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법치주의에 대한 이해

        황도수(Hwang Do Ssu)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0 행정법연구 Vol.- No.26

        The 'rule of law' necessarily means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people according to their particular moral or political position. It relates to the subs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and government, fundamentally, between citizens themselves. The rule of law in the pre-welfare state were shaped by the experience of living in a society which permitted few citizens to vote in parliamentary elections, and in which government performed only a limited number of functions. It opposed the increased government intervention in social and economic affairs. Nowadays government has assumed a significant role in managing economic and social affairs. Government ought to play an extensive role in economic affairs and individuals must accept quite restrictive limits on their autonomy, if the legislature deems such restraints to be in the public interest. The change of the rule of law is due to the substantial change of political sovereign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rule of law, we should take the proper concept of the rule of law in the pre-welfare state.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oncepts of the rule of law in the pre-welfare state. It reveals that the rule of law according to legal positivism cannot represent the rule of law in the pre-welfare state.

      • KCI등재

        사례연구 : 행정의 행위형식으로서의 "행정계획"개념에 대한 검토 -헌법재판소 2000. 6. 1. 선고, 99헌마538등 결정, 대법원 1982. 3. 9. 선고, 80누105 판결 및 대법원 2002. 10. 11. 선고, 2000두8226 판결에 대한 평석-

        황도수 ( Do Ssu Hwang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一鑑法學 Vol.0 No.26

        Usually the chapter of administrative planning is placed in the textbook among chapters which explain specific forms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actions. Therefore, it seems that administrative planning is one specific form of administrative actions. In reality, according to the court law, administrative planning is not dealt as a specific form of administrative actions. The concept of administrative planning cannot explain common legal effects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planning. Legal effects of a administrative planning should be determined with which form of administrative actions the planning is applied to. This essay is written for questioning of whether administrative planning is a specific form of administrative actions. First, I have checked if administrative plannings have their own individualistic legal requirements or legal effects, and it did not have their own specialism. In fact, it is cited that it is regulated individually according to ad hoc applied laws. Based on these evidences, administrative planning is hard to admitted as a specific form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actions. It is true that administrative planning is too inclusive and also vague for people to recognize administrative planning as one form of the specific acts of administrative. Therefore, unlike many textbooks, ‘administrative planning’ should not be considered as one of specific forms of administrative actions. Finally, administrative planning should be considered individually as to requirements, proceeds, and legal effects.

      • KCI등재

        현대국가의 권력분립 -예산의 수립과 통제를 중심으로-

        황도수 ( Hwang Do-ssu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一鑑法學 Vol.0 No.35

        권력분립주의에 관한 종래의 논의는 `근대 자유주의`적인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대국가의 현실은 권력분립주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오늘날 견제와 균형을 이루어야 할 이해관계는 군주권력과 시민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가진 자와 못가진자 사이, 즉 국민들 상호간의 이해관계이다. 국민들 상호 간에 이해관계의 대립은 의회와 정부의 대립관계보다는, 오히려 정당의 대립, 여당과 야당의 대립관계를 통하여 더욱 잘 반영된다. 오늘날 권력분립주의는 정부와 의회의 여당을 한 축으로 하는 국민들의 이해관계와 의회의 야당을 한 축으로 하는 국민들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합리적으로 견제시키고 균형을 갖추어 갈 것인가에 대한 조직적인 해답이라고 보아야 한다. 입법, 행정, 사법을 구분하는 삼권분립이론은 종래 군주로부터 시민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자유주의적 조직원리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삼권분립이론은 법치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국민들이 사법권 행사를 매개로 국가기관을 견제 균형하는 이론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권력분립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예산의 성립 및 통제에 있어서의 권력분립 형태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게 된다. 먼저, 예산의 성립에 관하여는 두 가지 쟁점이 제기된다. 첫째는 의회의 야당이 정부와 의회의 여당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견제할 것인가에 대한 국가조직적인 문제이고, 둘째는 정당권력자들의 국회의원에 대한 지배문제로 인하여 여당과 야당의 권력분립이 왜곡될 것을 우려하여, 국회의원과 정당 사이의 합리적인 권력분립적 견제균형 관계이다. 예산의 통제에 관하여는, 국민들이 예산에 대한 재판제도를 통하여 예산에 대한 국가권력에 통제에 참여한다는 의미에서의 삼권분립이론에 입각하여, 예산에 대한 사법적 통제가 완비되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Traditional understandings about separation of power is usually based on the viewpoint of modern liberalism. The reality of contemporary states need new perspectives to check and balance of powers. Conflicts have been not any more between kings and citizens, but between capitalists and laborers. These conflicts can be reflected more correctly not with check and balance between parliaments and administrative government, but between ruling parties and opposite parties. Today`s discussion about separation of powers should be focused on how the opposite parties can check and balance the ruling parties and their administrative governments. Separation of three powers, legislative power, administrative power and judiciary power has been regarded as the organization principle for liberalism. But it should be thought as the realization of `Rule of Law`, which need separation of legislation, execution and judiciary. From this viewpoint, we can get the idea that people themselves participate in separation of powers through judiciary system. These new perspective about separation of powers gives us new viewpoint to separation of powers in establishing and controlling national budgets. We should focus more on the opposite parties`s powers than just legislatures themselves`. Also we should not neglect protection of parliament`s members from the powerful of parties. Of course, people`s right of access to court should be guaranteed in order to control national budgets.

