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30 자발적 비혼 여성의 무망감 영향요인 분석: 개인적, 경제적, 가족적, 사회ㆍ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황연재,정윤정 한국가족학회 2022 가족과 문화 Vol.34 No.3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hopelessness among voluntary single women in their 20s and 30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16 participan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via SPSS 26.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condition, monthly income, childhood abuse experience, family cohesion, perceived stress and fairnes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hopelessness. Th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inserting personal, economic, family and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in order. The result turned out that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more they were likely to be non-workers, the lower the family cohesion, the more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stress, the higher the level of hopelessnes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hich was significant until Model 3, was found to lose its influence when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were introduced in the last model, whereas the family factors and education level showed its significant influence on hopelessness in all the models input.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hopelessness in 20-30’s voluntary single women, and suggested feasible policy/practical measures for improving their mental health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2030 자발적 비혼 여성의 무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316명의 2030 자발적 비혼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데이터는 SPSS 26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주요 변수들 중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월평균 소득, 아동기 학대 경험, 가족 응집성, 스트레스 자각,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개인적 요인, 경제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ㆍ심리적 요인 순서로 변수를 투입하였다. 그 결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근로를 하는 사람에비해 근로를 하지 않는 사람이, 가족 응집성이 낮을수록, 아동기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그리고 스트레스 자각 정도가 높을수록 무망감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 3까지 유의하였던 주관적 건강상태는 사회ㆍ심리적 요인이 투입되자 유의한 영향력을 잃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가족적 요인과 교육수준은 투입된 모든 모형에서 무망감에 유의한 영향력을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년세대 자발적 비혼 여성의 무망감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을 검증한 첫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30 자발적 비혼 여성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아동가구의 다차원적인 박탈이 가족 건강성,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Hill의 ABC-X 모델의 적용과 가족 유형 간 비교를 중심으로

        황연재 한국가족학회 2022 가족과 문화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child household deprivation, then apply the family stress theory and Hill’s ABC-X model to understand the family stress mechanism as an outcome of deprivation.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family wellness as an internal family resource, parenting stress as a perception of household stress event, and parental depression as a final outcome. Thu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930 households in order to classify the family types based on deprivation. After, the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among deprivation, family wellness,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depression on the classified each group. As a result, household deprivation was categorized into three (low level in all sub areas-the housing focused, leisureㆍsavingsㆍ education focused, and high level in all sub areas-multiple deprivation type) family groups. The former two groups were found to suitably explain the structural family stress mechanism based on Hill’s model. However, in the case of the multiple deprived family type, family wellness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toward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which it was only this group that failed to explain Hill’s model. With the given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made, along with measures to prevent parental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가구의 다차원적인 박탈 유형을 살펴보고 가족 스트레스 이론과 Hill 의 ABC-X 모델을 적용하여 박탈에 따른 가족 스트레스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가족 건강성을 가족의 내부적인 자원으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가족 내 스트레스 사건인 박탈에 대한 인식으로, 그리고 박탈의 최종 결과로써 부모의 우울에 집중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930개의 아동가구를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여 박탈 수준에 따라 가족유형을 분류하였고, 이후에는 각 가족 유형별로 아동가구의 박탈, 가족 건강성,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가구의 박탈은 전영역 저수준-주거 집중 박탈형, 여가ㆍ저축ㆍ교육 집중 박탈형, 전영역 고수준-다중박탈형이라는 세 가지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러한 세 가족 유형에 Hill의 ABC-X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앞선 두 가족 유형은 모든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나 가족 스트레스 이론에 따른 구조적인 메커니즘이 검증되었지만, 마지막 전영역 고수준-다중박탈형의 경우 가족 건강성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부모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시사점과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동시장 내 차별의 교차성이 성인노동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연재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2 비판사회정책 Vol.- No.7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sectional discriminationhappening within the labor market on worker’s work-family balance difficulty and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Thus, 2,690 adult workers residing in Koreawith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by usingthe raw data of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KWCS) of Occupational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The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viaSPSS and PROCESS macro. The result showed that first as intersected discriminationexperience was added to workers, the average mean of job burnout and work-familybalancing difficulty increased. Second, intersectional discrimination in the labormarke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difficulty of work-family balanceand job burnout respectively. Third, it was verified that workers’ job burnout notonl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difficulty of work-family balance, butalso partially mediated intersectional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thedifficulty of work-family balance. With the given result, measures to solvework-family balance difficulty of adult workers’ were proposed by combining a newlens of intersectionality. 본 연구는 노동시장 내에서 발생하는 교차적인 특성을 지닌 다양한 차별경험이 국내에 거주 중인 성인노동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과 그 사이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제6차 근로환경조사 원시사료를 활용하여 차별경험이 있는 성인노동자 2,69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SPSS와 PROCESS macro를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노동자들은 차별의 교차성이 가산될수록 직무소진과 일가정 양립 어려움의 평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노동시장 내 차별의 교차성은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과 직무소진에 각각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동자들의 직무소진은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노동시장 내 차별의 교차성과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성인노동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교차적인 특성에 기반을 둔 차별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제언하였다

