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평생사회안전망과 취약계층의 권리보장 : 사회보장기본법 및 사회적 경제 관련법 중심으로
황미경,김광병 사회복지법제학회 2017 사회복지법제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취약계층의 개념과 권리를 고찰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권 보장을 위한 사회복지법제적 과제 성찰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2012년 1월 26일 전부 개정된 사회보장기본법을 고찰하고,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사회적 경제 관련 법령 등을 고찰함으로써 취약계층의 개념과 범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사회보장급여의 제공, 사회보장 전달체계 운용에 관한 기본법제적 과제를 고찰하였다. 사회보장제도의 대상이 되는 수급권자 개념에서 사회복지적 권리의 보장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에 의하며, 사회보장기본법에 나타난 평생사회안전망과 보편주의적 사회보장제도는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효율성 있는 사회보장 전달체계를 통한 맞춤형 사회보장제도의 실현을 의미한다. 따라서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권 보장의 과제에 대하여 첫째, 사회보장제도의 대상이 되는“사회적 취약계층”및“취약계층”에 관한 합목적적 개념 정의의 필요성, 둘째, 사회보장에 관련된 권리의 법제적 개념 정립과 복지권 보장을 위한 입법 활동, 셋째, 취약계층과 모든 국민의 사회복지에 관련된 인권 영역별 사회복지법의 이해와 인식개선 교육, 넷째, 지역 중심의 맞춤형 사회보장제도를 관장할 수 있는 사회보장 전달체계의 전문성과 지원대상자 발굴 역량 확대를 위한 전담기구 설치와 인력 양성 등을 제언하였다. 아울러 지방정부 중심의 맞춤형 사회보장 전달체계 구축과 사회보장 전담기구 설치에 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구체화, 평생사회안전망 실현을 위한 전자복지 구현 및 사회보장정보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후속적 논의를 촉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cept and rights of vulnerable class and examine legislative tasks for social welfare to secure welfare rights for vulnerable class. Here, this author will consider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revised entirely on January 26th, 2012, examine the Act on the Use and Provision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Search for Eligible Beneficiaries and the laws of social economy, and figure out basic legislative tasks regarding the concept and range of vulnerable class, responsibilitie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provision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the operation of the social security delivery system. Concerning the concept of qualified recipients subject to the social security system,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responsible for securing social welfare rights. The lifetime social safety net and universal social security system described in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mean to realize the customized social security system through the efficient social security delivery system targeting all people including vulnerable class. Therefore, about the tasks of securing welfare rights for vulnerable class, first,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ncept of “socially vulnerable class” and “vulnerable class” subject to the social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the purpose. Second,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legislative concept of rights associated with social security and legislative activities to secure welfare rights. Third,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by the areas of human rights related to social welfare targeting vulnerable class and also all people and provide education to better awareness. Fourth, this author suggests it is needed to install organs and cultivate manpower in charge in order to enhance expertise of the social security delivery system that can be in charge of the region-based customized social security system and improve competence to search the subjects to be supported. Furthermore, this author urges you to conduct follow-up discussion to build up the customized social security delivery system initiatively by the local government, realize responsibilitie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regarding the installation of organs in charge of social security, actualize e-welfare to realize the lifetime social safety net, and establish the social security information delivery system.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인공지능 생성기가 생성한 섬네일과 네이버 웹툰 섬네일에 대한 시각반응 비교 연구
황미경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11
2023년 4월 1일 만우절을 맞아, 네이버 웹툰은 이미지 생성기로 제작된 웹툰 썸네일과 웹툰 작가가 제작한 썸네일을 실험 자극으로 사용하여 20대 사용자의 시각적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선추적장치의 AOI 분석 결과, 피험자들은 사람이 그린 웹툰과 인공지능이 그린 웹툰을 쉽게 구별했으며, 히트맵을 통해 남성 캐릭터보다는 여성 캐릭터, 글자보다는 이미지(특히 강한 인상을 주는 캐릭터)에 더 높은 주목도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험자들은 그림의 재질감을 통해 인공지능과 사람의 작품을 구별했으며, 이에 따른 시각적 반응이 관찰되었다. 남녀 간의 응시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범위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사람이 아닌 이질적인 캐릭터(예: 괴물)에 대한 주목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큰 범위를 차지하는 메인 캐릭터에 대한 시각적 주의도 높게 나타났다. AI를 활용해 제작된 작품이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지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나, 미래의 AI 시대를 살아갈 예술가들은 경쟁이 아닌 상생의 자세로 새로운 기술을 수용할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인공지능의 범죄 악용을 방지하기 위한 법적 규제 마련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AI가 올바르게 활용되어 우리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Naver Webtoon compared and analyzed the visual responses of users in their 20s by using webtoons created by image generators and thumbnails made by webtoon artists as experimental stimuli on April 1, 2023. According to Eye-Tracking's AOI analysis, participants easily distinguished between webtoons drawn by humans and those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e heat map confirmed that there was