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발레교육의 필요성 인식과 교육참여 지속의도 간의 매개효과 검증

        황성우,박영애 대한무용학회 2010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resources necessary for infant ballet educators, by examining how the infant parents recognize the need for infant ballet education,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involvement in ballet,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ballet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0 parents who participated in an infant ballet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rawn from the questionnaires which measure the need for infant ballet education,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involvement in ballet,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exploratory factors,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α <.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arent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infant ballet education did not influence their performanc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lso, their recognition of the need for infant ballet education did not influence their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significantly. However, their recognition of the need for infant ballet education influenced their involvement in ballet significantly. Furthermore, the parents' performance satisfaction did not influence their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parents' involvement in balle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Likewise, the parents' performance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validated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ir need for infant ballet education and their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Finally, their involvement in ballet was statistically validated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ir need for infant ballet education and their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유아에게 발레교육을 시키는 학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유아 발레교육의 필요성 인식, 공연만족, 관여도 및 교육참여 지속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발레교육의 필요성 인식이 공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발레교육의 필요성 인식이 교육참여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발레교육의 필요성 인식이 관여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 발레교육의 공연만족이 교육참여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발레교육의 관여도는 교육참여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부모들의 공연만족은 유아 발레교육의 필요성 인식과 교육참여 지속의도 간에서 매개되지 않았다. 일곱째, 학부모들의 발레에 대한 관여도는 유아 발레교육의 필요성 인식과 교육참여 지속의도 간에서 매개되었다. 결국 유아의 교육방향은 유아 자신이 정하는 것이 아니라, 학부모들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되어지기 때문에 학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학부모가 유아 발레교육에 대한 교육적 효율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은 유아 발레교육자들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 학부모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레공연에 유아와 학부모를 초청 및 참여하는 등의 방법으로 발레에 대한 관여도를 더욱 높아야 하겠다. 또한 유아 발레교육을 통해 가져 올 수 있는 교육적 효과와 긍정적 결과를 학부모에게 검증시켜 교육참여 지속의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더 나아가 유아 발레교육자들에게 보다 질 높고, 다양한 주제의 공연들과 유형들을 개발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학부모들의 관심과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유형의 발레공연들이 많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이렇듯, 유아 발레교육의 교육참여 지속의도를 높이기 위해 유아 발레의 필요성 인식과 관여도를 높여야 하겠고 보다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러시아 지방의 지역별 범주화를 통한 연구방법의 모색:83개 연방주체를 중심으로

        황성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3

        Russia is a federal state consisting of 83 federal subjects. Each subject might be called as an independent unit and has its own historical, cultural and economic indigenous characteristics. Thus this article explores some useful research methodologies through categorizing Russian regions. Due to conceptual ambiguity, arbitrary regional divisions, and lacks of original research methodologies, area studies have been criticized by many scholars. Paradoxically, however, scholars who related to area studies have also merits to define regional concepts in creative ways. In additions, it is possible for scholars conducting area studies to employ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from many disciplines. Area studies on Russian locality, namely, on 83 Russian federal subjects include as follows: firstly, products of area studies have to correspond exactly to practical purpose of area studies. Because area studies are to aim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gions. Secondly, area studiers have to implement field research with thorough advance preparations. Thirdly, scholars need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using of various sorts of concepts and methodologies. Finally, products of area studies have to include some specific information which help policy-makers for Korean government pursuing national interest. 지역연구는 태생적으로 개념의 모호성과 인위적 지역구분이라는 자의성의 한계를 띠고 있으며, 명확한 연구방법이 부재하다는 비판도 받아 왔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을 역으로 이용하여, 지역연구는 모호성과 자의성을 통해 좀 더 자유로운 지역 개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연구방법 역시 모든 분과학문의 연구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러시아 지방연구, 즉 83개 연방주체에 대한 지역연구는 첫째, 해당지역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기본과제로 하는 지역연구의 실용적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둘째, 철저한 사전준비를 통한 현지조사를 수행해야 한다. 셋째, 모든 분과학문의 개념과 연구방법을 포괄할 수 있는 다분과학문적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넷째, 전략적으로 우리나라의 대러시아 정책입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함의가 포함되어야 한다. 더불어 ‘한국적 재구성’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민해야 할 점은 지역연구는 흔히 말하는 사회과학 전공자들만이 수행하는 작업이 아니라, 어학과 문학을 포함한 모든 분과학문 전공자들이 연구할 수 있는 학문 영역이라는 것이다. 그동안 지역연구가 정체성을 의심받은 이유는 학문 외적인 논리에 따라 발생한 지역연구가 명확한 학적 경계를 갖지 못했다는 점이었다. 특히 ‘지역연구’가 아닌 ‘지역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을 경우에, 각각의 분과학문전공자들은 자신의 학문적 영역을 지키기 위해 배타적 시각으로 지역연구를 배제하려는 경향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학문적 배타성은 비단 국내에서만 존재한 것이 아니라, 어느 나라에서든 존재했던 현상인데, 학문적 필요가 아닌 정책적 필요에 의해 발생한 지역연구의 태생적 한계가 이러한 학문적 편견을 부추기는 계기가 되었다. 중요한 사실은 지역연구가 정책적 필요에 따라 발생한 학적 체계임은 분명하지만, 현재의 지역연구는 무엇보다도 모든 학문의 공통분모, 혹은 교집합이라는 인식론적 합의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