      • KCI등재

        후기청소년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의 삶에 대한 현상학 연구: 자아탄력성의 탐색

        황연재,남보영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論集 Vol.53 No.1

        This phenomenological study is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late youth non-binary transgend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lives and to explore their ego resilience. Thu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welve late youth non-binary transgenders, and the collected ra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s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ree categories, including ‘Gender identity formation process’, ‘Life with family’, and ‘Me within the society’, were derived along with ten theme clusters and twenty six themes. The study results presented their ego resilience based on the unique experiences, while encompass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domains of the participants’ life. The study participants overcame an identity crisis period, and soon were able to face their real self. Particularly, home was an ambivalent place for them, both giving strength and posing threat. Nevertheless, the study participants did not gave up their dreams and passion for a positive future, and were proving their existence by making efforts to visualize their identity. From the result and conclusion suggested, the study expect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regarding the life of the late youth non-binary transgenders, and discussed measures in terms of family and societal roles for them to strongly leap towards the future as healthy members of the society. 본 연구는 후기청소년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의 삶을 이해하고 이들의 자아탄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후기청소년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원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자료분석방법 6단계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성별정체성 형성과정’, ‘원가족들과의 가정 내 생활’, ‘사회 속의 나’라는 3개의 범주, 10개의 주제결집과 2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연구참여자들의 과거, 현재, 미래의 영역을 아우르는 동시에 이들만의 고유한 경험을 기반으로 한 자아탄력성을 제시해 주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혼란스러운 정체화의 시기를 헤쳐 나가며, 논바이너리로서의 나를 마주하게 되었다. 특히, 이들에게 가정은 힘을 주는 동시에, 위협을 가하는 곳으로 양가적인 의미를 지니는 공간이었다. 그럼에도 연구참여자들은 긍정적인 미래를 향한 꿈과 열정을 잃지 않았으며, 가시화의 노력을하며 존재를 증명해 내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후기청소년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의 삶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서 도약할 수 있는 가족 및 사회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농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한 생애사 연구

        황연재(Yeonjae Hwang)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life of the hearing impaired in depth an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and the realization of social inclusion.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seeking the distinct traits of social exclusion of the hearing impaired and captured the paradigm shift from social exclusion to social inclusion. In order to do so,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a research participant with a hearing disability in his 30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TLAS.ti program according to Mandelbaum’s life history analysis procedure. As a result, three main themes were derived in the “dimension” section: “Church at the center of my heart”, “My family who enlightened me on possibility”, and “My essential deaf community”. Next, “turning poi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main themes: “Going to regular school”, “Moving to a specialized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ed”, “Encountering calligraphy”, “Second chapter of life at university”, and “From factory to office work”. Lastly, in “adaptation”, three main themes were brought about: “Expressing gratitude”, “Showing altruism in return for the help received”, and “Perseverance in the face of adversity”. This study was in support of active citizenship of the hearing impaired, examining various measures in terms of their social exclusion and social inclusion based on the main study results. 본 연구는 농인의 삶 전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 속에 드러난 사회적 배제의 경험과 사회적 포함의 실현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청각장애가 있는 30대 농인 한 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Mandelbaum이 제시한 생애사 분석절차에 따라 ATLAS.ti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삶의 영역’에는 ‘마음의 중심인 교회’, ‘가능성을 일깨워준 우리 가족들’, ‘필수불가결한 농사회’라는 3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삶의 전환점’은 ‘일반학교로의 진학’, ‘농학교로 전학 가다’, ‘서예와의 조우’, ‘대학교에서 펼쳐진 제2의 삶’, ‘공장에서 사무직으로’라는 5개의 주요 주제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적응’에는 ‘감사하는 마음’, ‘받은 도움을 이타심으로 베풀기’, ‘칠전팔기의 자세’라는 3개의 주요 주제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능동적 시민권을 지지하는 데 의의를 두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포함에 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 성소수자 연구 동향분석 - 사회복지학계 학술연구를 중심으로 -