higher attention paid to female characters than male characters, and more focus was placed on images (especially those with strong visual impact) than text. Participants could tell whether a work was AI-generated or human-drawn based on the texture and materiality of the image, which also influenced their visual response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gaze patterns between men and women, and despite the small range, non-human, heterogeneous characters (such as monsters) attracted more attention. Visual attention was also high for the main characters, particularly those taking up a large portion of the screen or positioned centrally. While discussions about the artistic value of AI-generated works are ongoing, artists in the futur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ust be prepared to embrace new technologies with a collaborative, rather than competitive, mindset. It's crucial that we also prioritize the establishment of laws to prevent the misuse of AI for criminal activities. These regulations will provide a sense of security and protection, ensuring that AI is used responsibly and contributes to enhancing our quality of life. Research will be needed to ensure AI is used properly and contributes to enhancing our quality of life.
한국의 노인자원봉사클럽 및 일본 노인클럽에 관한 비교 연구
황미경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3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0 No.-
노인자원봉사활동은 고령사회 대책 및 복지자원으로서 국가 정책에 기반한 다원적인 노인 사회참여제도 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노인들의 자발성과 정부의 지원을 기반으로 확대되고 있는 노인자원봉사 체계는 2011년 부터 시작된 대한노인회 노인자원봉사클럽 결성 이후 노인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국가 및 지방 자치단체의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가 지원하는 대표적인 노인자원봉사 단체인 대한노인회의 노인자원봉사클럽의 출범 에 비추어 일본의 고령자 사회참여 조직인 노인클럽활동에 나타난 시사점과 함의로 긴 역사성에 따른 체 계적인 활동 양태와 지원 정책 및 자조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연구 분석의 틀은 산물분석 방식에 따라 노 인자원봉사활동 대상(단체), 봉사활동 유형, 봉사활동 전달체계, 재원 등을 분석하였다. 이에 고령화 시대의 민간 복지자원으로서 한국적인 노인자원봉사활동의 진흥을 위한 사회적 대응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ground and the actual status of senior volunteer activities in order to grope for ways to activate and utilize senior volunteer activities as welfare resources. Thereupon, this paper considered the representative groups of senior volunteer activities in Korea and Japan. The representative senior volunteer activity organizations in Korea and Japan are the Korea Senior Citizen’s Association’s senior volunteer work club and Japan’s senior club. The opera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depends on national systemic suppor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Regarding the senior volunteer activities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 groups, programs, finances, and delivery systems in terms of political support. In Korea, since 2011, the senior volunteer work club has been operated with the governmental support, and in Japan, based on the self-help senior volunteer activities conducted from the 1950’s, it has been supported legally since 1963. Japan’s senior club has strong characteristics as self-help and social activities. Considering Japan’s case,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to accelerate senior volunteer activities and enhance the policies of utility through the maintenance of legislation and social cooperation as the civil welfare resources of Korea.
지방자치단체의 보훈복지서비스전달체계 확립과 통일복지거버넌스 구축
황미경 한국보훈학회 2015 한국보훈논총 Vol.14 No.3
It has been demanded to make efforts to establish the patriots and veterans welfare system by raising awareness of national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also enhance social awareness of unification and come into agreement on it. Concerning this, governance oriented to social integration and unification implies the necessity to establish a system to provide lifelong social welfare and patriots and veterans welfare service in welfare governance based on national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Accordingly, it is needed for local autonomous entities to play roles in welfare governance in order to build a patriots and veterans welfare delivery system centering around a local autonomous entity in charge of various welfare services for patriots and veterans and prepare for un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nalyzed national patriots and veterans policy and its legislation system as the systems of social welfare, considered how to support welfare governance regarding prepar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and unification, and suggested ways to establish a patriots and veterans welfare delivery system and unification welfare governance centering around a local autonomous entity. 본 연구는 국가의 정책기조 하에 보훈대상자에 대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보훈복지서비스전달체계 확립과 통일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복지거버넌스의 기본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국가보훈의식 제고를 통한 보훈복지서비스 체계의 확립과 통일에 대비한 국민 인식개선과 사회적 합의의 노력이 요청되어 왔다. 따라서 평생복지시대에 부응하는 보훈복지서비스전달체계 확립 및 헌법상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와 국가안보의 기반에서 평화통일에 대응하는 거버넌스에 관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정책으로서 국가보훈관계 법령과 복지전달체계를 분석하고 통일준비정책과 통일복지사업을 고찰하였으며, 광의의 사회복지전달체계와 연계된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보훈복지서비스전달체계 확립과 통일복지사업과 통일교육을 지원하는 통일복지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제언하였다.
