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규훈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기대와 경계

        황수연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2 No.-

        본고는 15세기부터 18세기 조선사회에서 사대부 개인이 ‘여성’을 ‘교육’하기 위해 제작한 ‘규훈서’를 대상으로 작가와 내용, 서술 방식, 기능과 역할 등을 살피기 위해 작성되었다. 예치(禮治)를 통해 가부장제 권력을 확립하고자 한 조선왕조는 여성을 교육하기 위해 중국에서 책을 수입하거나 국가에서 발간하는 일에 앞장섰다. 학자이면서 한 집안의 가장으로서 사대부 작가는 집안의 딸과 아내, 누이동생에게 유교적 덕목과 일상의 행동 지침을 제시하기 위해 규훈서를 제작하였는데 17세기와 18세기에 이르러 규훈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여러 문체를 이용한 다수의 작품이 지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김굉필의 규훈서를 비롯하여 이전에 소개되지 않았던 작품을 제시하였고, 개인 창작 규훈서의 등장을 기존 연구에서 밝힌 시기보다 앞선 시기로 수정하였다. 교육의 내용은 당시대가 요구하는 이념과 가치, 제도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다. 규훈서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조선 초기에 비해 17,18세기에는 결혼제도의 변화로 인해 여성에게 부과되었던 책임과 의무가 무거워지며 이에 따라 규제가 강화됨으로써 규훈서의 항목도 다양해짐을 알 수 있었다. 규훈서는 분명한 목적에 의해 지어진 글이지만 작가와 대상의 개인적 처지, 상황, 시기에 따라 개성적 면모를 드러내기도 한다. 남성들은 규훈서를 통해 추상적인 담론을 일상생활에서의 구체적 실천과 연결함으로써 여성의 사고 영역을 지배하고자 하였다. 남성들은 여성에게 유순하게 가정과 제도에 적응할 것을 ‘기대’했고, 질서를 어지럽히지 않도록 끊임없이 ‘경계’했다. 본고에서 다룬 시기 이후에 등장하는 규훈서는 17,18세기와는 다른 목적에서 제작되는데 규훈서를 사적으로 조망하는 작업을 통해 규훈서의 지속적 측면과 변화된 면모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concerns about the writer, contents, the form of description,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Kyuhunseo(閨訓書) which is written to educate the woman by the nobleman in the 15th Century to the 18th Century in the Chosun Dynasty. The Chosun Dynasty took the lead in importing the Kyuhunseo from China and in publishing to establish the patriarchal system through the courteous control by educating the woman. The nobleman who were a scholar and a head of household wrote the Kyuhunseo to suggest virtues and daily guidelines for their wives, daughters and sisters. Because there was a sharp rise in demand of Kyuhunseo, various types of writing of Kyuhunseo have increased. I suggested the new Kyuhunseo including Kim Koing Pil's which have naver been mentioned in the precedent research and changed the product time earlier. The contents of education differs by the ideology and the value and the system of the day want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Kyuhunseo, the itemes of the Kyuhunseo increased because the responsibility and the woman's bounden duty has strengthened by the change of the marriage system in the 17th Century and the 18th Century. Although the Kyuhunseo was made to appeal the clear purpose, they have distinct individuality through the writer's and the object's personal status and situations and the time. The nobleman wanted to control the woman's thought by connecting the abstract concepts to the concrete daily doing through the Kyuhunseo. The nobleman asked the woman to adopt the house and the social system amenably and stood upon their guard on the woman not to derange the social order constantly. The Kyuhunseo of the 19th Century and the 20th Century were made on the different purpose of the 15th Century and the 17th Century's, so I'm going to keep up my study to reveal the continuous and the changeable aspects by surveying the Kyuhunseo historically.

      • KCI등재

        관료제 문제에 대한 두 가지 접근

        황수연 한국제도경제학회 2009 제도와 경제 Vol.3 No.2

        관료제 문제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이한 접근이 있다. 니스캐넌(Niskanen)류에서는 관료제가 배분적 및 생산적 비효율의 문제를 지니는데 그 원인은 관료제가 서비스를 독점적으로 제공하고 의회에서 과반수 규칙을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반면에 미제스(Mises)류에서는 관료제는 잘못이 없고 근본적으로 정부가 민간 사업에 간섭하기 때문에 관료제 문제가 발생한다고 본다. 따라서 두 접근은 처방에서도 다르다. 전자가 관료제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제공하고 의회에서 2/3결과 같은 보강된 다수결을 널리 사용할 것을 권하는 데 대하여, 후자는 사회주의적 정책을 막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민간에 의한 국민 경제 교육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두 접근이 서로 배타적이 아니라 보완적이며 따라서 관료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주의의 해악과 시장 경제의 우월성을 잘 이해하도록 국민 경제 교육에 노력하면서 관료제 서비스 제공에 경쟁을 도입하고 의회에서 보강된 다수결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역설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치은연하 파절로 치조골 소실을 동반한 상악측절치에서 orthodontic extrusive remodeling후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심미수복 : 증례보고

        황수연,손원준,한영철,배광식,백승호,이우철,금기연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1

