeks, positive results were shown i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DL-C among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but it was impossible to find meaningful results in inflammatory factors. However, all of WBC, GGT, and UA showed a decreasing trend.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a positive effect can be expected if exercise is performed for a long time.. [목적] 본 연구는 10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중년 여성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및 염증인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현재 비만이거나 비만 경계에 있는 중년여성 40명 중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라 대사증후군 집단(23명)과 정상 집단(17명)으로 구성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고정식 바이크를 이용한 유산소운동과 윗몸일으키기, 다리들어올리기, 팔굽혀펴기, 앉았다 일어나기, 발뒤꿈치 들기 등을 적용한 저항운동을 본 운동으로 하여 10주간, 주 3회, 70분(준비운동; 5분, 본운동; 60분, 정리운동;5분) 실시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결과, 대사증후군 집단과 정상집단 간 모든 항목(Glucose, W/H, 혈압, TG, HDL-C)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기 간 차이에서는 수축기혈압과 HDL-C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염증인자에서는 WBC, GGT, UA 항목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와 염증인자의 상관과 회귀 결과에서는 대사증후군 집단에서 Glucose와 WBC, TG와 WBC에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각12%와 20.4%의 영향력을 나타냈다. [결론] 10주간의 복합운동 실시로 대사증후군 관련인자 중 수축기 혈압과 HDL-C에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나 염증인자에서는 의미 있는 결과를 볼 수 없었다. 하지만, WBC, GGT, UA 모두 감소 경향을 나타내 장기간 운동의 실시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무용과 댄스스포츠 전공별 여중생의 신체구성 및 체력 분석

        오수일,신혜숙,황예선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6 No.-

        This study analyzed th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fourteen middle school girls who have been majoring in dance(n=7) and seven majoring in dance sports(n=7) for no less than 2 years. Weight, body fat mass, %fat, lean body mass and body mass index(BMI) were studied using Inbody 3.0 to measure body composition. The items for physical fitness analysis included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power, agility, flexibility, balance and cardiorespiratory and the measurement for each item used dynamometer, sit-up, standing long jump, side-step test, trunk flexion, single leg stance, and VO2max. The results on body composi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ance group and dance sports group in all items(p>.05). As for physical fitness, dance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than dance sports group in flexibility(p<.01), power(p<.01), agility(p<.05), cardiorespiratory(p<.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balance(p>.05).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for middle school girls majoring in dance and dance sports, body fat mas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diorespiratory with 30.5 percent of influence. %fat also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diorespiratory with 33.4 percent of influence. Lean body mas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uscular strength with the influence being 44.7 percent. 본 연구는 무용 및 댄스스포츠를 전공으로 한 여자 중학생 14명(무용; 7, 댄스스포츠; 7)을 대상으로 하여 전공별 신체구성 및 체력을 분석하였다. 신체구성 측정을 위해 Inbody 3.0을 이용하여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제지방량, 체질량지수를 알아보았다. 체력 분석항목은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유연성, 평형성 및 전신지구력으로 하였으며, 각 항목의 측정을 위해 악력계, 윗몸일으키기, 제자리 멀리뛰기, side step 검사,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외발서기 및 트레드밀을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으로 하였다. 신체구성 결과,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량, 제지방량 및 체질량지수의 모든 항목에서 무용전공 집단과 댄스스포츠전공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체력에서는 유연성(p<.01), 순발력(p<.01), 민첩성(p<.05), 전신지구력(p<.05) 항목에서 무용전공 집단이 댄스스포츠전공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력, 근지구력, 평형성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무용 및 댄스스포츠전공 여자 중학생의 신체구성과 체력간의 상관에서는 체지방량이 전신지구력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30.5%의 영향력을 미쳤다. 체지방률도 전신지구력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33.4%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지방량은 근력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44.7%의 영향력을 나타냈다.

      • KCI등재후보

        무용전공 여대생과 일반 여대생의 섭식행동 및 신체구성 비교

        정다운,오수일,황예선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comparison with eating behavior and body composition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sed the eating behavior of 72 dance major students and 76 general major students in using DEBQ. According to this analysis, first this study chose two groups ; ten ballet majors who get a high points and ten general major who get a low points in a restraint eating behavior, and then measured body composition between two groups. The statistical technique for data analysis we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restraint eating behavior, ballet majors got a higher points than korean dance majors, modern dance majors & general majors. 2) In body fat, body fat %, abdominal fat %, chest circumference, triceps circumference, triceps subcutaneous fat thickness, suprailiac subcutaneous fat thickness of body composition, the low points were found in the ballet majors, but in a weight, LBM, BMI, waist-circumference, abdominal- circumference, hip-circumference, thigh-circumference, thigh subcutaneous fat thicknes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3) In the correlation between eating behavior and body composition, the restraint eating behavior had unsuitable something to do with body fat %, triceps subcutaneous fat thickness, suprailiac subcutaneous fat thickness. 본 연구는 무용전공 여대생과 일반 여대생의 섭식행동과 신체구성 및 그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섭식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무용전공 여대생 72명과 일반 여대생 76명을 대상으로 섭식행동 질문지(DEBQ)를 배부․회수한 후 분석하여 절제적 섭식행동에서 유의한 차이로 높은 점수를 얻은 발레전공 그룹(n=10)과 낮은 점수를 얻은 일반 여대생 그룹(n=10)의 신체구성을 알아보았다. 자료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one-way ANOVA, 독립 t-test,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섭식행동 중 절제적 섭식에서 발레전공 그룹이 한국무용전공 그룹, 현대무용전공 그룹 및 일반 여대생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신체구성에서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가슴둘레, 상완둘레, 상완삼두 피하지방, 상장골 피하지방은 발레전공 그룹이 일반 여대생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체중, 제지방량, BMI,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대퇴둘레, 대퇴 피하지방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섭식행동과 신체구성 간의 상관관계는 절제적 섭식행동이 체지방률, 상완삼두 피하지방, 상장골 피하지방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