창작과 예술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기 활용에 관한 연구
황미경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8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미지 생성기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공지능의 정의 및 기능과 역사, 이미지 창작 인공지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2023년 1월 기준으로 시밀러웹(SimilarWeb)을 이용하여 웹사이트의 트래픽 양을 비교하고 상위 4가지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드저니는 생성된 세 작품 모두 디지털 드로잉으로 묘사되었으며, 'a real apple' 작품에서는 'an apple' 작품에 비해 빛을 추가로 묘사하였고, 'an apple icon' 작품에서는 배경을 단색으로 처리하여 약간의 차이만 있었다. 달리 2는 대체로 사진처럼 묘사하며 'an apple icon' 명령어로 생성한 작품만 2차원적으로 묘사하였다. 스테이블 디퓨전은 세 명령어로 작품을 생성하였을 때 각각 눈에 띄는 차이를 보여 명령어를 가장 잘 인식한다고 판단된다. 노벨 AI는 'human', 'man', 'woman' 등 인물과 관련된 명령어를 제외하여야만 사과가 온전히 묘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이미지 생성기 개발 및 연구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기존의 인공지능(AI) 이미지 생성기의 기능과 특징에 대한 이해를 도와 생성기 사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image generato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e looked at the definition, function, history, and image cre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of January 2023, we compared the website's traffic and analyzed the top four artificial intelligence image generators using a similar web. As a result of the study, Midjourney was described as a digital drawing in all three works generated, and in the work of "a real apple," light was additionally described compared to the work of "a apple." In the work of "an apple icon," the background was treated in a single color, so there was only a slight difference. In contrast, two generally describe it like a picture, and only works created with the command "an apple icon" are described in two dimensions. Stable diffusion shows remarkable differences in each of the three commands when a work is created, so it is judged that the command is best recognized. Nobel AI said that the apology was fully described only when commands related to characters such as "human," "man," and "woman" were excluded.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developing and researching new image generator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esenting guidelines for the use of generators by helping to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image generators.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ㅡ, ㅜ, ㅓ, ㅗ/ 발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선행 자음에 따른 발음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황미경,조남민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2 No.-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후설모음 /ㅡ, ㅜ, ㅓ, ㅗ/의 발음을 분석하고 선행 인접 자음이 후설모음의 발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자음별로 음운환경을 분류하여 발화 실험을 진행한 뒤 후설모음의 발음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자음이 치경이나 경구개에서 조음되는 경우 후설모음의 F2 값이 상승하였는데, 이에 대해 포먼트는 성도(vocal tract)의 공명에 의해 생성된 공진 주파수로서 공명강인 구강과 인두강의 모양에 따라 값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조찰성(strident)이 강한 마찰음이 강한 소음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이것이 후설 모음 F2 값의 상승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셋째, 저주파수 에너지를 갖는 공명음(sonorant)인 유음과 비음이 선행하는 경우 전반적으로 후설모음의 F1 값과 F2 값이 상승하였다. 마지막으로 [grave] 자질을 가진 폐쇄음 /ㄱ/이 선행하는 경우 폐쇄음의 유성음화로 인해 소음구간이 사라지기 때문에 후설모음 F2 상승이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jacent preceding consonants on the pronunciation of back vowels by analyzing the acoustic phonetic characteristics of /ㅡ, ㅜ, ㅓ, ㅗ/ pronounc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This paper regards the preceding adjacent consonant as a factor influencing the pronunciation of the back vowels, and compare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s and native Koreans.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below. The F2 value of back vowels increases when preceding consonants are articulated in the alveolar or the palate. The fricative with strong strident has a strong noise energy which contributes to the rise of the back vowel F2 value. The F1 and F2 value of adjacent back vowels increases in case nasal sounds, F2 value increases in case lateral sounds, sonorant with low frequency energy, preceded the back vowels. A stop sound /ㄱ/ with a [grave] feature does not increase the F2 value of the back vowel because the strident interval disappears due to voicing of a stop sound in word-initial and non-word initial positions.
