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소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황나경(Hwang, Na-Kyoung),정민예(Jung, Min-Y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4

        목적 :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소진의 본질을탐구함으로써 소진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6명을 대상으로 8주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자료 전사 및 주제생성과, 범주화 과정에파랑새 2.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결과 : 수집된 자료를 통해 14개의 주제, 9개의 주제모음,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소진의원인은 병원 작업치료 업무에서 오는 소진, 업무 환경에서 오는 소진 등으로 확인되었고, 소진이 개인의삶에 미치는 영향은 내면 심리변화와 타인에 대한 영향이었다. 소진에 대한 대처 전략으로는 개인 삶의풍요화, 자기 인식과 철학, 인식적 접근, 사회적 지지, 삶의 새로운 목표 설정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 반복되는 재활과정에서 오는 타성과 치료 효과에 대한 확신 부재에서 경험하는 직업 정체성 갈등을해결하고 작업치료의 가치 제고를 위한 자생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소진예방을 위한조직 차원의 규정 및 교육 프로그램 마련과 수평적인 인간관계를 지향하는 조직문화의 확립이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burnout experience of hospital occupational therapist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t hospital for 8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langsae 2.0 software to derive meaning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and data entry, coding, and topic creation. Results : From the collected data, 14 sub-themes, 9 theme clusters, 3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cause of burnout was confirmed as being due to therapy-related work and workplace conditions. The impacts of burnout on individual life were psychological in nature and also included being an adverse, influence on others. The coping strategies to deal with burnout were enrichment of personal life, self-awareness and philosophy, conscious approach, social support, and setting new goals for life. Conclusion : We suggest that spontaneous efforts are need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order to alleviate the conflicts of job identity. In addition, organizational regulations and programs and the establishment of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s are required to overcome and prevent burnout of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뇌졸중 및 노인 환자의 퇴원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황나경(Hwang, Na-Kyoung),유은영(Yoo, Eun-Young)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3

        Objective :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analyze the assessment items and tools used for the discharge of stroke and elderly patients and to help select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for discharge planning. Methods :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were collected from the PubMed, Medline Complete (EBSCOhost), and Scopus databases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8. A total 22 studies were selected. The research types, the areas and sub-areas of assessment, as well as the assessment tools according to the areas were analyzed. Results : Descriptive research (59.2%) was the most frequent type of research. The 12 main areas of assessment were medical cond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wallowing function, sensation, mobility, cognition and perception, communication, emotion, home environment, patient knowledge and readiness for discharge,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Among the assessment tools,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s were Bathel Index;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to asses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hort-Form Health Survey, to assess well-being, and Timed Up and Go test, to assess mobility. Conclusion : This study will help select the assessment areas and tools to be considered at discharge of stroke patients and serv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assessment tools for discharge planning.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시기에 이루어지는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문헌고찰을 통해 평가 항목과 평가도구들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퇴원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연구방법 : 문헌 선정은 PubMed, Medline Complete(EBSCOhost), Scopus를 사용하여 2009년 1월부터2018년 12월까지의 온라인 데이터에 등록된 연구를 대상으로 최종 22편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연구설계 및 퇴원 시 주요 평가영역, 하위영역, 평가도구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 선택된 연구들의 연구 설계 형태는 기술적 연구가 13편(59.2%)으로 가장 많았다. 퇴원 시 평가영역은 의학적 상태, 일상생활활동, 삼킴 기능, 감각, 이동성, 인지·지각, 의사소통, 감정상태, 가정환경, 환자의 지식과 퇴원을 위한 준비, 사회적지지, 안녕감 등 12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에 따라 사용된 평가도구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빈도의 사용을 보이는 평가도구는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는 Barthel Index,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안녕감을 평가하는 Short Form Health Survey, 이동성을 평가하는 Timed Up and Go test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노인 환자의 퇴원 시 이루어지는 다양한 평가 영역과 평가도구의 사용과 제한적이나 여러 영역을 포괄하는 평가도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뇌졸중 환자의 퇴원 시 고려되는 평가 영역과 효과적인 평가도구의 선택을 돕고 적절한 퇴원계획 중재와 제안을 위한 포괄적인 평가도구의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뇌졸중 재활의 조기퇴원지지(Early Supported Discharge) 서비스에 대한 고찰

        황나경(Hwang, Na-Kyoung)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0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2 No.2

