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더위에서 지구성 운동 후 회복조건이 체온, 피부혈류, 피로물질 반응에 미치는 영향

        황봉연(HwangBong-yeon),윤소미(YunSomi),황은진(HwangEun-jin),이윤빈(LeeYun-bin),이대택(LeeDae-taek)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5

        본 연구는 더위에서 지구성 운동 후 회복조건이 체온, 피부혈류,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운동 후 회복조건은 하체 주위온도(상온 vs. 냉온(15±2℃))와 수동적 페달링 여부 (페달링 vs. 안정)의 조합으로, 상온×안정(ANP), 상온×페달링(APP), 냉각×안정(CNP), 냉각×페달링(CPP) 이었다. 총 9명 남성이 무선배정으로 참여하였다. 실험은 25±1℃에서 10분간 안정 후, 36-37℃에서 최대능력의 55-60%로 50분간 사이클링을 실시하고, 회복은 네 조건 중 하나에서 30분간 진행되었다. 안정기와 회복기는 직장온, 피부온, 피부혈류량이 측정되었고, 평균체온과 열저장률은 산출되었다. 피로물질의 반응을 위해 프로락틴과 젖산이 측정되었다. 회복기 동안 직장온(ANP; -1.1%, APP: -1.9%, CNP: -1.9%, CPP: -1.6%, p=0.024)과 피부온(ANP: -3.9%, APP: -2.4%, CNP: -4.1%, CPP: -5%, p=0.022)은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평균 체온과 열저장률은 회복조건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피부혈류, 프로락틴, 젖산도 네 회복조건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CNP와 APP 회복조건은 ANP과 비교하여 심부온이 더 감소하였다. CPP도 ANP과 비교하여 심부온이 낮았다. 본 연구의 신체주위 공기 냉각방식은 물, 바람과 비교해 인체에 강한 자극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공기의 온도를 낮춘 냉각 형태와 수동적 페달링은 하루 동안 많은 경기를 치러야 하는 스포츠 종목에서 운동수행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d different recovery conditions on body temperature (Tb), skin blood flow (BF) and blood fatigue factors after endurance exercise in the heat. Four conditions were combinations of two factors; lower body air temperature (ambient vs. cooling; 15±2℃) and passive pedaling (pedaling vs. non-pedaling), as ambient×non-pedaling (ANP), ambient×passive pedaling (APP), cooling×non-pedaling (CNP), and cooling×passive pedaling (CPP). Nine men completed randomly assigned tests. During tests, they rested for 10 min at 25±1℃, and cycled at 55-60% of maximal capacity for 50 min in 36-37℃, followed by 30 min recovery. During tests, rectal (Tre) and skin temperature (Tsk), BF, measured and mean Tb and heat storage rate (HSR) were calculated. During recovery, Tre (ANP: -1.1%, APP: -1.9%, CNP: -1.9%, CPP: -1.6%, at p=0.024) and the mean Tsk (ANP: -3.9%, APP: -2.4%, CNP: -4.1%, CPP: -5%, at p=0.022)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b and HSR were not different. No interactions were noticed during recovery in BF, prolactin, and lactate. Tre of CNP and APP was lower than ANP. Tre in CPP was also lower than in ANP. The cooling rate in this study was not faster than those previously reported, probably due to a lack of strong stimulus. It can be proposed that passive pedaling with cooling by air temperature may enhance exercise performance in sports requiring several trials in a day.

      • KCI우수등재

        복싱동작과 훈련기간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의 변화

        이윤빈(LeeYun-bin),이대택(LeeDae-taek),황봉연(HwangBong-yeon),손윤선(SonYoun-sun),김종광(KimJong-gwang)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3

        복싱은 짧은 시간동안 높은 유, 무산소 대사능력을 요구하는 운동이며, 상체와 하체 근육의 협응력을 이용해 다양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스포츠 종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싱에서 사용되는 개별 동작의 에너지소비량(energy expenditure: EE)을 측정하고 복싱 훈련을 통한 훈련이 개별동작의 EE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복싱운동 경험이 없는 대학생 10명(남 5명, 여 5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복싱훈련(주 3회 40~60분/회)을 실시하였다. 복싱동작은 9 가지 개별복싱동작과 3 가지 유형의 복합복싱동작으로 구분하여 평가되었으며, EE는 훈련 전, 훈련 3주후, 훈련 6주후에 측정되었다. 모든 자료는 측정 시기별 EE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를 이용하였다. 복싱동작에 따른 EE을 측정한 결과, 훈련에 따른 EE의 차이는 레프트훅(left hook) 동작과 1 가지 유형의 복합복싱동작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포지션에 따른 EE의 차이는 모든 오른쪽 타격동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개별복싱동작과 복합복싱동작을 비교한 EE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평균적으로 복합복싱동작이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복싱동작의 EE는 동작의 운동모형과 동작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며, 포지션에 따른 차이 또한 존재했다. 복싱운동 동작의 훈련에 대한 효과는 평균적인 감소형태로 에너지소비량을 낮추는 것으로 보여진다. Boxing is an intense sport demanding both aerobic and anaerobic metabolic capacity in short period. Boxing also requires a coordin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body muscles. We investigated the energy expenditure (EE) of boxing unit movement such as straight, upper cut and hook, and examined the effect of boxing training on EE of unit movement. Ten inexperienced college students (5 men and 5 women; 28.2±2.1 yrs, 171.4±8.4 cm, 65.0±10.1 kg) participated in 6-weeks boxing training program (3 times/wk, 40-60 min/session). Nine boxing unit movement was identified and 3 combinations of these unit movements were formed. EE of each unit movement and combinations of movement was measured before, at 3<sup>rd</sup> week, and at 6<sup>th</sup> week of training program. To compare the effects of training period on EE,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applied. Following the training program, left hook and one of combination movement showed significant changes (p<.05). When EE was compared by position, all of the right hits were higher than the left ones (p<.05). Al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e sum of individual unit movements showed higher EE than the combinations of movement we employed. In conclusion, EE of boxing movement can be varied by the combinations of individual unit movement. In addition, position of movement can affect EE. In general, boxing training decreases 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