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돈황학의 성립과 오리엔탈리즘

        황순일(Soon Il Hw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5

        근대 돈황학의 성립은 오럴 스타인이 돈황 천불동 장경굴에서 발견된 불교 고문헌과 미술품을 영국으로 옮기고 전 세계에 알리면서 시작되었다. 물론 돈황학이 서구의 여러 박물관과 도서관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많은 학문적인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 사건은 20세기 초반 근대 아시아가 겪어야 했었던 슬픈 약탈의 역사를 대변하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 또한 오따니 콜랙션이란 이름으로 본의 아니게 돈황 유물의 일부를 보존하고 있는 국가가 되어버렸다. 이 논문은 근대 돈황학의 성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오럴 스타인을 중심으로 그의 성장기와 실크로드 탐험의 동기 그리고 그가 지니고 있었던 오리엔탈리즘적 경향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스타인의 돈황까지 탐험을 하게 된 계기와 돈황에서 발견된 문헌과 미술품을 서구로 밀반출하는 배후에 그 당시 유럽의 학계에 만연했었던 오리엔탈리즘적 경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을 밝히려 한다. Modern Dunhuang Studies have started when Aurel Stein brought old Buddhist manuscripts and paintings to England from one of the thousand Buddha Caves in Dunhunag and made known of them to the Western world. Although there has been academic progress under the name of Dunhuang Studies in the museums and libraries in the West, it actually symbolized one of the sad histories of plunder Asia had to undergo under the name of modernizatio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South Korea unintentionally becomes one of the countries in which Dunhuang manuscripts and paintings are preserved under the name of Otani Collection in the National Museum. This paper will look at Aurel Stein, a central figure i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Dunhunag Studies. It observes his life, his motive for exploring Chinese Turkestan and his Oreintalist attitudes. If possible, it will try to clarify that Orientalism spreading throughout European scholarship could take an important role in Stein`s expedition all the way to Dunhuang, the eastern end of Chinese Turkestan, and in his decision to bring all those manuscripts and paintings to the Western world.

      • KCI등재

        동물을 구하고 전쟁에 이기는 법 __분쟁을 대하는 불교적 태도__

        황순일 ( Soon Il Hwang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3

        요하네스 브롱코스트는 ‘브라만 사상의 그늘에서 본 불교’란 최근 저서에서 국가를 경영한다는 측면에서 불교인들이 왕가에 해줄 수 있는 일들이 아주 적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아마도 이러한 태도는 생사를 건 전쟁에 임하는 쿠샨의 카니시카왕에서 동물을 구할 것을 집중적으로 강조한 마뜨리째따(Matrc eta)의 편지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비록 이러한 불교적 태도가 왕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을 것 같지만, 불교인들이 분쟁을 맞이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사실상 빨리 자따까와 아리야슈라의 자따까말라는 신들의 왕으로 태어난 전생의 붓다가 악신들과의 전쟁에서 어린 독수리들을 보호하고 전쟁에서도 승리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불교인들의 열린 윤리관은 닫힌 윤리관 속에서 자타를 구분하고 자기편에 대해서는 사랑하고 의지하며 다른편에 대해서는 증오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현실에 잔잔한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불교의 열린 윤리관이 현실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검토하면서 다종교 다문화 사회에서 상호간의 이해와 평화를 갈망하는 불교인의 태도를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해본다. Johannes Bronkhorst in his recent publication, Buddhism in the Shadow of Brahmanism, has argued that Buddhism offered ‘very little’ in terms of practical and sensible advice to royal court on issues related to statecraft. One of the examples given in the book is the letter sent to young King Kanisika of Kushana dynasty from a Buddhist monk Matrceta known to be the intellectual grandchild of Nagarjuna. In this letter he, as a Buddhist counselor to the King, talks only about saving the life of animals and not even mentioning of the killing of humans. It looks as if this advice cannot help the King busy at intense statecraft and at bloody warfare. Although it can be regarded neither as practical nor as sensible, it in fact conveys the core Buddhist ethical value of universal morality. If one should value high on the life of animals, there is no need to mention the life of human beings including enemy troops. Indeed, there is one charming Jataka story in which the future Buddha, born as Sakra Indra, the Lord of devas, wins over asuras by saving the life of animals in a war. It is preserved both in Pali Jataka and in AryaSura’s Jatakamala in slightly different setting. Nowadays religion has been condemned as a divisive force powered by in-group/out-group enmity and vendetta. Buddhism seems to be a step aside from those religious conflict and violence. Indeed Buddhists, based on non-violence as well as loving kindness and compassion, wish for the happiness and well being of all living creatures. In this there is no such distinction as oneself and others, our side and other side and in-group and out-group. The spirit of Buddhist universal morality seems to be embedded in diverse Buddhist stories, such as the Kulavakajataka, and they could offer the key for Buddhists to deal with multi-religious and multi-cultural society we live in.