      • KCI등재

        상업광고에 관한 헌법적 보장과 제한 -헌법재판소 판례이론을 중심으로-

        황도수 ( Do Ssu Hwang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一鑑法學 Vol.11 No.-

        This article collects and analyzes the Constitution Court cases in which the Court has discussed the protection of commercial expression. In 1998 the Court held that the freedom of commercial expression is protected as the fundamental right from unwarranted governmental regulation, since commercial expression not only serves the economic interest of the speaker, but also assists consumers and furthers the social interest. Since 2003 the Court newly applied a relatively relaxed standard to judicial review in the area of commercial expression (Constitution Court 2005. 10. 27. 2003hunka3), and even denied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itself in the area of broadcasting advertisement (Constitution Court 2003.12.18. 2002hunba49). Thus the government may easily regulate the content of commercial expression to prevent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that is false, deceptive, or misleading. This new doctrines could cause collisions with ordinary accepted past doctrines, especially with the doctrines relating Korean Constitutional Law Clause 37 Paragraph 2, the new doctrines seems to be transit. So it is needed to observe next constitutional cases relating commercial expression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헌법재판소의 위헌법률심판권과 법원의 법률해석권

        황도수(Do Ssu Hwang) 한국법학원 2007 저스티스 Vol.- No.99

        헌법재판소 2007. 4. 26. 2004헌바19 결정은 헌법재판소가 규범통제권한을 행사함에 있어서 법원의 해석에 의하여 의미가 확인된 법률조항 중 일부분의 법률내용에 대하여 위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가라는 쟁점을 다루고 있다. 입법기술의 형태에 따라 동일한 입법목적을 가진 동일한 내용의 법률이 법문언적으로 다양한 입법형태의 법률조문으로 입법될 수 있다는 입법기술의 본질을 고려하건대, 하나의 법률조문으로 표현된 법률조항 중 일부분을 특정하여 그 부분에 대하여만 위헌결정을 선고하는 한정위헌 결정은 위헌법률심판제도에 필연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법원의 법률해석권 행사가 합헌적 법률해석에 의하여야 하고, 그 합헌적 법률해석권은 헌법 제107조 제1항에 의하여 위헌법률심판제청 의무에서 한계를 가진다는 점을 종합하면, 법원의 법률해석권 행사로 해석적용된 법률내용은 법원의 합헌 판단이 전제되어 있는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헌법재판소가 위헌법률심판권 행사를 통하여 법률조항이 헌법내용에 위반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면, 당해 법률내용이 헌법에 위반된다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당해 법률조항의 내용이 합헌이라고 판단하여 해석한 법원의 법률해석내용이 헌법에 위반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헌법재판소가 단순위헌결정을 선고한 경우나 한정위헌결정을 선고한 경우나 동일한 것이다. 결국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에서만 법원의 법률해석권과의 충돌문제가 발생된다는 것을 전제로, 위헌법률심판제도에서 단순위헌결정은 허용되나 한정위헌결정은 허용될 수 없다는 주장은 위헌법률심판제도와 법률해석권의 본질을 오해한 것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위헌법률심판 제도가 헌법보장을 위하여 채택된 이상 단순위헌결정과 마찬가지로 한정위헌결정은 논리필연적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 글의 평석대상 결정의 다수의견은 구체적인 내용이 분명한 것은 아니나, 자칫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권을 포기함으로써 위헌법률심판권의 본질적 부분에 대하여 자신의 책무를 저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재고되어야 한다. 헌법재판소는 한정위헌결정을 선고할 수 있는 권한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법치주의 확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위헌법률심판제도를 운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Constitution divides power of judicial review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ordinary courts. The separation of jurisdictions leaves much room for jurisdictional disputes. With regard to decisions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 namely, cutting away the unconstitutional aspects of a law by invalidating its improper application parts - the ordinary courts(especially the Supreme Court) refused to accept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s as binding. The Supreme Court characterized the decision as merely one of the possible interpretations of the law. It insists that it should have the exclusive power of