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태식물을 활용한 국지적 대기오염 평가 도심 개발 산림과 생물권 보전지역 사례 연구

        황규진,장의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02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8 No.2

        의정부시 도심개발 주변지역 산림을 대상으로 선태식물의분포와 대기청정도지수(IAP)를 분석한 결과, 조사지역의 IAP 는 7.0∼43.2로 나타났다. 특히,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용암산 동측 산림의 광릉숲에 위치한 St.17에서 IAP가 43.2로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이 지역이 가장 청정한 환경으로 분석되었다. IAP를 5등급으로 구분하여 아황산가스(SO2) 오염농도를 추정한 결과, St.16, St.17, St.18에서는 0.013∼0.020 ppm 으로 추정되었으며, 나머지 지점에서는 0.020∼0.030 ppm으로 나타났다. 선태식물 조사를 통해 산출한 IAP 결과와 과거의 대기질 오염농도를 비교하면 오랜 기간 동안 해당 지역 생태계에 미친 대기오염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선태식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배경농도와 특정 대기오염물질의 발생 가중농도를 모델링하여 중첩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미래 대기오염이 선태식물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지역 선태식물 분포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관속식물군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태식물을 활용한 IAP 분석은 환경영향평가에서대기오염도를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 분석은 대기오염이 식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미시생태계에미치는 2차적 영향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더 나아가 IAP 결과를 토대로 국지적인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방안 수립과 지역 맞춤형 환경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o assess local air pollution levels, bryophytes, which serve as bioindicators, were investigated in the surrounding forests of the urban development area in Uijeongbu City and the biosphere reserve area of Gwangneung Forest. Additionally, the Index of Atmosphere Purity (IAP) was analyzed. A total of 11 families and 16 taxa of bryophytes were identified at 21 survey sites in the study area. Sematophyllum subhumile was evaluated as a species resistant to air pollution due to its high dominance throughout the area. The IAP analysis resulted in values ranging from 7.0 to 43.2, with the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area recording the highest values. The SO₂ concentration estimated based on the IAP index ranged from 0.013 to 0.030 ppm. The valley area of Gwangneung Forest, located east of Yongamsan Mountain and near Suribong, was identified as the cleanest area, as it harbored a diverse array of bryophytes. By overlaying the background concentrations and pollution-weighted concentrations of specific air pollutants analyzed through bryophytes, the local impacts on bryophytes can be predicted, allowing for the forecasting of changes in the bryophyte community in the region.

      • 미국 및 영국 경찰의 재난안전 관리체계 분석을 통한 시사점

        황규진 경찰대학 공공안전학연구원 2024 공공안전학연구 Vol.4 No.1

        2022년 10.29 용산 이태원 참사 이후 경찰청은 『경찰대혁신 TF 정책제안서』(2023), 행정안전부는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2023)을 통해 개선 대책을 시행 중이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도 다중운집인파사고가 재난의 개념에 포섭되었고 다중운집 인파사고에 대한 재난안전 주관기관이 행 정안전부와 경찰청으로 규정되는 등많은 진전이있어왔다. 이와같이개선대책은 성공적이기는하나, 재난 현장에서 경찰이 권한은 거의 없는데도 책임은 가장 많이 지는 딜레마는 여전하다.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에서 경찰은 업무 보조 역할로만 명시되어 있지만, 경찰관직무집행법 제5조 위험발생의 방 지 규정에 의해 재난안전 관리에 독자적인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신속한 신고출동 시스템인 112를 갖고 있어 재난안전 관리에 실패할 경우 국민 비난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재난안전 관리에 있 어서 미국과 영국 경찰의 임무와 역할을 분석하였다. 미국 경찰은 재난 현장 통제 임무와 역할을 수행 하고 있고 영국 경찰은 관계기관의 조정 임무와 역할을 수행하며, 범죄 수사를 위한 현장 보존 및 증 거 수집 등의 역할도 수행한다. 이에 한국 경찰도 재난 현장에서 사망자 신원확인, 사망자 및 부상자 가족에게통지, 시신이동 관리의경우에는경찰이담당하는방안을제안하였다.하지만이러한재난안 전정보 업무를 경찰이 담당하게 될 경우 업무 부담이 커져 경찰 사기가 심각하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현장 경찰의 업무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중대재해처벌법의 최소 기준, 즉 1명 이상 사망 또는 2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한 경우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관계기관 실무자의 소집‧동원 권한을 갖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fter the Itaewon disaster in Yongsan on October 29, 2022, the National Police Agency is implementing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the 「Police Grand Innovation TF Policy Proposal」(2023) and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is implementing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the 「National Safety System Reorganization Policy」(2023). In the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here has been a lot of progress, such as the concept of disaster and the fact that Crowd Accidents are included in the concept of disaster, and the disaster safety agency for Crowd Accidents is defined by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Although improvement measures are successful, the dilemma remains that the police take the most responsibility even though they have little authority at the disaster site. This is because, in the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he police are specified only in the role of assistants, but they have independent responsibility for disaster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Article 5 of the Police Officer Duty Execution Act. In addition, it has a rapid reporting system of 112, so if disaster safety management fails, it faces public criticism. Accordingly, the duties and roles of the US and UK police in disaster safety management were analyzed. The US police are playing the role of disaster site control, the UK police play the role of coordination of related agencies, and the role of field preservation and evidence collection for criminal investigations. Accordingly, the Korean police also proposed a plan for the police to be in charge of identifying the dead at the disaster site, notifying the families of the dead and injured, and managing the movement of bodies. However, if Korean police may have such task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burden of work will increase and police job engagement level will be seriously reduced. In order to ease the burden on the field police, the minimum standard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that is, when one or more people are killed or two or more injured. Moreover, the police dispatched to the site may be proposed to have the authority to convene and mobilize working-level officials from related agencies.