      • KCI등재

        제3결집과 남방 테라와다(Theravada) 불교

        황순일(Soon Il Hw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3 佛敎學報 Vol.0 No.65

        불교국가에서 가장 이상적인 불교적 군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인도 마우리야 왕조의제3대아쇼까(ASoka)왕에관해서많은이견들이존재하고있다. 사실상인도전역에서발견되는아쇼까왕비문·석주에나타나는아쇼까왕과남방테라와다(Theravada)불교전통에 나타나는 아쇼까왕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붓다고샤(Buddhaghosa)의 까타왓투(Kathavatthu) 주석서(Atthakatha)의 서문에 나타난 제3결집과 관련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제3결집에 관한 제반 내용들을 살펴보면서 남방불교에서 가장 이상적인 담마라자(dhammaraja)로 나타나는 아쇼까왕의 위상과 테라와 다(Theravada) 교단에서 제3결집에 가지는 사상적 위치를 살펴보도록 한다. There are some disputes about the role of King Asoka, a model Buddhist king, in the patronage of Buddhist sangha as well as the propagation of Buddhism into neighboring countries. In fact we can get the two different pictures of the King Asoka either from the inscriptions of his edict through the India or from the various Buddhist literary materials. According to the former, he is depicted as a generous king with universal ethics who treats all religions equally. According to the letter, he is described as a universal monarch who supports Buddhism and Buddhist sangha even through intervening the internal as well as doctrinal matters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In this paper I am going to deal with materials relating to the 3rd Buddhist council centered around the Kathavatthuatthakatha and then to show the place of the 3rd council in the history of Southern Theravada Buddhism and the importance of the dhammaraja concept among various South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 초기불교의 중도사상과 퇴옹성철의 이해

        황순일 ( Hwang¸ Soon-il ) 성철사상연구원 2020 퇴옹학보 Vol.17 No.-

        대승불교의 가르침을 역사적인 붓다의 가르침으로 볼 수 있을까? 이 질문은 불교경전들에 대한 서구의 문헌학적 방법론에 따른 연구결과에 대해서 한국불교가 대답해야 할 질문이다. 현대사회에서 법화경, 화엄경, 반야심경, 금강경을 역사적인 붓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보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한국불교는 불단에 역사적인 붓다를 모시고 대승불교의 경전을 합송하는 전통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근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선승인 퇴옹성철은 이 부분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하고 스스로의 방법으로 그 해결책을 모색했던 선구자였다. 그는 1967년 8만대장경으로 유명한 해인사의 방장으로 취임했을 때 동안거와 하안거 동안 매일 아침 2~3시간씩 법문을 했었다. 이 법문은 모두 100일정도 계속되었으므로 이 법문의 녹음이 녹취되어 1992년 책으로 출판되었을 때 백일법문이란 제목을 가지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퇴옹성철이 중도를 불교의 핵심적인 가르침으로 판단하고 초기불교이래 불교의 교리발달사를 면밀하게 검토하면서 이 교리들이 모두 중도를 중심으로 철학적으로 조직되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대승불교의 다양한 이론들이 중도를 중심으로 파악된다면, 중도에 입각한 대승불교의 가르침도 붓다의 가르침으로 볼 수 있다는 성철스님의 불설관이 확립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승불교 경전을 불설로 해석하려 했던 성철스님의 노력을 그의 중도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몇몇 문제점을 분석해보려고 한다. Buddhist Awakening can not be established with words and letters. It is one of the most well known expressions you can hear from the Korean Seon (Korean equivalent of the Japanese Zen and Chinese Chan) Buddhist tradition. Korean Seon masters have hardly been concerned about the Buddhist philosophy and doctrinal history. What they prefer always has been a special meditation technique called Ganhwa, observing paradoxical questions. Master Sungchol (1912-1993),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ntemporary Korean seon masters, was one of the exceptions. In 1967 he became the head of Haein temple known to be famous for preserving the 84,000 woodblocks of the Tipitaka Koreana. During the winter retreat, he gave dharma talks to the assembled monks and nuns together with laity for two to three hours in every morning. His sermons went on for almost a hundred days. These dharma talks were recorded and later in 1992 published as a book entitled ‘Sermon of One Hundred Days’. In this book, he clarified that the theory of the Middle Path could be the core of Buddhism, and he tried to explain all Buddhist philosophy and doctrinal history in light of the Middle Path. For him Middle Path cannot be explained through words and letters. It can only be awakened through the practice of meditation and be fully experienced only through our mind. In this paper, I am going to deal with Master Seongcheol’s idea of Middle Path in relation to justify the popular position of Korean Buddhism that the historical Buddha is responsible for the Mahāyāna Buddhist Canon as well.