statutory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See the Supreme Court Decision 1996.4.9, 95Nu11405). But According to ths Article 107 (1) of the Constitution, the ordinary courts' power of statutory interpretation presupposes the validity of the statute being interpreted. Its validity is conditional upon the Constitutional Court's finding of its constitutionality. And decisions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are justified as inevitable products of constitutional review because of the limit of legislative terminological skill. So they have the same binding force as a simpl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To the extent, the ordinary courts' power of statutory interpretation cannot be a basis of denial to the binding force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Ther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take up a positive attitude to use the power of decision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 국가의 재정 활동과 자유주의

        황도수(Do Ssu Hwang) 한국재정법학회 2024 재정법연구 Vol.10 No.-

        재정에 관한 국가 의사결정 과정의 불합리성, 그로 인한 결정 내용의 불합리성은 ‘정부실패’를 쟁점으로 제기한다. 이는 ‘시장의 실패’와 대비된다. 시장의 실패는 일부 기업의 독점적 시장지배, 부당거래, 소득분배 양극화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정부의 실패는 시장에 대한 규제와 조정이 원래 의도한 결과를 얻지 못하거나, 시장 실패를 더욱 악화시키기도 한다. 정부실패의 문제점을 강력하게 제기하고 나선 대표적인 사조가 신자유주의이다. 우리나라에서 전개되는 신자유주의는 사회국가원리, 즉 복지주의를 선언하고 있는 우리나라헌법 자체를 비판하는데 이르고 있다. 사회국가원리가 오히려 헌정질서. 국가발전에 장애라는 것이다. 현행 헌법 중 사회국가원리에 관련된 모든 조항을 폐지하는 헌법개정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헌법 제119조 제2항 이하를 모두 삭제하자고 한다. 사회국가원리와 신자유주의는 ‘자유와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신자유주의는 ‘규제와 조정이 없는 자유와 시장’을 추구하는 데 반하여, 사회국가원리는 ‘자유와 시장’이 합리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국가의 규제와 조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여기에서 ‘자유와 시장’의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이 제기된다. ‘자유와 시장’ 개념이 무엇인지, ‘자유’가 무엇이고, ‘시장’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 글은 신자유주의자들이 자주 인용하는 ‘아담 스미스의 자유와 시장’ 개념을 검토한다. The irrationality of the n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on finance and the resulting irrationality of the decision-making content raises ‘government failure’ as an issue. This contrasts with ‘market failure’. Market failure leads to monopolistic market control, unfair transactions, and polarization of income distribution. Government failure may lead to regulations and adjustments on the market not achieving the originally intended results, or may worsen market failure. Neoliberalism is a representative trend that has strongly raised the problem of government failure. The neoliberalism developing in Korea has led to criticism of the Korean Constitution itself, which declares the principle of social state and welfareism. The social-state principle is said rather an obstacle to constitutional order and national development. It argues that a constitutional amendment should be made to abolish all provisions related to the social-state principle of the current Constitution. Specifically, it is intended to delete all Article 119 (2) and below of the Constitution. The social-state principle and neoliberalism show a tremendous difference in their view of ‘freedom and market’. While neoliberalism pursues ‘freedom and market without state regulation and adjustment’, the social-state principle believes that state regulation and adjustment are necessary for ‘freedom and market’ to operate reasonably. Here, a fundamental question arises:what is the essence of ‘freedom and market’.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at the concept of ‘freedom and market’ is, what ‘freedom’ is, and what ‘market’ is. In particular,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 of ‘Adam Smith’s freedom and market’ that neoliberals often cite.

