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적 기억과 매체 그리고 비주얼 리터러시

        황연주 한국문화교육학회 200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2 No.1

        기억은 인간이 동물과 달리 스스로 완성시켜 나갈 수 있는 능력인 자기완성능력 즉 전승을 통한 경험 내지는 지식의 축적과 축적된 경험 및 지식의 지속적인 활용 능력에 필수불가결하다. 인간은 이러한 기억을 통해 집단의 동질성과 정체성을 형성해 나간다. 하지만 인간의 생물적 기억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축적하고 보전하고 전수 하기 위해 다양한 표상이나 매체를 통해 지식과 경험을 저장해왔다. 즉, 인간 자신의 경험과 지식이 소멸되지 않도록 내지는 망각되지 않도록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매체의 발전은 곧 인간의 삶과 문화 전반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그에 따른 인간의 사고와 지식습득방식 및 인식방식의 변화도 초래하였다. 특히 카메라와 전자매체의 발달로 사진이나 TV영상 및 컴퓨터 영상의 발전은 과거 문자 위주의 문화적 기억 매체에서 이미지 위주의 문화적 기억 매체로의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21세기 '문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문화적 담론의 일환으로서 '문화적 기억과 매체 그리고 비주얼 리터러시'라는 주제로 문화적 기억에 대한 개념적 고찰과 더불어 문화적 기억과 매체의 상관관계 그리고 문화적 기억 매체의 발달과정을 비롯한 현대의 주요 문화적 기억 매체와 관련된 학습을 위한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고자 한다. Memory is absolutely indispensible for a human's self-completion, unlike the animals, which is an ability to perfection by themselves and execute a transmitted experience or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perform a practical utilization of accumulated experience and knowledge. Human-beings establish the homogeneity and identification of group through this memory. However, we have been storing knowledges and experiences through manifold symbols or media in order to accumulate, conserve, and transmit this quality, due to the limitation of our biological memory. Development of media taking a role to store or not to expire a man's experience and knowledge motivated an improvement of human life and culture, that accordingly caused the change of human's thoughts, methods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recognition. In particular, the advance of photographs or TV and computer display thanks to camera and electronic media has introduced dramatic changes from the past, character-oriented cultural memory media, to the upgrade cultural memory media dominated by image. As a link of cultural discourse to welcome the era of culture in 21st century, this study therefore discusses the notion of cultural memory with a topic of 'cultural memory, media, and visual literacy' and relations between cultural memory and media, also stresses the necessity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approach to modem primary media of cultural memory, along with the procedure that defines a development of cultural memory media.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업사이클링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환경소양 및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황연주,황희숙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3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EAM-based upcycling activities on the creativity, environmental literacy, and convergent STEAM liter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STEAM-based upcycling activities that can be applied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Methods: The program effect was verified for 3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 11th session. The teachers included 22 experimental and 17 comparative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SPSS 22.0. Results: The effect of STEAM-based upcycling activities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creativity significantly affected the originality and sophistication of the total creativity points and creativity sub-factors. Furthermore, after examining the effect of STEAM-based upcycling activities on environmental literacy, it was found that they significantly affected the overall environmental literacy points and their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La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TEAM-based upcycling activities on convergent STEAM literacy, it was found that they significantly affected convergence, creativity,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all the sub-factors of convergent STEAM literacy. Conclusions: The benefits of implementing upcycling activities based on STEAM were confirme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result has implications for future applications in the teaching field. The meaning of education to cultivate convergent STEAM was significant.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업사이클링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환경소양 및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STEAM 기반의 업사이클링 활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 22명, 비교집단 17명, 총 39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11회기 동안의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STEAM 기반의 업사이클링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창의성 총점과 창의성 하위요인 중 독창성과 정교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TEAM 기반의 업사이클링 활동이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환경소양의 총점과 하위요인인 정의적,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TEAM 기반의 업사이클링 활동이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융합인재소양의 총점과 하위요인인 융합, 창의, 배려, 소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STEAM 기반 업사이클링 활동의 실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추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의미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초등미술과 수업에서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지도 방안 연구

