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행시간형 직층돌 이온산란 분광법을 사용한 MgO(001) 면에 성장된 TiO막의 구조해석

        황연,이태근,박병규,Hwang, Yeon,Lee, Tae-Kun,Park, Byung-Kyu 한국결정학회 2002 韓國結晶學會誌 Vol.13 No.2

        Time-of-flight impact-collision ion scattering spectroscopy (TOF-ICISS) was applied to study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epitaxially grown TiO layers on a MgO(001) surface. The hetero-epitaxial TiO layer was deposited by thermal evaporation of titanium onto the MgO(001) surface and subsequent exposure to oxygen at 400℃. The well-ordered TiO structure was confirmed with the 1×1 RHEED pattern. TOF-ICISS results revealed that the TiO layer was formed at the on-top sites of the MgO(001) substrate and that the lateral lattice constant of TiO layer was the same as that of the MgO substrate. The surface of the deposited epitaxial TiO layer was smooth without the three dimensional islands. MgO(001)면 위에 Ti 금속을 증착시킨 후 400℃에서 산소에 노출시킴으로써 헤테로 에피탁시 TiO 막을 성장시켰다. 성장된 TiO막의 원자구조를 비행시간형 직충돌 이온산란 분광법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MgO(001)면에 성장된 에피탁시 TiO막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Ti및 O 원자가 MgO 원자의 위에 위치하여 면내방향의 격자상수는 MgO의 격자상수와 일치하고, TiO막의 표면은 3차원적 섬 형상이 없는 평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 SCOPUSKCI등재

        고분해능 전자에너지손실 및 자외선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한 NbC(111)면의 산소흡착 연구

        황연,박순자,아이자와 타카시,하야미 와타루,오타니 시게키,이시자와 요시오,Hwang, Yeon,Park, Soon-Ja,Aizawa, Takashi,Hayami, Wataru,Otani, Shigeki,Ishizawa, Yoshio 한국재료학회 1992 한국재료학회지 Vol.2 No.4

        고분해능 전자에너지손실 및 자외선광전자 분광법을 사용하여 단결정 NbC(111)면의 산소횹착을 연구하였다. NbC(111) 표면에는 산소가 원자 및 분자상태로 흡착되었다. 산소원자는 3-fold hollow site에 흡착되며 진동수는 548c$m^{-1}$이었다. 산소분자의 신축진동수는 968c$m^{-1}$로서 기체상태인 산소분자의 진동수보다 크게 낮았으며, 산소분자의 흡착으로 일함수가 증가하였다. 이는 NbC(111) 기판으로부터 산소분자의 2p${pi}_g$ 궤도로 전자가 이동하였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Oxygen adsorption on the single crystal NbC(111) surface was studied by high-resolution electron energy loss and ultraviolet photoelectron spectroscopy. On the NbC(111) surface, oxygen molecules as well as oxygen atoms were adsorbed. Oxygen atoms were located at the 3-fold hollow site of the NbC(111) surface with the frequency of 548c$m^{-1}$. It was found that oxygen molecules had vibrational frequency of 968c$m^{-1}$which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free oxygen molecule. Also the work function of the NbC(111) surface has increased by adsorption of oxygen molecule. These suggest electron tranfer from the NbC(111) substrate to the 2p${pi}_g$ substrate of the oxygen molecule.

      • SCOPUSKCI등재

        산화철 폐촉매로부터 합성된 NiZn- 페라이트의 자기적 특성

        황연,권순길,이효숙,제해준,박상일,Hwang, Yeon,Kwon, Soon-Kil,Lee, Hyo-Sook,Je, Hae-June,Park, Sang-Il 한국세라믹학회 2001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8 No.12