        심미적으로 중요한 전치부에서 단일 치아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수복은 임상의에게 새로운 도전과제 중의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전치부에서 single-unit implant는 식립할 부위의 치조골 상태가 양호해야 하는데 치은연하 파절로 인해 치아 주위에 골 손실이 있는 경우 immediate implant는 심미적으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증례는 "orthodontic extrusive remodeling"을 통해 파절치와 주위 조직을 교정적으로 정출시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연조직과 경조직을 증대시킨 후 임플란트 식립을 통해 상악측절치에서 성공적인 심미수복을 이룬 증례에 관한 것이다. The treatment of esthetic areas with single-tooth implants represents a new challenge for the clinician. In 1993, a modification of the forced eruption technique, called "orthodontic extrusive remodelling" was proposed as a way to augment both soft- and hard-tissue profiles at potential implant sites. This case report describes augmentation of the coronal soft and hard tissues around a fractured maxillary lateral incisor associated with alveolar bone loss, which was achieved by forced orthodontic extrusion before implant placement. Through these procedures we could reconstruct esthetics and function in a hopeless tooth diagnosed with subgingival root fracture by traum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本朝女史』 속 첩의 존재 - 근대전환기 유교지식인의 첩에 대한 인식

        황수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the existence of a concubine and the perception of a Confucian intellectual's in 『Bonjoyeosa』 in 1898. Kim Sang-jip recorded the concubine not only in the list of concubines but also in the categories of the concubine and the wise wife and wisdom, leaving a record of 22 concubines.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existence of concubine by dividing into three types of husband and wife 's relationship, uttering subject, and challenge to hierarchy. Then, I tried to identify the female recognition of Kim Sangjip. Kim Sangjip noticed that men are not chirped by temporary sexual desire but are determined by their fateful relationship. This process of marriage reflects the masculinist thinking that justifies the union with another woman in addition to the main body. Kim Sangjib is highly regarded for consistently subjective and wise women throughout the first half of this book. He listened to the women's voices, who knew how to judge their feelings and insights, right and wrong, and recorded them with a friendly eye. Kim Sangjib positively assessed the concubine 's awareness of his identity, but he also judged women wise to challenge the hierarchy and protect the rights of his family and break the family system. In this way, Kim Sangjip shows a conflicting and dualistic view that women who are self-sufficient to speak and behave in a self-conscious manner are considered to be wise, while their concubines conforming to patriarchal order, family order, and order are desirable. This is also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intellectual who lived in the era of modern transition as it is the limit of individual Kim Sangjib. 본고는 1898년에 저술된 『본조여사』에 등장하는 첩을 대상으로 첩의 존재 양상과 근대전환기 유교적 지식인의 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김상집은 <첩> 항목에서는 물론 <현부>, <혜식> 등의 항목에서 총22명의 첩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이에 부(夫)와 첩(妾)의 결연, 발언하는 주체, 위계 질서에 도전이라는 3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첩의 존재 양상을 살피고 이들 첩을 통해 드러나는 김상집의 여성 인식을 규명해보았다. 김상집은 남성이 일시적 성적 욕망으로 취첩하지 않고 운명적인 인연에 의해 결연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러한 결연 과정에는 본처 이외에 또 다른 여성과의 결합을 정당화하는 남성주의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 김상집은 지인지감과 통찰력, 옳고 그름을 판단할 줄 아는 첩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을 발언하는 주체로 인식했다. 김상집은 자신의 신분을 자각하는 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위계 질서에 도전하며 적처의 신분을 획득한 여성을 지혜롭다고 판단하기도 하였다. 김상집의 첩에 대한 인식에는 남성주의적 사고와 가부장적 성 윤리가 반영되어 있다. 한편, 주체적으로 발언하는 첩과 권력에 저항하며 자기 권리를 찾는 첩을 우호적으로 대하고 있다. 이처럼 모순되고 이중적인 모습은 김상집 개인의 한계이자 근대전환기를 살던 지식인의 과도기적 모습이다.

      • KCI등재후보

        시장 실패의 이론과 시장의 발견

        황수연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社會科學硏究 Vol.22 No.2

        시장의 실패로 흔히 거론되는 독점, 외부성, 및 공공재는 사실은 시장의 실패가 아니거나 오히려 정부의 실패인 경우가 많다. 첫째, 독점의 경우, 민간 독점이 정부 독점보다 경제 환경의 변화에 더 잘 반응하고, 법적 독점이 자연적 독점보다 더 광범위하고 더 오래 지속된다. 따라서 자연적 독점을 명분으로 정부가 민간에 경쟁을 허용하지 않는 것은 잘못이다. 둘째, 외부성은 많은 경우 정부가 재산권을 설정하지 못해 야기되는 정부 실패이지 시장 실패가 아니다. 또 외부성은 시장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정부 결정에서도 일어나고 정부 외부성은 시장 외부성보다 더 광범위하고 더 심각하다. 마지막으로 공공재와 관련해서는 시장에서의 무임 승차 못지않게 정부에서도 비용 부담의 문제와 강제 승차의 문제가 존재한다. 공공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공재 제공에 시장 메커니즘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paper I argued that many things regarded as market failures are, in fact, not market failures but government failures. With respect to monopoly, private monopoly responds to the change of economic conditions better than government monopoly, and legal monopoly is more prevalent and long-lived than natural monopoly. Therefore there is no reason to prevent private enterprises from entering government monopoly market. With respect to externality, it is a government failure, not a market failure, if the externality results from government's not defining and enforcing property rights. Moreover, government decision making also has externalities which are more prevalent and serious than market externalities. Finally, although market provision of public goods has a problem of free-riders, government provision has similar problems of cost-sharing and forced-riders as well. Market mechanisms are necessary to solve these public goods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