      • KCI등재

        법제도로서의 헌법변천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황도수(Do Ssu Hwang)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09 世界憲法硏究 Vol.15 No.1

        헌법변천에 관련된 종래의 논의를 살펴보면, 헌법변천을 '사회현상'으로 이해하는 견해와 '법적인 제도'로 이해하는 견해가 혼재하고 있다. 자칫 사회학적인 용어로서의 ‘헌법변천’개념이 법제도적인 용어로서의 ‘헌법변천’개념으로 여과없이 전이될 경우 충분히 검증되지 아니한 개념이 법제도로 자리매김함으로써 법체계에 혼란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이 글에서는, 헌법변천이 과연 법제도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개념인가? 아니면 헌법변천이 헌법해석, 관습헌법에 의하여 헌법의 내용이 변경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법사회적인 개념에 불과한 것인가? 헌법변천이 법제도개념이라면 헌법의 내용이 변경되는 효력을 가지는 헌법해석, 관습헌법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헌법변천이 헌법해석, 관습헌법과 구분되어 독립된 제도로 인정받을 수 있는가? 헌법변천이 헌법해석, 관습헌법과 다른 독자적인 제도로 인정될 수 있다면 그 적용영역은 무엇인가? 등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법제도로서의 헌법변천’의 성립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변화된 헌법현실을 헌법규범이 수용하여 헌법규범의 내용을 헌법현실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괴리를 해소하는 다른 법제도로서의 헌법개정, 관습헌법 및 헌법해석과 헌법변천을 비교 검토하면서, 법제도로서의 헌법변천이 독자적으로 성립될 수 있는 적용영역은 있는지 여부와 그 적용영역이 있다면 그 적용영역에 대하여 법제도로서의 헌법변천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론적으로는 헌법변천이 독자적으로 성립될 수 있는 적용영역이 있을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법제도로서의 헌법변천을 인정하게 되면, 엄청난 재앙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Unter Verfassungswandel wird ein Vorgang verstanden, in dem die Verfassung ohne Textänderung ihren Sinn ändert. Das heißt eine Entwicklung des Verfassungsrechts, in deren Folge neue Verhaltensanforderungen an die Normadressaten aus einem gleichbleibenden Text gestellt werden. Der Begriff wird häufig eher unspezifisch. Vor allem die Suche nach den Grenzen von Verfassungsauslegung, Verfassungsgewohnheitsrecht aufwirft schwierige methodische Probleme. Der Verfassungwandel hat eine Grundlag darin, daß zahlreiche Verfassungsbestimmungen einen Auslegungsspielraum haben. Und durch einen Wandel der Wertvorstellungen, welche die Verfassungsauslegung mitbestimmen, aber auch durch Veränderungen der Lebenswirklichkeit, auf die sich die Verfassungsnormen beziehen, kann sich auch deren Sinn ändern, ohne daß es hierzu einer Verfassungsrevision bedarf. In institutionalisierter Weise entwickelt sich die Verfassung durch richterliche Entscheidungen(Verfassungsauslegung) fort, vor allem durch die verfassungsgerichtliche Rechtsprechung. Und in den Lücken und Auslegungsspeilräumen der Verfassung kann sich also auf Verfassungsebene eine Rechtsfortbildung vollziehen, die sich sogar zu Verfassungsgewohnheitsrecht verfestigen kann. So entwickelt sich der Verfassungwandel nur druch Verfassungsauslegung oder Verfassungsgewohnheitsrecht als Rechtsinstitution, nicht durch den Verfassungwandel als solch. So kann der Begriff des Verfassungwandel als Rechtsinstitution nicht bestehen. Der Verfassungwandel ist nur ein descriptiver Begrif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