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amus-Kaye-Stansel 술식을 받은 Taussig-Bing 기형의 환자에서 관상동맥 이식을 통한 완전 교정술 -1예 보고-

        황여주,이창하,한미영,전양빈,박철현,박국양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9

        A 52 day-old male infant who had Taussig-Bing anomaly with coarctation of the aorta underwent initial palliative Damus-Kaye-Stansel (DKS) procedure including arch reconstruction because of suspected intramural coronary artery, size discrepancy of great arteries, potential subaortic stenosis, refractory pneumonia, and severe congestive heart failure. Total repair was done 44 months later, which was composed of VSD patch closure, DKS take-down, and arterial switch procedure. We report a successful case of DKS take-down and arterial switch operation for the reuse of native aortic and pulmonary valves rather than Rastelli-type procedure in a patient with Taussig-Bing anomaly having palliative DKS procedure. 환아는 대동맥 축착을 동반한 Taussig-Bing기형으로 벽속 주행(intramural course)이 의심되는 관상동맥, 대혈관 크기의 현저한 차이, 호전되지 않는 폐렴과 심부전, 잠재적 대동맥하 협착으로 생후 52일에 대동맥궁 재건을 포함한 고식적 Damus-Kaye-Stansel (DKS) 술식을 시행받았다. 생후 45개월에 시행된 완전 교정술은 좌심실에서 폐동맥(신대동맥)으로의 심실중격결손을 폐쇄하고 DKS 술식해체 후 관상동맥 전이를 통한 동맥전환술에서 자가 신폐동맥의 판막 기능을 유지한 채 우심실 유출로를 재건하였다. 완전 교정술 후 19개월째 외래 관찰 중으로 심장약은 복용하지 않으며 심초음파 검사에서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 저자들은 DKS 술식을 받은 Taussig-Bing 기형 환자에서 인조 판막도관의 삽입이 필요한 Rastelli 술식을 피하고 DKS 술식해체과 동맥전환술로 양대혈관 판막을 모두 보존하는 완전 교정술을 시행하여 좋은 성적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규폐증 환자에서 기관지 결석증으로 인한 기관지식도루 -1예 보고-

        황여주,이재익,전양빈,박철현,박국양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6

        Broncholithiasis is uncommon in patients with silicosis. Bronchoesophageal fistula complicated by broncholithiasis is especially rare and only one case has been reported in Korea. Surgical treatment of broncholithiasis should be as conservative as possible to preserve the adequate pulmonary function. Meticulous dissection and division of the fistula with the interposition of viable tissues will prevent recurrence. We report a rare case of bronchoesophageal fistula complicated by broncholithiasis in a patient with silicosis. 규폐증 환자에서 기관지 결석증은 드물게 발생한다. 특히 기관지 결석증의 합병증으로 기관지식도루가 발생한 예는 매우 드물어 국내에서는 1예 보고된 바 있다. 기관지 결석증과 기관지 식도루의 수술 치료는 손상되지 않은 폐실질을 최대한 보존하고, 누공의 비혈관성 조직들을 완전히 제거하여 식도와 기관지 봉합 부위를 흉막 피판이나 늑간근 피판으로 완전히 감싸 주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규폐증 환자에서 기관지 결석증으로 인한 기관지식도루 1예를 수술 치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심방중격결손 수술 후 폐색전증을 동반한 우심방 절개봉합 부위에서의 우심방 혈전의 수술적 치료 -1예 보고-

        황여주,안영찬,이창하,전양빈,이재웅,박철현,박국양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5