      • KCI등재

        구사론 파아품에 나타난 자아논증과 그 비판

        황순일 ( Soon Il Hwang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1

        인도불교사에서 자아(atman)만큼이나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주제도 드물다. 수많은 현대적인 논의들이 초기경전을 중심으로 붓다가 五蘊이외에 자아가 존재한다는 것을 부정하는 無我의 입장에 있는지 아니면 五蘊을 구성하는 각각이 아니라고 하는 非我의 입장에 있는지에 관해서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 구사론 파아품의 후반부에는 아주 흥미로운 자아존재증명이 등장한다. 이 자아존재증명이 어떤 사람들에게 속하는가에 대해서는 고대의 주석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고 근대의 학자들 사이에서 조차도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 자아존재논증은 현재적인 관점에서가 아니라 그 당시 부파불교의 논사들의 관점과 힌두사상 일반의 관점에서 자아가 어떤 방식으로 논증되고 어떤 방식으로 논파되는가에 관한 중요한 실마리를 보여준다. 특히 여기에서 사용된 자아의 논증방식과 와수반두의 비판방식은 그당시 부파불교의 논사들이 자아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단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자아논증을 중심으로 이 논증의 귀속관계와 와수반두의 비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면서 가능하다면 어떤 학파에 이 자아논증이 속할 것인가를 추적해 보도록 한다. The demonstration of the self(atman) could be one of the best known subjects disputed and discussed throughout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Even today, there are so many attempts and arguments to clarify the position of the historical Buddha through the early Buddhist canon. However we still do not have any clue whether the original usage of the word an-atman could be either the descriptive compound or the exocentric compound. While according to the former it means ``not self(非我)``, it could also mean ``without self(無我)`` according to the latter. In the later part of the Abhidharmakosa bhasya, Vasubandhu introduced an interesting demonstration of the self without mentioning who did it belong to. There were various opinions among ancient buddhist interpreters, such as Yasomitra, there still are diverse views presented by modern scholars, such as Louis de La Vallee Poussin. I think this demonstration should be regarded very important since it actually shows the way and the procedure the early Buddhists used when they discussed this matter with Indian traditional counterpart. We could acces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an-atman spread among Buddhist abhidharma masters through this demonstration. In this paper, I will deal with this demonstration of the an-atman seen in the Abhidharmakosa bhasya, with the schools or philosophical system it could belong, and with how Vasubandhu dispute this demonstration.

      • KCI등재

        김해 초선대(招仙臺) 마애불과 불족적

        황순일(Hwang, Soon-Il)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100

        김해 초선대 불족적은 오랫동안 거인의 발자국으로 잊혀져 있다가 가야불교에 대한 관심과 함께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움푹 패인 발자국 모양의 음각이란 불족적의 특성상, 이 불족적의 시기와 전례 그리고 진위를 확인하기란 쉽지 않다. 물론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붓다는 인도 동부지역에 수없이 많은 발자국들을 남겼지만, 지금은 그 어느 것도 남아있지 않다. 역설적으로 불교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수없이 많은 불족적들이 불교가 전파된 스리랑카와 동남아시아에서 새롭게 발견되어 왔고 새롭게 만들어져 왔다. 불족적의 진위 여부를 떠나서 불족적의 존재는 불교가 전파된 곳의 불자들과 붓다를 직접적으로 연결시켜 주었고, 붓다의 부재 속에서도 마치 붓다가 있는 듯이 불교에 귀의할 수 있는 불교적 봉헌의 대상이 됐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 후기로 판명된 김해 초선대 마애불을 전재로 다양한 불족들의 이동과 역사를 비교하면서 김해 초선대 불족적의 성격과 의미를 분석해본다. There is a rare Buddhapada at Chosundae at Gimhae. It has long been forgotten as the footprint of a giant but is nowadays attracting new attention along with interests in Gaya Buddhism. It is not easy to ascertain the time, precedent, and authenticity of the engraving in the shape of a hollow footprint due to the nature of Buddhapada. Of course, the historical Buddha left countless footprints in eastern India, but none of them are left now. Instead, countless Buddha footprints have been newly discovered and created in Sri Lanka and Southeast Asia when Buddhism was transmitted there. Regardless of the authenticity of Buddha footprints quite apart from Eastern India, the existence of Buddha footprints can link local lay Buddhists directly to the historical Buddha himself. It means that even in the absence of Buddha local lay Buddhists can pay homage to the Buddha, as if they are in front of the Buddha in their homeland. Thus, it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Buddhist objects of veneration in Southeast Asian Buddhism. In this paper, I am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Gimhae Chosundea Buddhapada by comparing it with various Buddhapadas in India, Sri Lanka, and Southeast Asia in terms of their history and location.