        석유화학 공정 중 Styrene(SM) 공정에서 발생되는 산화철 폐촉매는 산업 폐기물로서 전량 매립되고 있는데, 이를 출발 원료로 사용하여 NiZn-페라이트를 합성하였고 그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화철 폐축매 펠렛을 분쇄한 후 NiO 및 ZnO를 혼합하여 90$0^{\circ}C$에서 하소하고 123$0^{\circ}C$에서 5시간 소결하여 스핀넬형 페라이트 소결체를 얻었다. N $i_{x}$ Z $n_{1-x}$F $e_2$ $O_4$(x=0.36, 0.50, 0.66)조성에 대하여 초투자율을 측정하였고, S-parameter를 측정하여 반사 감쇄량을 계산하였다. 산화철 폐촉매를 이용하여 X-band 주파수 영역에서 높은 전자파 흡수능을 갖는 전파흡수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다. NiZn-ferrite was synthesized from waste catalysts, which were produced from styrene monomer process and buried underground as an industrial wastes, and its magnet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Nickel oxide and zinc oxide powders were mixed with finely ground waste catalysts, and spinel type ferrite was obtained by calcination at 900$\^{C}$ and sintering at 1230$\^{C}$ for 5 hours. The intial permeability was measured and reflection loss was calculated from S-parameters for the composition of Ni$\_$x/Zn$\_$1-x/Fe$_2$O$_4$(x=0.36, 0.50, 0.66). NiZn-ferrite synthesized from waste iron oxide catalyst showed a feasibility for the use as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in X-band.

      • SCOPUSKCI등재

        비행시간형 직충돌 이온산란 분광법을 이용한 Si(100) 면의 구조해석

        황연,이태근,Hwang, Yeon,Lee, Tae-Kun 한국세라믹학회 2003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0 No.8

        Time-Of-flight Impact-Collision Ion Scattering Spectroscopy (TOF-ICISS) using 2 keV He$\^$+/ ion was applied to study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the Si(100) surface. The scattered ion intensity was measured along the [011] azimuth varying the incident angle. The focusing effects were appeared at the incident angles of 20$^{\circ}$, 28$^{\circ}$, 46$^{\circ}$, 63$^{\circ}$, and 80$^{\circ}$. The Si atomic position was simulated by calculating the shadow cone to explain the five focusing effects. The four focusing effects at 28$^{\circ}$, 46$^{\circ}$, 63$^{\circ}$, and 80$^{\circ}$ resulted from the {011} surface where no dimers existed on the outermost surface. On the contrary, the scattering between two Si atoms in a dimer resulted in the focusing peak at 20$^{\circ}$. 2 keV의 저에너지 He$^{+}$ 이온을 사용한 비행시간형 직충돌 이온산란 분광법을 이용하여 Si(100) 표면의 원자구조를 해석하였다. [011] 방위를 따라 이온빔을 입사시키고, 입사 각도에 따른 산란된 이온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20$^{\circ}$, 28$^{\circ}$, 46$^{\circ}$, 63$^{\circ}$, 80$^{\circ}$등의 5가지 입사각도에서 집속 효과가 일어났다. 이 각도를 설명하기 위해 그림자 원뿔을 계산하여 원자의 위치를 모사하였으며, 이 결과는 실험과 잘 일치하였다. 28$^{\circ}$, 46$^{\circ}$, 63$^{\circ}$ 및 80$^{\circ}$에서 일어나는 4개의 집속 효과는 표면 최외층에서 이 합체가 자리하지 않는 {011}면을 따라서 발생한 것이며 벌크 구조가 반영된 결과이다. 그 반면에 이합체를 이루는 원자사이에서 발생한 산란은 20$^{\circ}$에서 집속 효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다중자연낙하 공기분급에 의한 정제석탄회로부터 뮬라이트 및 제올라이트의 합성

        황연,배광현,Hwang, Yeon,Bae, Kwang-Hyu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1 資源 리싸이클링 Vol.10 No.6

