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색상(Color)과 형태(Form)에 따른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황미경,권만우,박민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4

        Among the visual sensibility studies, many studies of color or movement have been done, but not much have been done about whether it can evoke sensibility in static form itself. Therefore, in this study, visual attention by AOIs(Area of Interests) combined with color based on three basic forms was analyzed using eye tracking, and the results were visually expressed through Heat Map and Gaze Plot. In addition,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each color and form.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chromatic color form was more visual attention than the achromatic color form and warm color form was higher mean than cool color, so the visual attention was greater.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quantitative method which is easy to interpret objectively the design element that is easily interpreted subj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more further studies an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are presented that can identify differences in visual attention from various colors and forms, it can be used to provide guidelines for basic design. 시각과 관련된 감성 연구 중에서 색에 대한 연구나 움직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정적인 형태 자체에서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3가지 형태를 중심으로 색상과 결합하여 영역 설정(AOI)에 의한 시각적 주의를 아이트래킹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Heat Map과 Gaze Plot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두 집단과 평균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유채색의 형태가 무채색의 형태보다 시각적 주의가 크며, 난색의 형태가 한색의 형태보다 더 높은 평균을 보여 시각적 주의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으로 해석되기 쉬운 디자인적 요소를 객관적인 해석이 용이한 정량적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부터 시각적 주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량적 해석 방법이 제시된다면 기초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사회복지 교육방안

        황미경,정종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5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points for discussion and plans in applying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education to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at a college level to cope with the recently accelerated multicultural phenomenon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not only the theo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all so literature concerning the cases related to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a college level and the relevant systems or legislations of South Korea were reviewed. It is needed to provide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which has been managed as a non-statutory subject in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since 2008, as a statutory optional subject, include it in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and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in practicing social welfare with the objective of reinforcing capacity for multicultural practice in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at a college. It is also necessary to use multicultural media to present convergence education models of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education for immigrants and foreign residents, revise relevant legislations for activ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evelop and distribute multicultural convergence education models for activating the practical area of social welfare through association with multicultural institutions. 본 연구는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한국의 다문화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다문화사회복지교육을 대학의 사회복지교육과정으로 시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교육의 이론을 고찰하고,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하여 대학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례 및 이와 관련한 우리나라의 제도와 법제를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대학의 다문화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역량강화를 위한 사회복지교육과정은 비법정 교과목으로 2008년부터 개설되어 운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사회복지교과목을 법정 전공 선택 교과목으로 개설하여 사회복지교육과정에 포함할 것과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 다문화교육실습을 병행할 것을 제언하였으며, 미디어를 활용한다문화사회복지교육 모델을 제시하고, 다문화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관련 법률의 정비와다문화관련 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사회복지실천영역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문화융합교육 모델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베트남인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유음 발음 양상에 대한 분석

