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통령 정책메시지에 대한 평가가 공중의 정책소통에 미치는 영향

        황성욱,김태완,김은진,전형준 한국PR학회 2017 한국PR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이 연구는 대통령의 정책 메시지의 특성(질)에 대한 평가가 국민 관점에서 대통령의 정부 소통, 국회 소통, 지자체 소통, 언론 소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이들 요인들이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상호 소통 정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대통령 메시지의 공중 소통 활성화 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조방정식 연구 모형은 자료와 부합하는 양호한 적합도를 보여주어 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대통령의 정책 메시지의 질에 대한 응답자들의 평가는 대통령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인 정부, 국회, 지자체와의 소통 정도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보여주었고, 이들 이해관계자들과의 대통령 소통에 대한 언론 보도 정도의 인식에도 정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모형의 최종 종속변인인 정책 이슈에 대한 국민 상호 간의 활발한 소통에 대해서는 대통령과 정부의 소통 요인과 대통령의 메시지의 질 두 요인만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효과분해를 통해 국민 소통에 대해 대통령의 메시지의 질에 대한 평가가 미치는 직접효과와 나머지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정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비교한 결과 간접효과가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그 학술적, 실무적 함의를 심층 토론하였다.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City Image During the COVID-19 Era

        황성욱,Jiyang Bae,Sojung Kim,김효정 충남대학교 아시아여론연구소 2022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Vol.10 No.1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ived contingent factors that affect South Korean citizens’ image of the city they reside in.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perceived the image of their city through two dimensions––leading and safe––during the COVID-19 era. When respondents perceived the openness and expertise of the local government,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leader, liberal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leader, lower degree of law compliance of the mayor, high degree of citizenship, and high level of living infrastructure and competitiveness as attributes of the city, they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city as having a “leading” image. The perceive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government, specifically the factor of hierarchy and regulation, the perceptions of citizenship, and all three variables regarding the perceptions related to city attributes (i.e., environmental, cultural, and living infrastructure and competitiveness) positively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a “safe” city image.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학문적 표현으로 인한 명예훼손죄에서 사실적시 여부의 판단

        황성욱 사법발전재단 2024 사법 Vol.1 No.67

        이 글은 대법원 2023. 10. 26. 선고 2017도18697 판결에 대한 해설이다. 대상판결에서는 피고인이 집필한 도서에 등장하는 표현들이 허위사실의 적시로서 조선인 일본군 위안부였던 피해자들의 명예를 훼손하였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특히 이 사건 도서는 연구자인 피고인이 집필한 도서로서, 연구결과의 발표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학문적 표현물로서 보호받을 여지가 있는지가 문제 되었다. 대상판결의 쟁점에 관한 검토를 위해서, 먼저 학문의 자유의 의미와 그 한계, 학문적 표현의 자유의 개념 및 한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학문적 표현의 자유를 논하기 위해서는 그 전제로서 보호대상인 학문적 표현물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논의의 범위를 확정한 다음, 명예훼손 사건에 있어 학문적 표현물에 대한 특별한 취급의 사례가 있는지에 관하여 외국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이 사건에서 역사적 사실에 관한 연구가 문제가 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외국의 재판례뿐만 아니라 국내외 역사왜곡 처벌규정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전제 논의 후에는 명예훼손죄의 대상이 되는 사실과 그렇지 않은 의견의 구분에 있어 역사적 사실의 특수성을 고려할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역사적 사실이 갖고 있는 특성을 살펴보고, 사실과 의견의 구분에 관한 종래의 논의와 대법원 판례가 취해왔던 태도를 검토한 다음, 대상판결과 관련하여 상정 가능한 견해를 크게 일반 명예훼손과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하자는 견해와 학문 또는 역사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실적시의 범위를 좁게 보는 견해로 나누어 각 장단점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이상의 검토를 통해 도출된 대상판결의 법리에 근거하여 대상판결의 결론과 함께 대상판결이 갖고 있는 의의를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deals with a commentary on Supreme Court Decision 2017Do18697 decided October 26, 2023 (hereinafter “subject case”). The main issue of the subject case lies in whether expressions in the book written by the defendant defamed the reputation of Korean victims, who wer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s known as “comfort women,” by alleging false facts. In particular, as the abovementioned book, written by the defendant, who was a researcher, can be seen to have been written to publish the results of her research, whether the book may be protected as academic expressions comes into question. For a review on the issue of the subject case, this Article, first of all, examine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academic freedom and the concept and limitations of the freedom of academic expression. With respect to how to set the scope of academic expressions that are subject to protection, a review is needed as the premise of such discussion to discuss the freedom of academic expression. After confirming the range of discussion through such review, this article examines foreign cases in respect of whether there is any example of academic expressions being specially addressed in defamation cases. In relation thereto,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on the penalties for historical distortions as well as judicial precedents of the foreign courts are review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research on historical facts became an issue in the subject case. As such, after discussion on such premise, whether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facts should be considered in distinguishing the facts that are subject to defamation from opinions that are not subject thereto is examined. For this,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facts and reviews previous discussion regarding the distinction between facts and opinions and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then examines merits and demerits of each opinion after dividing the opinions that can be expressed in relation to the subject case into two categories such as the opinion that a judgment should be rendered under the same standard as general defamation and the opinion that the scope within which facts can be alleged should be narrowed down in consideration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academic and historical studies. Lastly, this article confirms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case along with the conclusion based on the legal principles of the subject case drawn through a process of review as above.

      • KCI등재

        한국 100대 기업의 SNS 활용: 페이스북 프로필 및 담벼락 메시지의 내용분석

        황성욱 한국방송공사 2013 방송 문화 연구 Vol.25 No.1

        This study content-analyzed how Korean representative companies utilize relationship cultivation strategies, message topics, and posting types in their Facebook spac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orty companies out of 100 used the famous social network service. Companies using Facebook mostly utilized disclosure strategies and information dissemination strategies, but they did not actively use involvement strategies. The most often posted messages were customer relationship, marketing promotion, and event management in terms of topics. The rate between company/product information announcement postings and noncompany/product-related postings(general information announcement postings and daily chatter postings) was mostly balanced. Also, this study divided companies using Facebook by referring to the variables of the level of involvement in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nd sales which could influence corporate communications and compared the different groups in terms of SNS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wo variables were influential in corporate SNS communications. In addition to the postings by corporate practitioners,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interaction in the messages posted by customers. The response rate was approximately 25 perc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finall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