      • KCI등재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박물관 전시전략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전시를 중심으로-

        황규진 한국박물관학회 2023 博物館學報 Vol.- No.46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is a history museum, a memorial museum, and a religious museum. It is an unprecedented museum in Korea that adds the characteristics of an art museum to this ambiguous character.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which was built at the initiative of the Catholic Diocese of Seoul, was not easy. The Catholic Archdiocese of Seoul’s long-standing efforts to commemorate the Seosomun area, a site of martyrdom for Catholic sain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first Vatican-approved international pilgrimage site in Asia, have struggled in the face of opposition to turning historical sites into sacred sites for specific religions. do. As public fund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Jung-gu are being invested, the argument that it should be a public space for all citizens, not just a space for Catholics, gained strength. Accordingly, the project that was first started under the name of ‘Seosomun Historical Site Tourism Resource Project’ was ‘Seosomun Gate’. By changing the name to ‘History and Culture Park Creation Project’, we found an architectural solution that accommodated both the history museum and the park, and at the same time accepted opposing opinion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exhibition, and recognized Catholicism as a religion rather than a religion. In addition, it was tre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transitional period in various ideological circles, and the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included in the exhibition, including Seosomun as a historical site.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purpose of being a cultural space for citizens, an arts committee was formed and an art director was appointed to regularly organize art exhibitions. A strategic choice was made to hold the poem. The exhibition of contemporary contemporary art in museums other than modern art museums is not sudden. It has often been attempted by leading planners as an evocative exhibition that provides a new perspective, and is also a form of exhibition that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it has been called a ‘transhistorical exhibition’. It is often attempted in special exhibitions in Korea as well, but it is a special case when a full-scale and professional art exhibition is held with an art director and curator in charge, such as at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Accordingly, this paper serves as a good precedent that can shed light on the future direction of museums in the new museum era, where the values of publicness and diversity must be sought, along with the background to why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adopted the unique exhibition strategy of ‘museum exhibition in a museum’. Let’s look at the exhibition contents of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and find out its significance.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은 역사박물관이면서 메모리얼 박물관이자 종교박물관이다. 이런 중의적 성격에 미술관의 성격을 더한 국내에는 전례 없는 박물관이다. 가톨릭 서울교구의 발의에 의해 건립된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의 건립과정은 수월하지 않았다. 조선후기 사형터로서 가톨릭 성인들의 순교지이자 아시아 최초의 교황청 승인 국제순례지로 지정된 서소문 일대를 기념하고자 하는 가톨릭 서울대교구의 오랜 노력은 역사 유적지를 특정 종교만을 위해 성지화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의견에 부딪혀 고전하게 된다. 서울시와 중구의 공공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가톨릭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시민 전체를 위한 공공의 공간이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되었고 이에 ‘서소문밖 역사유적지 관광자원화 사업’이란 이름으로 처음 시작된 프로젝트는 ‘서소문역사문화공원 조성사업’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역사박물관과 공원이라는 두 가지를 모두 수용한 건축적 해법을 찾아냄과 동시에 전시에 있어서도 건립과정에서의 반대의견을 수용하여 천주교를 종교가 아닌 조선후기 서학, 동학 등과 더불어 다양한 사상계의 전환기라는 관점에서 다루며 조선후기 역사를 전시에 담아 역사적 장소로서의 서소문 등을 포함하였고 시민을 위한 문화공간이라는 취지를 뚜렷하게 보여주기 위해 예술위원회를 구성하고 예술감독을 두어 정기적으로 미술기획전시를 개최하는 전략적 선택을 하였다. 현대미술관이 아닌 박물관에서의 동시대 현대미술의 전시는 갑작스러운 일은 아니다. 새로운 시각을 부여하는 환기적 전시로 앞서가는 기획자들에 의해 종종 시도되어왔으며 최근 ‘초역사적(transhistorical) 전시’라는 명칭을 얻으면서 주목받고 있는 전시 형태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도 특별전 등에서 종종 시도되고 있는데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과 같이 예술감독과 담당 학예사를 두고 본격적이고 전문적으로 미술전시를 하는 경우는 특별한 사례라고 하겠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성과 다양성의 가치를 찾아가야 하는 신박물관시대의 박물관이 나아갈 바를 밝힐 수 있는 좋은 선례로서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이 ‘박물관에서의 미술관 전시’라는 이색적인 전시전략을 채택하게 된 배경과 함께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의 전시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찾아보려고 한다.