        Report of right atrial thrombus complicating pulmonary embolism after cardiac surgery is rare. A 54-year-old woman operated on the atrial septal defect 10 months ago was admitted for left pleuritic pain and dyspnea. Multiple segmental perfusion defects were detected in lung perfusion scan.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showed a large mobile right atrial mass attached to the free wall of the right atrium with a stalk. Despite the intravenous heparinization for 13 days, follow-up echocardiography revealed the right atrial mass had not diminished in size. The mass which was confirmed as an organizing thrombus was excised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The patient recovered uneventfully and was discharged on warfarin therapy. 개심술 후 폐색전증을 동반한 우심방 혈전의 발생 예는 매우 드물다. 10개월 전 심방중격결손 수술을 받았던 54세 여자 환자가 좌측 흉막통과 호흡곤란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폐관류주사 검사에서 다발성 분절성 관류 결손 소견을 보였고 경식도 초음파 검사에서 우심방 벽에 위치하는 크고 줄기가 있는 움직이는 종괴가 발견되었다. 헤파린 치료 시작 13일 후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크기가 전혀 줄어들지 않아 개심술하에 종괴를 제거하였다. 병리 소견에서 우심방 기질성 혈전으로 밝혀졌고, 수술 후 환자는 별 문제 없이 회복되었으며 퇴원 후 와파린 치료를 받고 있다.

      • KCI등재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하는 심방 세동에 대한 분석

        황여주,박국양,박철현,전양빈,최창휴,이재익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2

        배경: 수술 후 심방 세동은 심장 수술과 관련된 흔한 합병증으로, 저자들은 심폐체외순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OPCAB)과 심폐체외순환기를 사용하여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n-pump CABG)를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심방 세동의 발생률을 조사하여 심폐체외순환기 사용 여부가 수술 후 심방 세동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위험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은 306명의 환자 중 OPCAB을 시행 받은 178명과 On-pump CABG를 시행받은 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에서의 수술 후 심방 세동 발생률, 수술 전, 중, 후 위험 요인을 조사하였고, 각각 두 군에서의 수술 후 심방 세동의 위험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환자 변수에 관하여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심방 세동은 OPCAB군에서 25예(14%), On-pump CABG군에서 15예(21%)가 발생하였고, 두 군 사이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심방 세동의 위험 인자로는 OPCAB 군에서는 65세 이상의 고연령, 수술 후 3일 동안의 총 수액 투입/배출의 불균형, 수술 후 3일 동안의 출혈량이, On-pump CABG군에서는 65세 이상의 고연령, 수술 후 3일 동안의 총 수액 투입/배출의 불균형이 단변량 분석에서 의미 있게 나타났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는 두 군 모두에서 65세 이상의 고연령만이 수술 후 심방 세동의 위험 인자로 분석되었다. 결론: 수술 후 심방 세동은 관상동맥우회술 후 생기는 흔한 합병증으로 OPCAB은 수술 후 심방 세동의 발생을 줄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65세 이상의 고연령은 심폐체외순환기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수술 후 심방 세동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상품화된 8 Fr 흉부 배액도관(Pleuracan?)을 이용한 원발성 자연기흉의 치료

        박정식,이재익,황여주,박국양,박철현,전양빈,최창휴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4

        배경: 이 연구에서는 원발성 자연기흉 환자의 초 치료를 위해, 본 교실에서 2005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상품화된 8 Fr 흉부 배액 도관(Pleuracan )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원발성 자연기흉으로 진단받고 흉관 삽입술을 시행한 환자 59명(72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 Fr 이상의 흉관을 사용한 군(Tube군, T군)과 Pleuracan 을 사용한 군(Pleuracan 군, P군)으로 나누어 그 임상 경과를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총 41예에서 Pleuracan 을 삽입하였으나, 9.8% (4/41)에서 도관 기능 장애가 나타났고, 이 중 3예에서는 20 Fr 이상의 흉관을 삽입하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T군은 34예, P군은 38예였다. 두 군 사이에 흉관 거치 기간(T군: 2.1 1.5일, P군: 2.1 1.3일), 재원 일수(T군: 6.4 5.4일, P군: 5.2 2.9일), 합병증(T군: 3%(1/34, 출혈), P군: 0%) 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주용 진통제 사용 환자는 P군이 60% (23/38)로 91% (31/34)인 T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p=0.003). 수술 없이 흉관 삽입만으로 치료한 36예(T군: 17예, P군: 19예)만을 분석하였을 때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 환자들에 있어 공기 누출 기간은 T군이 0.5 0.7일, P군이 0.5 1.2일로 차이가 없었고, P군의 84% (16/19)에서 폐의 재팽창을 얻어 94%(16/17)의 T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Pleuracan 은 20 Fr 이상의 흉관과 비교하여 그 효용성에 차이가 없어, 원발성 자연기흉의 초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심방세동치료에 적용된 심외막극초단파차단술 -1예 보고-

