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법개혁 - 우리나라와 독일의 최고법원 비교 고찰 -

        황도수 대한변호사협회 201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11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judicial reform, in particular of the Supreme Court as the highest judicial organ of South Korea. The methodology taken in this research is to compare both the institutions and operations of Germany and Korea in an analytical manner. It will be then possible to search for the new possibility of the reform of the Korean Supreme Court. German put into practice the several characteristic institutions that will suggest possible choices of the reform required in Korea. Different from the situation of Korea, Germany divides up the authorities of its highest court in several judicial organs. The Basic Law states that “[it] shall be established the Federal Ordinary Court(Bundesgerichtshof), the Federal Administrative Court, the Federal Fiscal Court, the Federal Labour Court and Federal Social Court.” The distribution of authority of the highest court in Germany is notable in respect of the specialization and realization of the claim to a trial of its nationals as well as from the standpoint of the separation of powers. The German Organization of the Judicature Law stipulates separately that the matter for the constitution of the judical chamber and the distribution of cases of each chamber be the autonomous matter of judges. These questions is regulated as to be decided in the council of representatives of judges in each court(Präsidium). Its decision is of legal binding force. The number of the judges of the Federal highest courts is totalling 320. It serves as a foundation not only for the proper maintenance of the burden of handling pending cases for the judges of the highest courts, but for the successful function as the most specialized organ for the country. In Germany, the head of each highest court can only exercise the power of judicial administration over each federal highest court, but not over lower courts. This means the complete independence or autonomy of judicial administration. The German institutional features surveyed in this paper give a number of points of reference for the Korean judicial reform, whose contributions are much hoped for. 이 글은 우리나라 최고법원으로서의 대법원에 대한 사법개혁에 관심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독일과 우리나라의 최고법원에 관한 제도와 운영을 비교․분석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양자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최고법원의 제도와 운영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독일은 우리나라의 제도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특징적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최고법원의 권한을 여러 개의 사법기관에 분장시키고 있다. 기본법은 ‘일반민형사재판, 행정재판, 재정재판, 노동재판 및 사회재판에 대하여 연방은 최고법원으로서 연방통상(민형사)법원(Bundesgerichtshof), 연방행정법원, 연방재정법원, 연방노동법원 및 연방사회법원을 둔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최고법원의 권한분장은 권력분립의 관점뿐만 아니라, 전문화와 국민의 재판청구권 구현의 관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독일 법원조직법은 재판부 구성에 관한 사항 및 각 재판부의 사무분장은 법관의 자치사무로 별도로 규정하고 있다. 이들 사항은 각 법원의 법관들로 구성되는 대의원법관회의(Präsidium)에서 결정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결정에 법적 구속력이 부여되어 있다. 연방최고법원의 법관의 수를 모두 합치면 320명에 이른다. 이는 최고법원 법관에 대한 사건처리부담을 적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최고법원이 사계의 전문기관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연방최고법원의 법원장은 각 연방최고법원에 대한 사법행정권한만을 행사할 뿐, 각급법원에 대하여는 사법행정권한을 행사할 수 없다. 사법행정이 철저하게 분립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독일의 제도는 우리나라 사법개혁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독일의 제도가 우리나라 제도개선에 기여하길 바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례연구 : 행정의 행위형식으로서의 "행정계획"개념에 대한 검토 -헌법재판소 2000. 6. 1. 선고, 99헌마538등 결정, 대법원 1982. 3. 9. 선고, 80누105 판결 및 대법원 2002. 10. 11. 선고, 2000두8226 판결에 대한 평석-

        황도수 ( Do Ssu Hwang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一鑑法學 Vol.0 No.26

        Usually the chapter of administrative planning is placed in the textbook among chapters which explain specific forms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actions. Therefore, it seems that administrative planning is one specific form of administrative actions. In reality, according to the court law, administrative planning is not dealt as a specific form of administrative actions. The concept of administrative planning cannot explain common legal effects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planning. Legal effects of a administrative planning should be determined with which form of administrative actions the planning is applied to. This essay is written for questioning of whether administrative planning is a specific form of administrative actions. First, I have checked if administrative plannings have their own individualistic legal requirements or legal effects, and it did not have their own specialism. In fact, it is cited that it is regulated individually according to ad hoc applied laws. Based on these evidences, administrative planning is hard to admitted as a specific form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actions. It is true that administrative planning is too inclusive and also vague for people to recognize administrative planning as one form of the specific acts of administrative. Therefore, unlike many textbooks, ‘administrative planning’ should not be considered as one of specific forms of administrative actions. Finally, administrative planning should be considered individually as to requirements, proceeds, and legal effects.