        김종빈,성지민,황연재,김규혜 한국사회복지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학 Vol.76 No.3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 내 성소수자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성소수자 대학원생/신진연구자 네트워크 아카이빙팀’에서 구축한 자료에 본 연구의 연구자들이 더한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자료는 검색 가능한 시점부터 2023년 9월까지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 결과 총 33편의 연구가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복지학에서 성소수자 연구는 1995년 처음 출판된 이후 2010년을 기점으로 활발히 진행되었다. 둘째, 연구 중 성소수 자가 직접 참여한 연구가 과반으로(19편) 가장 많았다. 셋째, 고령층만이 참여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성소수자 관련 연구의 주제는 크게 ‘사회복지 방향성 제시’, ‘비성소수자의 인식 및 경험’, ‘성소수자 건강’, ‘성소수자 생애 이해’ 4가지로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가 15편으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령층 연구의 필요성, 종단데이터의 필요성, 사회복지학 내 성소수자에 대한 병리적/대상화의 시선에 대한 경계 그리고 성소수자 옹호적인 학계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research trends in LGBTQ+ studies within Korean social welfare academia and aims to guidance 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analysis utilized archived data initially gathered by the ‘Junior Scholars Network of LGBTIQ Research Archiving Team,’ with subsequent contributions from the research team. The dataset, which includes articles published up to September 2023, consists of 33 studies. Key findings indicate that LGBTQ+ research in social welfare began in 1995, with a notable increase in scholarly activity from 2010 onward. Most studies focused on LGBTQ+ participants, while research involving non-LGBTQ+ individuals was less prevalent. Additionally, there was a lack of studies concentrating on LGBTQ+ older adults. The research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themes: (1) future directions for social welfare, (2)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non-LGBTQ+ individuals, (3) LGBTQ+ health, and (4) the nuanced life course experiences of LGBTQ+ individuals. Qualitative methods were predominantly used, with 15 studies employing this approach.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clusivity, particularly for the aging LGBTQ+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longitudinal datasets aimed at this group. Additionally,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addressing pathologizing discourses and advocates for a more LGBTQ+-inclusive climate in academia.

      • 찾아가는 박물관을 위한 멀티미디어의 적용 연구

        정유선(Yooseon Chong),이기연(Keeyeon Lee),이현정(Hyunjung Lee),황연재(Yeonjae Hwang),최유미(Yoomi Choi)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박물관은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오늘날 박물관은 유물과 자료의 수집 · 보존 · 연구 · 전시의 개념을 넘어서 체험과 통합학습, 찾아가는 박물관 등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찾아가는 박물관의 기능과 현황을 살펴보고 버스 공간 내에 박물관 기능으로서 멀티미디어의 적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민속악기를 이용한 문화다양성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을 모색한다. 셋째, 터치스크린과 오디오를 이용한 멀티 체어, 공간의 활용성을 높인 돔 스크린, 인터랙션을 이용한 멀티융합 체험존 설치를 위한 프로토 타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 문화의 세계화를 이루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문화적 차이와 편견, 차별 등을 없애고 타문화의 올바른 이해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민속악기에 대한 이해와 체험교육을 멀티미디어를 적용한 문화다양성 교육으로 융합하여 문화소외지역, 다문화지역을 찾아가는 박물관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자한다. Museum is space of being coexisted the past, the present, and future. Museum in today is attempting a change into the space available for having special experience by developing many programs such as experience, integrated learning, and museum"s outstretch beyond a concept of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and exhibition of relics and data.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rst figure out the function 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museum"s outstretch and to examine applicability of multi-media as the function of museum within the bus space. Second, it seeks necessity and method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ith the use of folk musical instrument. Third, the aim is to suggest prototype for installing multi chair with the use of touch screen and audio, dome screen, which increased availability of space, and multi-convergence experience zone with the use of interaction. The 21st century is demanding a new paradigm of forming the era of culture and the globalization of culture. The education is needed that rightly understands other culture with removing cultural differenc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Hence, the aim is to seek new directionality of museum, which visits a culturally isolated region and a multi-cultural region by converging the understanding about folk instrument and the experience education in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ith the application of multi-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