        석탄회 분말을 다중자연낙하법에 의한 공기분급에 의하여 미립 및 조립의 분말로 정제 및 분급한 후 각각의 분말을 사용하여 뮬라이트 및 제올라이트를 합성하였다 평균 입경이 $6.5mu$m인 미립 석탄회에$ A12$ $O_3$를 첨가한 후 145$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뮬라이트 상의 소결체를 얻었다. 평균 입경 $56.3\mu$m인 조립 석탄회를 사용하여 3.5 M NaOH수용액과 $120^{\circ}C$에서 수열 반응시켜 phillipsite형 제올라이트를 합성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입도의 석탄회 분말을 무기재료의 합성에 이용할 수 있었다. Fly ash powders were refined and separated into fine and coarse size by multi-air classification, and each particle was used for synthesizing mullite and zeolite. Mullite was prepared by sintering the mixture of fine fly ash with mean size of 6.5 $\mu$m and $A1_2$$O_3$powder at above $1450^{\circ}C$. Zeolite was synthesized through hydrothermal reaction with coarse fly ash mean size of $56.3\mu$m in 3.5 M NaOH solution at $120^{\circ}C$. The whole range of particle size can be recycled through size classification into fine and coarse fractions, which are used for syntheses of inorganic materials.

      • KCI등재

        『三國志』裴松之注語言文字學價值探究

        黃娟 대한중국학회 2022 중국학 Vol.81 No.-

        裴松之(372年-451年)爲『三國志』做的注極大地修正、完善和豐富了陳壽『三國志』原文的內容。裴注的語言文字學價值顯著,體現在以下三個方面。首先,語音學方面,『三國志』裴注中有注音99條,共爲96個字頭進行了注音,注音方法主要爲直音(含“音如”)、反切,注音體例爲隨文注音,體現了後漢至東晉時期的語音特點。其次,詞彙學注釋共98條,產生了新詞新義,裴氏對首次出現及賦予了新的內涵的詞語進行了相關補充和說明,多數爲後世沿用。最後,文字學注釋共39條,裴注對生僻的,難以理解的文字加以說明,補充釋義,且關注到了漢字字形對字義的影響,注重從文字學的角度切入,分析詞語和文意。裴松之做注,行文簡潔,脈絡清晰,細緻嚴謹,且常用案語表達自己的觀點和看法,個人特色鮮明。『三國志』裴注具有深刻的語言文字學研究價值,值得仔細挖掘,這對豐富漢語史研究內容方面有着重要作用。

      • SCOPUSKCI등재

        실리카 콜로이드 나노입자를 이용한 반사 방지막의 제조 (II)

        황연,Hwang, Yeon 한국세라믹학회 2005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2 No.6

        Anti-reflection film was coated by using spherical silica nano colloidal particles and fumed silica particles. Silica colloid sol was reserved between two inclined slide glasses by capillary force, and particles were stacked to form a film onto the substrate as the upper glass was sliding. The deposition processes were studied to enhance the wavelength dependency of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o control the effective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Both of the spherical and fumed silica particles showed an enhancement of $4.0-4.4\%$ in light transmittance by one step coating. The dependence of the transmittance on wavelength was largely improved at the longer wavelength by partial coating of fumed particles on the film of spherical particles. The effective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was controlled by removing latex particles that were co-deposited with silica particles. Using this process the light reflectance from one side of the glass substrate could be reduced from $4.2\%$ to $0.6\%$ although zero reflectance was not achieved due to the agglomeration of the latex particles.

      • KCI등재

        석탄회를 이용한 저밀도 세라믹 담체의 제조 기구

        황연,이효숙,이우철,정용대,이원권,Hwang, Yeon,Lee, Hyo-Sook,Lee, Woo-Chul,Jeong, Yong-Dae,Lee, Won-Kw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0 資源 리싸이클링 Vol.9 No.2