호국보훈과 보훈복지의 연계를 위한 보훈복지거버넌스의 과제
황미경 한국보훈학회 2016 한국보훈논총 Vol.15 No.2
본 연구는 호국보훈과 보훈복지에 대한 성찰적 인식을 통하여 중앙과 지방의 호국 보훈사업과 보훈복지 연계 활성화를 위한 보훈복지거버넌스의 이행과제를 제언함이 다. 호국보훈과 보훈복지의 연계는 과거와 현재, 미래를 통찰하여 평화적 통일을 목 적으로 하는 보훈복지거버넌스의 주요 책무로 그 이념적 기반은 통일복지거버넌스로 이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당위는 헌법 정신인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평화적 통일 및 국가보훈기본법의 기본이념에 근거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통합과 국가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호국보훈과 보훈복지에 대한 성찰적 인식을 통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나라사랑 활동과 과제를 고찰하였 다. 이에 후대까지 이어져야 할 보훈복지거버넌스에서 통일복지거버넌스 구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제정, 호국보훈선양과 보훈복지의 확대, 통일교육, 호국보훈문화 창달 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색상(Color)과 형태(Form)에 따른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황미경,권만우,박민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4
Among the visual sensibility studies, many studies of color or movement have been done, but not much have been done about whether it can evoke sensibility in static form itself. Therefore, in this study, visual attention by AOIs(Area of Interests) combined with color based on three basic forms was analyzed using eye tracking, and the results were visually expressed through Heat Map and Gaze Plot. In addition,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each color and for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chromatic color form was more visual attention than the achromatic color form and warm color form was higher mean than cool color, so the visual attention was greater.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quantitative method which is easy to interpret objectively the design element that is easily interpreted subj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more further studies an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are presented that can identify differences in visual attention from various colors and forms, it can be used to provide guidelines for basic design. 시각과 관련된 감성 연구 중에서 색에 대한 연구나 움직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정적인 형태 자체에서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3가지 형태를 중심으로 색상과 결합하여 영역 설정(AOI)에 의한 시각적 주의를 아이트래킹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Heat Map과 Gaze Plot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두 집단과 평균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유채색의 형태가 무채색의 형태보다 시각적 주의가 크며, 난색의 형태가 한색의 형태보다 더 높은 평균을 보여 시각적 주의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으로 해석되기 쉬운 디자인적 요소를 객관적인 해석이 용이한 정량적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부터 시각적 주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량적 해석 방법이 제시된다면 기초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황미경,권만우,박민희,은석함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6
Visual percep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human eyes contains much information on how to view visual stimuli using eye track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cquire and analyze consumer visual information as quantitative data. These measurements can be used to measure emotions that customers feel unconsciously, and they can be directly collected by numerically quantifying the character's search response through eye tracking. In this study, we traced the character 's area of interest (AOI) and found that the average of fixation duration, count, average of visit duration, count, and finally the time to frist fix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cognitive processing processes on the face than the character 's body, and the visual attention was high. The visual attention of attraction factor has also been able to verify that attraction is being presented 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preferences for charac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of more characters will be conducted and quantitative interpretation method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haracter development and factors t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character design. 사람의 눈을 통해 획득된 시각정보는 시각적 자극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아이트래킹기술을 활용하면 소비자의 시각정보를 정량적 데이터로 획득하여 분석가능하다. 이러한 측정은 소비자가 무의식적으로 느끼게 되는 감성 측정이 가능하며, 시선추적을 통한 캐릭터의 탐색반응을 계량적으로 수치화하여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의 관심영역(AOI)을 추적하여, 시선고정 도출 측정값 중 시선고정평균시간, 횟수, 시선방문평균시간, 횟수, 마지막으로 처음 시선고정이 일어난 평균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시선고정과 시선방문이 주로 이루어진 지점은 캐릭터의 몸매보다는 얼굴에서 많은 인지적 처리과정이 일어났으며 시각적 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력요소의 시각적 주의를 통해 매력요소가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캐릭터의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 정량적 해석 방법이 제시된다면 캐릭터 개발의 기초자료로 그리고 캐릭터디자인 결정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