        황미경 이화어문학회 2016 이화어문논집 Vol.39 No.-

        본고는 최근 급격히 늘고 있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한국어 유음 발음을 나타난 음운 음성적 오류 를 분석하고 그 스펙트로그램에 나타난 특징을 관찰하였다. 유음 발음의 분석은 음운 환경에 따라 크게 음절초 유음과 음 절말 유음으로 나누어서 행하였으며, 음절초 유음은 다시 어두와 비어두 유음으로, 음절말 유음은 실질형태소에서 나타난 것과 형식형태소에서 나타난 것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음절초 유음 발음에서 유음 을 비음 [n]나 권설 마찰음 [ʐ], 반모음 [j]로 대치하여 발음하거나 생략하는 등의 음운론적 오류들을 보였으나, 음성적인 오류를 보이는 비율이 더 높게 나 타났다. 특히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베트남어의 권설 자음을 발음할 때처 럼 어두와 어중 음절초 유음 발음에서 혀를 약간 뒤로 말아 발음하는 경 향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어두 및 어중 초성에서 보이는 학습자들의 음 성적 오류는 유음의 음운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기보다는 학습자마다 의 개별 발음 습관과 더 큰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음절말 유음의 발음에서 어말 유음 발음의 경우에는 유음을 비음 [n]로 대치하여 발음하는 음운론적 오류가 가장 많 이 나타났다. 그러나 단순히 [n] 대치 오류로만 볼 수 없는 음성적 오류도 함께 나타났는데,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음성적 오류는 모음과 대치음 [n] 사이에 약한 유음을 삽입하여 발음하는 것이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제1언 어의 전이를 무의적으로 저지하고 목표어를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 였음에도 불구하고 조음기관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해 결국 대치음 [n]을 발 음하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음절말 유음 발음의 경우 실질형태소에서보다 형식형태소에서의 [n] 대치 오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조사 ‘을, 를’에서의 [n] 대치 오류는 전체 조사 발음 자료의 59.6%를 차지하였으며, 관형형 어미의 받침 ‘-ㄹ’에 서도 [n] 대치 오류가 69.2%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조사 ‘을, 를’ 및 관형형 어미의 ‘-ㄹ’과 같은 형식형태소에서의 유음 발음 오류율이 실질형 태소에서의 발음 오류율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고립어인 베트남 어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이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문법 요소를 습득할 때 문법 자체에 집중하면서 발음을 정확히 하는 것에는 소홀해지기 때문 인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n liquid pronounce aspects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who recently increasing rapid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onological errors and phonetic errors in the pronunciation of the liquid of thirteen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spectrogram. As a result, Vietnamese students are in word’s first liquids and syllabic initial liquids in the words showed a phonological errors such as omitted liquid or replaced liquid by [n], [ʐ], [j]. However, most of the errors was shown a phonetic errors, Vietnamese students tended to do pronounce the tongue back. This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retroflex consonants of Vietnamese influences the Korean pronunciation of the liquid. In this phonetic errors do not appear depending on the phonological environment of liquid was investigated by that type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ronunciation habits of learners. In the pronunciation of the last syllable of the liquid, phonological errors were the most commonly pronounced by replacing the liquid into the nasal [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honetic errors can not be seen only [n] replace errors, the most common phonetic errors appeared was pronounced by inserting a weak liquid between the vowel and the [n].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as learner shown in the process of trying to stop the interference of the first language and learn the pronunciation of the second language. Finally, the pronunciation errors by replacing the liquid with [n] was investigated as compared to full morphemes that appear more frequently in the formal morphemes. This phenomenon is thought to be due to appear isolating language the Vietnamese have no grammatical elements, such as the Korean postposition particle ‘을/를’ or adnominal ending form ‘을/-ㄹ’. So the Vietnamese learners show more pronunciation errors because it has a lot more interested in correct grammar than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the Korean postposition particle ‘을/를’ or adnominal ending form ‘을/-ㄹ’.

      • KCI등재

        인구특성을 고려한 노출평가: 부산지역 고농도 오존일 사례연구

        황미경,방진희,오인보,김유근,Hwang, Mi-Kyoung,Bang, Jin-Hee,Oh, Inbo,Kim, Yoo-Keu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5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1 No.2

        Objectives: Photochemical ozone pollu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risk.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population exposure to ozone according to population characteristics for high ozone days in the Busan metropolitan region (BMR). Methods: The ozone exposure assessment in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WRF-CMAQ simulated ozone concentrations and the population data in the BMR. The settled and daytime population and their activity were considered to conduct the static and dynamic ozone exposure assessment. Results: Applying a static exposure assessment, in case that high ozone occurred throughout Busan area, the highest exposure levels were evaluated in urban neighborhoods. In case of ozone pollution in outer Busan, because sensitive groups have been relatively higher exposure, this case was also evaluated as part of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 dynamic exposure was higher than static exposure because the number of population exposed to ozone of high concentration is increased. This approach is important in a regard consider that daytime population distribution when high ozone occur.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different population exposure according to various ozone distributions for each episode day. Consider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 such as population density and activity should be important to understanding the population exposure assessment when ozone pollution occu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