        황연주,조영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6 미술교육연구논총 Vol.19 No.-

        A Teaching Plan Using Flash Animation in Elementary Art EducationHoang, Youn-JuJo, Young-JuToday these sections such as ‘cartoon’, ‘animation’, ‘character’, ‘movie’, etc begin to show apparently their potential values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as the key members in a soaring cultural contents industry. Due to the dependence of those cultural contents on a visual image, it is needed for art education to take a huge role to utilize them in schools. Therefore, an exploration of their educational possibilities in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is periodic demands would bring a good chance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art education that currently seems to be swept away to outskirt. This study accordingly purports to find out a teaching plan of animation using computer flash program that would lead an effective anim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re are few educational results of art focused on a flash animation, though many relevant essays and theses were introduced, as our interest in moving pictures education has boosted recently. Flash program is easier to operate compared to other moving picture programs and very popular to be used in the Net, a teaching- learning program using multi-media, cartoon, movie, etc because it is useful to express many other motions. Hence it is supposed that this search for teaching plan of flash animation using computer in art education should benefit students to understand new ways of expression of image and deal with the matter of time and space, not to mention the general views of visual cultural events. 攀논문 1차 심사 6월 22일, 2차 심사 7월 18일, 3차 심사 7월 23일攀攀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영화 등과 같은 영역은 오늘날 문화콘텐츠산업으로 급부상하면서 차세대 국가경쟁력의 핵심으로 그 가치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들은 영상이라는 시각적 이미지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를 학교교육에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미술교육에서의 역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에서 이러한 시대적 소명의식을 가지고 그 교육적 가능성들을 탐색하는 것은 오늘날 주변교과로 점차 밀려나가는 미술교육의 위상을 다시금 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애니메이션의 효과적 수업을 위해 컴퓨터 플래시(Flash) 프로그램을 활용한 애니메이션의 지도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동영상 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이와 관련된 논문과 저서들이 많이 발표되었지만, 플래시 애니메이션에 집중한 미술 교육적 연구는 없었다. 플래시 프로그램은 다른 동영상 프로그램들에 비해 비교적 기능도 간단하며,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현재 인터넷이나 멀티미디어 교수ㆍ학습 프로그램, 만화영화 등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에서 컴퓨터라는 뉴미디어를 활용한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지도방안 탐색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이미지 표현방식과 시방식 및 공간구성 방식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오늘날의 시각적 문화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새로운 시각문화 환경에 따른 캐릭터 교육의 필요성

        황연주,정미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5 No.-

        There are few studies conducted with regard to an education which brings out students' intensive understandings of characters, and fosters them to appreciate and adopt the characters more critically due to the limitations of current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which only emphasizes on the expression activity using the characters. This type of approach has been made from a formalism with narrow points of view that believes a character education is a just way to teach styles of expression or developing creativity, which is also performed in art education from other domains. Art not only is a creature of artist as it is recognized by modernism but also is realized as many different targets and phenomenons derived from people's visual sense in a daily life, and people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the art. Hence this current situation under a massive impact of visual culture, in order to make art subjects more competitive, needs art education to help learners understand a visual culture and adopt it with a critical eye, and eventually to facilitate learners' ability to independently participate in art appreciation.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because it is believed that a character is a common object among many other visual materials to students and a great matter of interest in their life. This examines the concept, trait, and diversity of character, including the needs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limited to a theoretically basic research focusing on the essential needs of art education, social needs, and learner's dimension. However,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learning program in order to foster students' understanding of characters and critical ability to enjoy them. This study is to be a fundamental resource to achieve this goal 지금까지 학교교육에서 캐릭터 교육은 캐릭터 자체의 이해나 감상보다는 캐릭터를 활용한 표현활동에 머물러 있어 캐릭터에 대한 본질적 이해 및 캐릭터를 비판적으로 감상하고 수용하는 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다른 영역에서의 미술교육과 마찬가지로 캐릭터 교육 또한 표현 양식이나 창의성 개발을 위한 편협한 시각에서 미술을 보고 조형적 형식주의에 머물러 접근되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미술은 더 이상 우리에게 모더니즘에서 이해하는 작가의 창조물로서의 작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생활 전반에 퍼져 있는 시각적 감각이 반영된 다양한 대상과 현상으로 다가오고 있으며, 우리는 이를 통하여 소통하며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시각문화의 영향력이 지대한 현대의 위치에서 미술교육이 경쟁력 있는 교과로 서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시각문화를 보다 올바르게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며 이를 통하여 주체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 주어야 한다. 캐릭터는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시각문화 중에서 아동들이 가장 흔하게 접하고 있고 그들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는 시각매체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서 캐릭터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캐릭터의 개념과 특징 및 종류, 캐릭터 교육의 필요성을 미술교육의 본질적 요구, 사회적 요구, 학습자의 입장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기초연구에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는 아동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캐릭터를 올바르게 이해하며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프로그램의 개발에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초등 미술교육에서 영상교육의 현장 실태 조사 분석