        서론 : 본 연구는 조기퇴원지지 서비스와 그 효과성에 대해 고찰하고, 국내 뇌졸중 재활의료 현실에서 서비스도입의 필요성과 서비스 내 작업치료 접근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론 : 조기퇴원지지는 뇌졸중 재활의료의 체계가 선진화된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는 제도로 재활과 사회 자원에 대한 서비스를 병원에서 지역 사회 환경으로 조기 전환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경증에서 중등증 뇌졸중 환자를 서비스 대상으로 하며 환자는 조기퇴원 후 가정에서 병원과 유사한 정도의 재활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조기퇴원지지 서비스의 의학적 효과성과 개인적, 사회적 부담을 감소시키는 비용 효율적 중재임이 보고되어 왔다. 가정과 지역사회 복귀가 가능한 경증, 중등증 환자들이 지속적으로 병원 입원을 통해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국내 뇌졸중 재활의료 현실에서 조기퇴원지지서비스는 효율적 재활의 료자원 이용과 재활의료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하나의 재활의료 모델이 될 수 있다. 결론 : 향후 국내 재활의료 현실에 적합한 뇌졸중 환자의 조기퇴원지지 서비스 시범사업과 이를 통한 효과성 검증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조기퇴원지지의 근간인 가정방문재활서비스 중 현재 제도적 미비로 확립되지 못하고 있는 국내 방문작업치료 서비스에 대한 학술, 정책적 노력을 위한 논의들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Introduction : This study aimed to review early supported discharge (ESD) and its effectiveness, and present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an ESD service in the reality of domestic stroke rehabilitation medicine healthcare and the dire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es in ESD. Body : The ESD is a system implemented in various countries with advanced stroke rehabilitation medicine healthcare systems, and aims at early transition of rehabilitation and social resource services from the hospital to the community environment. It targets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troke, and these patients receive rehabilitation services similar to those at home after early discharg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ESD is a cost-effective intervention. It has medical effectiveness and reduces personal and social burdens. For patients with mild and moderate stroke can return home and to the community continuously receive rehabilitation treatment through hospital admission, ESD can be a rehabilitation healthcare model for efficient use of resources and establish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healthcare delivery systems. Conclusion : Pilot projects of ESD suitable for domestic rehabilitation medicine healthcare and studie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se projects will be needed.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discussions on academic and policy efforts for domestic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which is currently not established due to institutional deficiencies, be activated.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사의 퇴원계획 개입에 대한 실태 조사연구

        황나경(Hwang, Na-Kyoung),유은영(Yoo, Eun-Young)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본 연구는 환자의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사 개입의 필요성과 퇴원 스크리닝과 계획을 위해고려되어야할 영역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퇴원계획 실행을 위한 퇴원평가도구의 개발의 기초 자료를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 특성, 퇴원계획 현황, 퇴원평가와 퇴원계획 필요성, 총 36문항으로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티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증은 쉐페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퇴원계획과 준비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퇴원평가도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작업치료사의 퇴원 관련 지식 및 정보 보유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퇴원계획중재 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면담과 평가를 위한 적절한 수가의 부재, 퇴원계획을 위한 팀 접근의 부족, 퇴원계획을 위한 적절한 평가도구의 부재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퇴원 시 평가의 필요성이 높은영역은 낙상위험과 BADL수행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의 필요성이 낮은 영역은 안녕감과 발병 전 기능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사 개입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효과적인퇴원계획 실행을 위한 퇴원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volvement in patient discharge planning, the area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discharge screening and planning,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a discharge assessment tool. Methods :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60 occupational therapists who were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and ha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6 questions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discharge planning process and the necessity of discharge assessment and plann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nd a one-way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As for the post-hoc test, Scheffe’s test was used. Results :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 s role in discharge planning and the necessity of a discharge assessment tool were high, but the occupational therapist s awareness of discharge-related knowledge was low. The difficulties in discharge planning showed high response rate in the absence of adequate fee-for-service in the patient interview and assessment and the lack of team approach and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for discharge planning. The high-needs areas for evaluation during discharge were fall risk and BADL, and the low-needs areas were well-being and functional level prior to onset. Conclusion :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discharge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discharge planning.

