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적 정서의 주관적 조형화를 통한 화예작품제작 -본인작품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중심으로-

        황선구 ( Hwang Sun Goo ),유택상 ( Yoo Taek Sa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작가의 내적 정서와 관련된 사건을 회상하고 그를 바탕으로 주관적 조형화를 시도하여 화예 창작을 행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고향의 사진, 관련된 시집, 소설, 논문을 조사하였으며 아버지가 즐겨 부르시던 음악을 다시 듣고,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고향의 기억을 떠올렸고 구체화했다. 또한 동생들과의 면담을 통해 아버지와의 소중한 추억들을 구체화하여 상기시켰다. 이렇게 상기된 기억을 토대로 내적 정서를 분석하고 아버지의 성품을 잘 드러낼 수 있는 기억들을 선택하여 모티브를 찾아 구체화하고 발전시켰다. 구체화된 기억을 토대로 행한 다양한 스케치를 토대로 내적 정서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재료를 찾아 조형 실험을 하였다. 다양한 실험을 행하고 형태를 변형시키는 가운데 조형적 어휘와 표현을 개발하며 화예작품으로 완성시켜 나갔다. 이 과정에서 ‘온가족 합창’, ‘무거운 짐’, ‘우울한 노랫가락’, ‘머리파마’, ‘한밤중 산을 넘으심’의 5개 작품을 완성할 수 있었으며 그를 가지고 학위 청구 전을 개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collect events of my internal emotions, thereby attempt to make subjective figurative images, and ultimately create floral art works. I was committed to recollect all the precious memories on my hometown and father, through his favorite songs, his pictures, interviews with my brothers, poems and novels on fathers, essays, use of mass media, and films. Based on the recollection, I picked up and embodied feelings conceived as motives, which fully describe my father`s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and analyzed and evolved their internal emotion. Nevertheless, it would be a success to produce floral art works from my childhood and hometown memories by making the most use of living plants. It would be of great significance that I could take out the emotion on my old days to create art works and develop methodology, through these series of works. What is better, I could get healed in the process of this work.

      • KCI등재

        중북부 지역에서 생육단계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트리티케일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

        이홍주,변지은,황선구,류종원,Lee, Hong-Ju,Byeon, Ji-Eun,Hwang, Sun-Goo,Ryoo, Jong-W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는 중북부지역인 원주에서 생육단계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트리티케일의 사료가치 변화를 조사하여 수확적기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트리티케일은 5월 초순부터 1주일 간격으로 8회에 걸쳐 예취한 후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를 비교하였다. 수확 시기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수량은 5월 3일(3,430 kg/ha)과 5월 9일(5,150 kg/ha) 수확일보다 5월 16일 수확일에 7,870 kg/ha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트리티케일의 건물수량은 5월 3일에서 5월 16일 수확일보다 6월 7일 수확일에 건물 수량이 12,250 kg/ha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단백질 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트리티케일 공히 5월 3일, 5월 9일 수확일보다 5월 16일 수확일에 각각 890 kg/ha, 1,103 kg/ha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5월 16일 수확일에 조단백질 수량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TDN 수량은 5월 3일(2,424 kg/ha), 5월 9일(3,449 kg/ha) 수확보다 5월 16일과 5월 21일 수확 시 5,223 kg/ha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트리티케일의 TDN 수량은 6월 7일 수확 시 8,277 kg/ha로 나타났으며 6월 이후 수확 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중북부 지방에서 건물 수량, 조단백질 수량과 TDN 수량을 고려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확적기는 출수 후기부터 개화기인 5월 16일,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주인 6월 7일로 판단된다. The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changes of dry matter productivity and feed value of Italian ryegrass and triticale at different growth stages in Wonju from 2018 to 2019. Italian ryegrass and triticale forages were harvested at an interval of seven days from May to June. The dry matter yield of Italian ryegrass with 7,870 kg/ha harvested on May 1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harvested on May 3 and May 9. The dry matter yield of triticale with 12,050 kg/ha harvested on June 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harvested from May 3 to May 16. The crude protein yields harvested on May 16 were 890 kg/ha for Italian ryegrass and 1,103 kg/ha for triticale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harvested on May 3 and May 9.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TDN) of Italian ryegrass with 5,223 kg/ha harvested on May 1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harvested on May 3 and May 9.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of triticale with 8,277 kg/ha harvested on June 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harvested during May, but not different from that harvested after June 7. Considering the dry matter yield, crude protein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yield, it is suggested that the optimal harvesting times for Italian ryegrass and triticale seem to be May 16 and June 7, respectively.