      • KCI등재

        근대 법치주의에 대한 이해

        황도수(Hwang Do Ssu)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0 행정법연구 Vol.- No.26

        The 'rule of law' necessarily means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people according to their particular moral or political position. It relates to the subs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and government, fundamentally, between citizens themselves. The rule of law in the pre-welfare state were shaped by the experience of living in a society which permitted few citizens to vote in parliamentary elections, and in which government performed only a limited number of functions. It opposed the increased government intervention in social and economic affairs. Nowadays government has assumed a significant role in managing economic and social affairs. Government ought to play an extensive role in economic affairs and individuals must accept quite restrictive limits on their autonomy, if the legislature deems such restraints to be in the public interest. The change of the rule of law is due to the substantial change of political sovereign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rule of law, we should take the proper concept of the rule of law in the pre-welfare state.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oncepts of the rule of law in the pre-welfare state. It reveals that the rule of law according to legal positivism cannot represent the rule of law in the pre-welfare state.

      • KCI등재

        법제도로서의 헌법변천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황도수(Do Ssu Hwang)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09 世界憲法硏究 Vol.15 No.1

        헌법변천에 관련된 종래의 논의를 살펴보면, 헌법변천을 '사회현상'으로 이해하는 견해와 '법적인 제도'로 이해하는 견해가 혼재하고 있다. 자칫 사회학적인 용어로서의 ‘헌법변천’개념이 법제도적인 용어로서의 ‘헌법변천’개념으로 여과없이 전이될 경우 충분히 검증되지 아니한 개념이 법제도로 자리매김함으로써 법체계에 혼란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이 글에서는, 헌법변천이 과연 법제도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개념인가? 아니면 헌법변천이 헌법해석, 관습헌법에 의하여 헌법의 내용이 변경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법사회적인 개념에 불과한 것인가? 헌법변천이 법제도개념이라면 헌법의 내용이 변경되는 효력을 가지는 헌법해석, 관습헌법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헌법변천이 헌법해석, 관습헌법과 구분되어 독립된 제도로 인정받을 수 있는가? 헌법변천이 헌법해석, 관습헌법과 다른 독자적인 제도로 인정될 수 있다면 그 적용영역은 무엇인가? 등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법제도로서의 헌법변천’의 성립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변화된 헌법현실을 헌법규범이 수용하여 헌법규범의 내용을 헌법현실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괴리를 해소하는 다른 법제도로서의 헌법개정, 관습헌법 및 헌법해석과 헌법변천을 비교 검토하면서, 법제도로서의 헌법변천이 독자적으로 성립될 수 있는 적용영역은 있는지 여부와 그 적용영역이 있다면 그 적용영역에 대하여 법제도로서의 헌법변천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론적으로는 헌법변천이 독자적으로 성립될 수 있는 적용영역이 있을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법제도로서의 헌법변천을 인정하게 되면, 엄청난 재앙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Unter Verfassungswandel wird ein Vorgang verstanden, in dem die Verfassung ohne Textänderung ihren Sinn ändert. Das heißt eine Entwicklung des Verfassungsrechts, in deren Folge neue Verhaltensanforderungen an die Normadressaten aus einem gleichbleibenden Text gestellt werden. Der Begriff wird häufig eher unspezifisch. Vor allem die Suche nach den Grenzen von Verfassungsauslegung, Verfassungsgewohnheitsrecht aufwirft schwierige methodische Probleme. Der Verfassungwandel hat eine Grundlag darin, daß zahlreiche Verfassungsbestimmungen einen Auslegungsspielraum haben. Und durch einen Wandel der Wertvorstellungen, welche die Verfassungsauslegung mitbestimmen, aber auch durch Veränderungen der Lebenswirklichkeit, auf die sich die Verfassungsnormen beziehen, kann sich auch deren Sinn ändern, ohne daß es hierzu einer Verfassungsrevision bedarf. In institutionalisierter Weise entwickelt sich die Verfassung durch richterliche Entscheidungen(Verfassungsauslegung) fort, vor allem durch die verfassungsgerichtliche Rechtsprechung. Und in den Lücken und Auslegungsspeilräumen der Verfassung kann sich also auf Verfassungsebene eine Rechtsfortbildung vollziehen, die sich sogar zu Verfassungsgewohnheitsrecht verfestigen kann. So entwickelt sich der Verfassungwandel nur druch Verfassungsauslegung oder Verfassungsgewohnheitsrecht als Rechtsinstitution, nicht durch den Verfassungwandel als solch. So kann der Begriff des Verfassungwandel als Rechtsinstitution nicht bestehen. Der Verfassungwandel ist nur ein descriptiver Begrif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