        생물여과법에 의한 유해성 유기물 제거용 저밀도 담체로 사용하기 위하여 석탄회를 출발물질로 이용하여 세라믹 담체를 제조하였다. 석탄회에 기공 조절용 및 탄소함량 조절용으로 밀가루를 첨가하여 약환원성 분위기를 유지하여 $1200^{\circ}C$에서 소결한 결과 1.6~1.8 g/$\textrm{cm}^3$의 겉보기 밀도를 얻을 수 있었다. 소결 시 공기를 차단하고 급속히 승온하여 시편 조성의 일부를 환원시킴으로써 액상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렇게 형성된 액상은 시편의 표면부근에 폐기공을 형성하여 밀도를 낮추었다. Low density ceramic supporter was prepared by using fly ash as a starting material for the application to the biological aerated filter system. Wheat powders were used to control the porosity of the supporter and the carbon content of the raw material. Apparent density of 1.6~1.8 g/$\textrm{cm}^3$ was obtained when the fly ash was sintered at $1200^{\circ}C$ in a weak reducing atmosphere. By maintaining the reducing atmosphere and sintering at a high heating rate, the liquid phase was formed from the reduced composition of fly ash. This resulted in the closed pore formation which enabled the low apparent density.

      • 《三國志》裴松之注研究

        黃娟 한국중어중문학회 2024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4 No.4

        裴松之(372-451)는 陳壽(233-297)가 저술한 《三國志》에 주석을 달라는 황명을 받들어, 광범위하게 사료를 수집하고 異聞을 추가하여 대대적인 수정 보완 작업을 하였다. 역사, 문헌, 언어, 문화 등 여러측면에서 《三國志》의 가치와 그 의미를 심화시켰으며, 후에 裴松之의 주석은 《三國志》 원문에 통합되어 전해져 내려왔다. 본고에서는 百衲本《三國志》를 기반으로, 문헌학과 언어학의 결합, 音義(독음과 의미) 대응 등의 연구 방법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문헌학과 언어학 두 분야에서 《三國志》 裴注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헌학 연구는 교감 연구, 인용서 연구,인용인 및 裴氏의 견해 연구 세 측면에 중점을 두고있으며 현재 한국 관련 문헌 연구 상황에 대한 보충으로 진행하였다. 교감 연구의 목적은 《三國志》의 다양한 판본을 정리하고, 百衲本 《三國志》의 디지털화를 통해 다량의 이체자를 정리하고, ‘于와 ‘於의 용법을 귀납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주석 연구에서는 裴氏가 인용한 책 252권 중 《魏書》(王沈著),《魏略》, 《江表傳》의 인용 횟수가 가장 많았고, 또한 인용 서적의 형식이 다양하다는 것을 고찰할 수있었으며, 裴氏가 이러한 문헌 기록의 불일치에 대해 비판과 평가를 내렸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裴氏가 인용한 인물은 孫盛(300?-371?), 習鑿齒(317-384), 鄭玄(127-200) 등을 포함하여 10명이다. 裴氏의 견해는 240건으로,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裴松之의 주석은 《三國志》원문을 따르므로 《三國志》가 한국으로의 전래 양상은 어느 정도 裴氏의 주석이 한국에서 수용 밎 전파 상황을 반영하였다. 언어학적 연구 측면에서는 裴注의 音讀, 어휘, 기타 연구 세 가지 측면에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音讀 자료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三國志》 裴注는 문장 중에 독음 관련 주석을 달았는데, 도합 96개의 글자에 대한 音讀(直音,反切과 音如) 소재로 99개를 찾을 수 있었다. 《廣韻》을 참고하여 音義 부합 연구를 진행한 결과, 音義가 완전히 부합되는 주음은 69개의 용례로 전체 音切 용례의 69.70%를 차지했으며, 대응하지 않은 용례는 後漢에서 東晉 시기의 특정한 음운 특징을 보였다. 裴注의 어휘 주석은 총 80개의 용례를 분석할 수 있었고, 고유명사를 해석한 경우, 문맥을 매끄럽게 한 경우, 배경 정보를 보충한 경우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글자의 주석은 42개의 용례 중, 字義에 대한 변별은 30개의 용례를 분석하였고, 字形 및 字義에 대한 분석은 12개의 용례를 서술하였다. 본고에서는 각 항목별 분석과 탐구를 통해, 裴氏의 언어학적 주석이 한자의 형음의(形音義) 간의 관계를 강조하고, 고유명사의 변화를 기록하여 후세에 귀중한 연구 자료를 남겼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많은 단어,관용어,속어 등이 裴注에 처음으로 등장한 이래로 오늘날까지 전해져 쓰여지고 있으며, 이는 중국어어휘를 대폭 풍부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裴注가 문헌학 측면에서는 다양한 서적의 인용, 상세한 고증, 엄밀한 구조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언어학 측면에서는 裴氏가 한자 간의 音義 관계를 중시하고, 한자의部件이 字義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字(글자)로 詞(단어)를 해석하려는 특징이 뚜렷하지만, 당시 정치 상황의 영향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三國志》裴松之注가 비록 부족한 점도 보이지만, 그 장점이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문헌학과 언어학은 서로 보완하여 발전한다고 분다. 문헌학은 언어학에 신뢰 가능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 언어학은 반대로 문헌학의 발전을 보완한다. 