        박철현,박정식,이정환,안영찬,황여주,이재익,현성열,전양빈,이창하,박국양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7

        Even though the Cox-Maze III procedure is the gold standard in the therapy for atrial fibrillation (AF) and its outcome is excellent, the complexity of the operation, longer cardiopulmonary bypass time and the risk of bleeding have tended to dissuade cardiac surgeons from its application. The recent data of the pathogenesis of AF and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have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the modified Cox-Maze procedure rapidly. We reported that atrial fibrillation was conversed to sinus rhythm by the epicardial microwave ablation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and the normal sinus rhythm was observed during 33 months of follow-up period. Cox-Maze III 술식이 심방세동의 전형적인 수술요법이지만 탁월한 수술성적임에도 불구하고 수술의 복잡성, 장시간의 체외순환, 술 후 출혈의 위험부담으로 보편적이지는 못하다. 최근 들어서 심방세동의 병리기전에 대한 이해와 절개 및 봉합의 대안으로 여러 가지 에너지원의 개발로 인하여 Cox-Maze의 변형술식이 급격하게 발전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극초단파(microwave)를 이용하여 심방세동을 교정한 후 33개월 현재 양호한 상태로 동율동을 보이고 있어 문헌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남녀 개인의 정서 조절과 이성 관계 만족에서 공동 대처 방략의 매개: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설경옥,백상은,원수경,황여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a mediational role of dyadic coping between individual emotion regula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dating couples. Two hundred ninety-eight heterosexual couples (M age=23.55)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uples rated emotion regulation, three forms of dyadic coping (i.e., Active Engagement, Hostility, and Avoidanc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e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s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al effects of three forms of dyadic coping between emotion regul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Active Engagement model the link between male and female partner’s emotion regulation and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Active Engagement.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the Hostility and Avoidance models; however, in the Hostility model we found the partner effect. That is, male partner’s emotion regulation predicted female partner’s Hostility dyadic coping and female partner’s Hostility dyadic coping in turn, predicted male partner’s satisfaction. 본 연구는 이성 관계에서 개인의 정서조절과 관계만족의 관계에서 갈등상황 시 남녀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나타내는 공동대처(dyadic coping)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이성교제 중인 미혼 남녀 298쌍(총 596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정서조절 능력, 적극적 문제해결시도의 긍정적 공동대처 방략, 부정적 감정 및 행동표출과 회피의 부정적 공동대처 방략, 그리고 관계만족에 관한 설문을 실시했고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이용해 가설을 검증했다. 그 결과 첫째 남녀 모두 자신의 적극적 문제해결시도는 자신의 정서조절 능력과 관계만족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대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남녀 모두 자신의 부정적 감정 및 행동표출은 자신의 정서조절과 관계만족을 부분 매개하는 동시에 3 모형 중 유일하게 상대방 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성의 부정적 감정 및 행동표출은 남성의 정서조절과 남성의 관계만족을, 남성의 정서조절과 여성의 관계만족을 부분 매개했으며 여성의 정서조절과 남성의 관계만족을 부분 매개했다. 마지막으로, 남녀 모두 자신의 회피는 자신의 정서조절 능력과 관계만족을 부분 매개하였으나 상대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