        황연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3 No.-

        After the revision in 2007, art textbooks following art subject curriculums included much image related contents to reflect current social and cultural flows positively. Also, many recent art education studies are about image education. In art education, image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and image teaching and studying methods are being studied in diverse aspects.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tudy to diagnosis how much image education are actually adopted in real school scenes and about image education capacities of teachers or education programs for pre-teacher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on-site status of image in elementary art education is researched and analyzed. Based on theoretic background of necessity of image education in art education, image related contents in current art textbooks are analyzed to find out how they are constructed in the textbooks for different grades. Also, in order to understand current conditions of image education on-si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o research experience of image education in education training institutions or training sessions, experience of image education related teaching in art classes, and recognition of teachers on image education and textbooks. The researched current conditions were analyze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image education.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과서는 오늘날의 사회·문화적 흐름을 적극 반영하여 영상 관련 내용을 비교적 많은 비중을 두고 구성하고 있다. 또한 최근의 많은 미술교육 관련 연구들에서도 영상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다. 미술교육에서영상은 이제 당연히 교육되어져야 하는 영역 중에 하나가 되었으며, 그 교수·학습 방법적 측면에서도 다각적인 모색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학교현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영상교육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들의 영상교육 지도능력과 교사양성기관에서의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에 대한 진단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영상교육의 현장 실태를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으로는 미술교육에서 영상교육이 필요한 이유를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현재 적용되고 있는 미술교과서에 영상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어떠한 내용으로 어떻게 학년 군별 위계성 있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영상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현장교사들에게 투입한 설문지를 중심으로 교사양성기관이나 연수를 통한 영상교육 경험, 미술수업시간에서의 영상교육 지도 경험, 영상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교과서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해 보고 그 실태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영상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시각적 문해력 교육 고찰

        황연주 한국미술교육학회 2024 美術敎育論叢 Vol.38 No.2

        본 연구는 시각적 문해력 교육이 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언제부터 실시되었으며,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리고 최근에 고시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은 먼저 미술과 교육에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실질적인 학교 교육에서의 현황을 고찰한 다음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술과 교육에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정하고,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의 내용과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술과 교육에서 시각적 문해력 교육은 2007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주요 이론적 토대가 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 여러 차례 미술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었지만, 시각적 문해력 교육은 점점 비중있게 다루어져 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when visual literacy education began in the school art education curriculum, how it has been developed, and how it is reflected in the recently announced 2022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The research content first established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in art education, reviewed the actual status of school education, and then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i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in art education were reviewed, and the contents of visual literacy education,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Visual literacy education in art education began to be dealt with in earnest in the 2007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a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ecame the main theoretical basis. Since the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but visual literacy education has been treated with increasing 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