      • KCI등재

        연기법송, 아리야 운율, 그리고 빨리 율장대품

        황순일 ( Soon Il Hwang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2

        ye dhamma formular로 알려진 연기법송(pratityasamutpadagatha)은 빨리 3장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아리야(arya) 운율을 체용하고 있다. 불교학의 초창기에 빨리 율장대품에 나타난 아리야(arya) 게송들은 빨리 율장의 연대를 아쇼까왕 이전으로 비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아리야 운율의 존재여부 만으로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사실상 이 문제는 아리야 운율이 채용된 연기법송이 나타나는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의 불교전향 에피소드의 맥락을 전체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은 율장과 불전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연기법송(pratityasamutpadagatha)이 점차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빨리 율장대품의 한 측면을 파악하도록 한다. Pratityasamutpadagatha which is known in the Southern Buddhist world as ye dhamma formular is one of the best known stanzas in the Buddhist world. It in fact is using arya metre which has been known not as Sanskrit metre but as Prakrit metre. The use of arya metre in the Mahavagga in the Pali Vinaya led early Western Buddhist scholars to determine the date of the Pali Canon before the time of Great King Ashoka. However, it is not easy at all to confirm such important date only according to the use of arya metre. In this paper I am investigating the status of pratityasamutpadagatha within Buddhist literary tradition centered about various Vinaya literatures as well as diverse Life stories of the Buddha. With this research we can come close to one of the key features of the Pali Vinaya.

      • KCI우수등재

        멸진정(Nirodhasamāpatti)과 두 가지 열반 이론

        황순일(Hwang Soon-Il)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1 No.-

          Nirodhasam?patti has been regarded as the highest in the Buddhist meditative practice known as the nine successive mental abodes(nav?nup?rvavih?ra) consisting of the four ecstasies(dhy?na) of the world of subtle form, the four attainments(sam?patti) of the formless world and the attainment of the cessation of conceptualisation and feeling(sa?j??vedayitanirodha). Despite its clear difference in definition, it sometimes equated with nirv??a which is the highest goal of all Buddhists. In fact it even regarded as a temporal experience of nirv??a without a remainder of clinging(nirupadhi?e?anirv??a).<BR>  In this paper I am dealing with this problematic equation of nirodhasam?patti with nirv??a by analysing the origin of this equation seen in the Therav?da exegetical tradition, by examining sa?j??vedayitanirodha and nirodhasam?patti from the doctrin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and by inspect its status within nine successive mental abodes(nav?nup?rvavih?ra) and show the reason why it had to be equated with nirv??a without a remainder of clinging(nirupadhi?e?anirv??a).<BR>  Although nirodhasam?patti is sometimes attributed to the Buddha himself, it has neither obvious connection with mainstream Buddhist soteriology nor has some of the original Buddhist meditative techniques. As investigated by Johanees Bronkhorst in his the Two Traditions of Meditation in Ancient India, it has on the contrary some of the non Buddhist meditative skills. In his terminology, these skills belong to the mainstream meditation tradition which was later systematised in Jainism and Yoga tradition. Thus, regarding nirodhasam?patti as the highest seems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such mainstream meditation tradition into Buddhist meditation.<BR>  In my opinion, equating nirodhasam?patti with nirv??a seems to be one of the ways to settle down this foreign influence into the Buddhist meditative techniques. In fact, regarding it as the temporal experience of nirv??a without a remainder of clinging(nirupadhi?e ?anirv??a) could be a step further into the mainstream meditation tradition. One of the reaction against this kind of tendencies could be the well-known dispute over whether there still is the series of the mind within nirodhasam?patti or there no longer is mental activities within this ces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