      • KCI등재

        요양·재활병원 환자의 사회적 입원과 지역사회 복귀 어려움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관점 : 현상학적 연구

        김정헌(Kim, Jung-Hun),황나경(Hwang, Na-Kyoung),김종성(Kim, Jong-Sung),송영진(Song, Young-Jin),최민경(Choi, Min-Kyung),김형선(Kim, Hyung-Sun),한가람(Han, Ga-Ram)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3

        목적 : 본 연구는 재활·요양병원 환자의 사회적 입원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작업치료사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들의 관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재활 서비스 평가 도구 RSAT를 기반으로 주관식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2019년 8월 전국 3년차 이상의 작업치료들에게 설문지를 배포 및 수거하였다. 설문지의 응답자료를 van Kaam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유효 세부서술에 대해 Word cloud로 다빈도 단어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배포한 설문지는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에서 46명의 작업치료사들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설문지의 응답자료는 2개의 범주(categories)와 4개의 주제(theme), 13개의 하위주제(subtheme)로 분석되었다. 2개 범주는 ‘병원의 체계’와 ‘작업치료 임상의 내·외부적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병원의 체계’에 따른 주제는 ‘다학제 팀 접근의 어려움’과 ‘퇴원계획 체계의 미흡’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임상의 내·외부적 요인’에 따른 주제로는 ‘작업치료사의 어려움’과 ‘작업치료 실시의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들은 재활·요양병원 환자들의 지역사회 복귀가 어려운 가장 큰 원인이 합리적이지 못한 작업치료 관련 요양급여체계에 있다고 지적하였다. 퇴원 및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작업치료 서비스 체계의 미흡함 역시 환자들로 하여금 퇴원하지 못하고 결국 다시 병원으로의 입원을 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작업치료 처방 및 의료 급여 체계를 환자의 재활 목적에 맞도록 다면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social admission in Korea’s rehabilit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perspectiv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We developed a written questionnaire based on RSAT and, in August 2019, distributed it to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at the tim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van Kaam s method. Further, high frequency words were analyzed by word cloud in order to extract significant statements. Results : Forty-six written interview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areas of Korea. We analyzed the data into 2 categories, 4 themes, 13 sub-themes. The two categories were ‘hospital system’ and ‘external factors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The themes according to ‘hospital system’ wer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inadequate discharge planning system’. The themes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occupational therapy’ were analyzed as ‘difficul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difficulties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recognize that the reason for social admission is insufficient insurance system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in rehab hospitals. This leads to difficulties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We need to develop the insurance systems that can meet patient needs for social recovery.

      • KCI등재후보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Technology for Stroke Patients: tDCS, rTMS, PBM

        박지수(Park, Ji-Su),황나경(Hwang, Na-Kyoung),정영진(Jung, Young-Jin)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서론 : 최근 뇌기능 조절을 위한 다양한 뇌 기능조절 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는 가운데, 뇌졸중 환자를 위한 비침습적 뇌 자극 방법들의 기전 및 임상적 효과 그리고 사용 시 고려사항에 대한 다양한 논문이 최근 다수 출판되었다. 특히, 비침습적 뇌 자극 방법 중 임상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경두개 직류 자극, 반복적경두개 자기 자극, 광생체조절을 중심으로 최근 출판된 논문을 리뷰하였다. 본론 : 경두개 직류 자극, 반복적 경두개 자기 자극과 광생체조절은 미세 전류와 자기장 또는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뇌 활성도를 조절(대뇌피질의 흥분도를 억제 또는 증가)하는 방법으로 뇌졸중 환자의 뇌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운동기능 및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비침습적 뇌 자극 방법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여전히 불명확하며 또한 임상 적용과 관련하여 중재 기간, 강도, 적용 영역 등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부재한 실정이다. 결론 : 향후, 뇌졸중 재활을 위한 명확한 기전과 효율적인 임상 적용을 위한 다양한 동물 실험 및 추가적인 임상 연구를 통해 보다 명확한 근거와 구체적인 임상 가이드라인이 연구될 것이라 기대된다. Introduc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mechanisms, clinical effects, and considerations for the use of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methods for stroke patients. This study reviewed recently published papers focusing on tDCS, rTMS, and PBM, which are mainly used in clinical practice among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methods. Discussion : tDCS, rTMS, and PBM control brain activity (inhibit or increase cortical excitability) by stimulating the brain using micro-currents (1~2mA), magnetic field change, and near infrared radiation. As a resul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brain function in stroke patients, and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motor and cognitive functions. Nevertheless, the exact mechanism of this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method is still unclear, and clear guidelines such as the intervention period, intensity, and application area in relation to clinical application have not yet been fully developed. Conclusion :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clearer evidence and specific clinical guidelines will be studied through various animal experiments and additional clinical studies for a clear mechanism for stroke rehabilitation and efficient clin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