본고는 이 두 관점에서 착안하여 裴注에 대해 종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Pei Songzhi (AD 372-451), commissioned to annotate Chen Shou’s (AD 233-297)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extensively collected historical materials, expanded on diverse narratives, and made significant revisions and corrections. His work enhanced the historical, literary, linguistic, and cultural values and significance of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his annotations, combined with the original text, have been passed down as a whole. Based on the Patchwork Version of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is dissertation conducts a relatively full study and analysis of Pei Songzhi’s annotations o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from the two aspects of bibliography and linguistics by comprehensively using methods such as the combination of bibliography and linguistics, correspondence of sound and meaning. The bibliographic research focuses on three aspects: textual criticism, citation analysis, citations of other scholars as well as Pei Songzhi’s own comments, supplemented by the current state of related literature research in Korea. The textual criticism aims to sort through the various editions of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ddressing the numerous variant Chinese characters in the Patchwork Version and analyzing the usages of “于” and “於”. The annotation study reveals that Pei Songzhi cited 252 works, frequently referencing Book of Wei(《魏書》) (written by Wang Shen), Wei Lue(《魏略》), and Jiang Biao Zhuan(《江表傳》), with a diverse range of book genres. Pei Songzhi’s critiques and judgments on discrepancies in historical records are noteworthy. He cited ten scholars, such as Sun Sheng (AD 300? -371?), Xi Zaochi (AD 317-384) and Zheng Xuan (AD 127-200), and made 240 comments, categorized into five types. Additionally, Pei Songzhi’s annotations follow the original text, so the dissemination of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 to some extent reflects the spread of Pei Songzhi’s annotations in Korea. The linguistic study delves into phonetics, lexicology, and other aspects. The phonetic study of Pei Songzhi’s annotations includes 99 phonetic transcriptions for 96 characters. Comparison with Guangyun(《廣韻》) shows 69 completely matching entries, accounting for 69.70% of the total, highlighting the unique phonetic characteristics from the Later Han to the Eastern Jin dynasty. Pei Songzhi’s lexical annotations, totaling 80, fall into three categories: explaining proper nouns, clarifying meanings, and providing background information. His linguistic annotations emphasize the interrelation of form, sound, a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recording the evolution of proper nouns and leaving valuable research materials for future scholars. Moreover, many words, idioms, and colloquialisms first appeared in Pei Songzhi’s annotations and have been passed down to the present, significantly enriching the Chinese vocabulary and corpus. In conclusion, Pei Songzhi’s annotations, in terms of bibliography, are characterized by diverse references, detailed verification, and rigorous structure; in linguistics, he focused on the phonetic and semantic relationships of Chinese character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character components on meanings, thus achieving distinctive features of interpreting words through individual characters. However, his work was also influenced by the political conditions of the time. Despite its flaws, the overall contribution is magnificent. The dissertation comprehensively conducts research on Pei Songzhi’s annotations from these two perspectives. Bibliography and linguistics study complement and promote each other, with bibliography providing reliable data for linguistic studies, and linguistics, in turn,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biblio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