      • KCI등재

        통합 혐기소화액별 폭기처리에 따른 화학적 성분 변화와 무의 발아효과

        변지은,이홍주,류종원,황선구,Byeon, Ji-Eun,Lee, Hong-Ju,Ryoo, Jong-Won,Hwang, Sun-Goo 한국작물학회 2020 한국작물학회지 Vol.65 No.4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inimum period of aeration treatment of co-digestate to develop it as liquid fertilizer and the chemical changes that occur in the aerobic liquefying process. The co-digestat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ir additives: swine slurry anaerobic digestate (SS AD), swine slurry 70% + cow slurry 30% anaerobic digestate (SS + CS AD), and swine slurry 70% + apple pomace 30% anaerobic digestate (SS + AP AD). The pH of all co-digestates increased rapidly after 3 days of aerobic treatment, but had slightly decreased in SS AD after 9 days and in SS + CS AD and SS + AP AD after 15 days. All co-digestates showed a strongly reduced pH between 27 and 36 days of aeration treatment. SS AD had lower pH value, dissolved oxygen (DO), NH<sub>4</sub>-N, and NO<sub>3</sub>-N content under aerobic conditions than other co-digestates. To assess the fully decomposed liquid fertilizer, a germination test was performed on the undiluted and diluted co-digestate using the liquid fertilizer germination index (LFGI) method. The relative germination ratio, relative root elongation, and germination index of SS AD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When the LFGI method was used for the germination test, all co-digestates showed an appropriate germination index of 70 after 60 days of aeration treatment. Thus, we suggest that the minimum period of aeration treatment for co-digestates might be 60 days to develop the fully decomposed liquid fertilizer.

      • KCI등재
      • KCI등재

        발아지수를 이용한 혼합 혐기소화액의 부숙도 평가 및 폭기기간 설정

        변지은(Ji-Eun Byeon),이홍주(Hong-Ju Lee),황선구(Sun-Goo Hwang),임태진(Tae-Jin Rhim),류종원(Jong-Won Ryoo) 유기성자원학회 2020 유기물자원화 Vol.28 No.2

        본 연구는 가축분뇨 슬러리와 과실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의 폭기기간이 발아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혐기소화액 종류별 적정 폭기기간 설정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6개 혐기소화액은 폭기처리 기간 중 공기의 량을 0.1 ㎥ air/min.㎥ 주입하고, 52일 동안 폭기하였다. 혐기소화액의 부숙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무 종자를 이용하였다. 돈분 + 우분 + 감귤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은 처리구 중 가장 빨리 폭기처리 30일에 발아지수(GI)가 70 이상을 나타내었다. 돈분 + 우분 혼합혐기소화액은 폭기처리 36일에 발아지수(GI)가 70 이상를 나타내었다. 돈분 슬러리 100 % 단독 혐기소화액의 발아지수(GI)는 가장 늦은 폭기처리 54일에 70에 도달하였다. 돈분슬러리 + 과실착즙박 혼합소화액이 돈분 단독 혐기소화액 보다 발아지수 70 도달 폭기기간이 24일 단축되었다. 혐기소화액의 호기성액비 처리에서 종자 발아지수는 적정 폭기기간 설정에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optimal aeration time of livestock manure slurry with fruits pomace on germination index. Six co-digestates of livestock manure slurry with fruits was aerated with 0.1 ㎥ air/㎥·min for 54 days. The maturity of digestates was evaluated using the germination method. The germination index(GI) of co-digestate of SS + CS + MP was more than 70 at the 30th day of aeration. The GI of co-digestate of SS + CS was more than 70 at the 36th day of aeration. The GI of digestate of swine manure slurry alone was 70 at the 54th day of aeration. The co-digestate of SS + MP caused to shorten 24 days of aeration period to reach GI of 70, compared to swine manure digest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ermination index of seed could be used to establish the optimal aeration time for co-digestate of liquid fertilizer.

      • KCI등재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입원적합성심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경험

        신소연 ( Shin Soyoun ),조윤민 ( Cho Yoon-min ),윤난희 ( Yoon Nan-he ),서은 ( Hwang Seo Eun ),종남 ( Hwang Jongnam ),최정원 ( Choi Jung Won ),김잔디 ( Kim Jandi ),허종호 ( Heo Jongho ),선구 ( Lee Sun G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2

        2016년, 구 정신보건법이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면서,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이하 입적심) 제도가 신설되고 비자의입원 절차가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입적심의 목표인 정신질환자의 인권증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나아갈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전국 5개 국립정신병원에서 입적심과 관련된 총 27명의 전문의, 법조인, 정신건강전문요원, 가족, 당사자, 조사원, 정신질환자를 심층 면담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4개의 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입적심 제도는 부당한 비자의입원 및 강압 이송행위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하여 인권을 향상시켰지만, 대면조사보다 서류심사가 주를 이루고 의사결정지원이 미흡하여 자기결정권이 제한된다는 한계를 드러냈다. 추후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대면조사와 절차보조사업을 확충하고, 의료기관과 지역사회서비스를 연결하는 협력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Th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Act” into the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in 2016 led to the tightening of procedures fo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mittee for Review as to Legitimacy of Admission” (hereinafter “Admission Review Committee”).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has achieved its goal to promote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stakeholder experiences. The evaluation is based on interviews with a total of 27 subcommittee members from all the five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s which have an Admission Review Committee in place. Those interviewed were psychiatrists, lawyer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investigators. As a result, a total of four categories and 16 themes emerged from the thematic analysis. Our study shows that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has promoted human rights by functioning as a minimum safeguard to prevent unjust involuntary hospitalization and forced transfer to psychiatric hospitals. However, insufficient procedural assistance has limit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committee heavily relied on paper review rather than the face-to-face investigation with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For a better supportive committee for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we suggest that the committee adopt the face-to-face review process, procedural assistance services, and a governance system closely connecting medical facilities with loca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