      • KCI등재

        새로운 박물관 전시 전략으로서의개방형 수장고의 의미

        황규진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4

        Open storage created with the concept of democratization of museums or open museum, are spreading internationally, receiving positive reviews for the participation and accessibility of visitors to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In addition, major national museums in Korea are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open storage. Open storage, which emerged as a practical way to promote better access to collections by visitors, has now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for museums to attract and interest visitors. The spread of open storage is the result of efforts to show the hidden spaces of the museum that the general public has not seen before, such as the storage, laboratory, and conservation science room, which were spaces behind the stage of exhibitions. In a sense, what the museum wants to show through the open storage is not only the collection, but also the open storage itself. The open storage is a great exhibit in itself. The visual experience of being overwhelmed by the scale of the museum's collection is an awe created by humans, that allows us to measure the time and amount of the accumulated collection seen beyond the object, creating a ‘sublime’ experience that arouses fear or admirati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open storage are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education or architecture and design, so conceptual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open storage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erms of the visitors' appreciation of open stor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intentions museums are building and utilizing open storages, and to draw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museum exhibitions. 열린 박물관, 박물관의 민주화라는 개념과 함께 생겨난 개방형 수장고는 인류의 공동 문화유산에 관람객의 참여와 접근성 확대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으면서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고 주요 국내 국립박물관들도 앞 다퉈 개방형 수장고 건립을 추진 중이다. 관람객의 소장품에 대한 보다 나은 접근을 촉진하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부상하였던 개방형 수장고는 이제 박물관들의 관람객을 끌어들이고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중요 전략이 되었다. 개방형 수장고의 확산은 전시라는 무대 뒤편의 공간이었던 수장고와 연구실 보존과학실 등 일반 대중들이 그동안 보지 못했던 박물관의 숨은 공간들을 보여주고자 하는 노력의 결실이다. 어떤 의미에서 박물관이 개방형 수장고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소장품들이 아니라 개방형 수장고 자체라고 할 수 도 있겠다. 개방형 수장고는 그 자체로 하나의 훌륭한 전시물인 것이다. 박물관의 소장품 규모에 압도당하게 되는 시각적 경험은 대상(object)의 너머로 보이는 축적된 수집의 시간과 양이 가늠되는, 인간에 의해 창조된 외경(畏敬)으로 공포 또는 찬양의 감정을 불러일으켜 ‘숭고(the sublime)’의 경험으로 관람객을 이끈다. 개방형 수장고 관련 선행 연구들이 대부분 교육적 측면 혹은 건축과 디자인 관련 연구에 소수 한정되어 있어, 개방형 수장고에 대한 기능과 의미에 있어 개념적, 실천적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개방형 수장고가 관람객의 감상의 대상이라는 측면에서 박물관들이 어떤 의도로 개방형 수장고를 건립하고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국내 박물관 전시현장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집회소음 규제에 대한 미국 뉴욕경찰청(NYPD)의 제도와 연방대법원 판례 연구

        황규진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5 경찰학논총 Vol.10 No.1

        지난 2014년 7월 21일 경찰청에서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25488호)을 개정하여 집회시위 소음 규제를 강화하였으며, 개정된 기준은 10월 2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집회시위 소음규제는 헌법적 권리의 충돌이라고 할 수 있고 어떻게 하면 양자를 조화시켜야 할지에 대해서는 국민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필자가 미국 뉴욕 경찰청(NYPD)을 방문하여 수집한 자료와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연구하여 한국적 상황에 맞는 실무적인 검토를 전개하여 보았다. 미국 뉴욕의 집회시위 소음규제는 경찰기관장에게 광범위한 재량을 허용하면서도 우리나라보다 더 강력한 규제를 하고 있다. 집회시위를 개최하고자 하는 자는 집회신고를 할 때 별도의 소음허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수수료는 하루에 45$이다. 구체적인 소음기준은 없고 경찰서장이 이전의 집회에서 발생한 소음의 정도, 인근 주민의 불편사항을 등을 고려하여 집회 책임자와 협상을 통해 허가 여부를 결정한다. 미국은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위해 선택의 자유 없는 청중의 법리(captive audience doctrine)를 판례의 원칙으로 발달시켜왔으며, 헌법 판례로 확립된 정교하게 고안된(narrowly taylored) 원칙에 의거하여 헌법상 기본권을 제약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1948년 Saia v. New York 판례, 1949년 Kovacs v. Cooper 판례, 1988년 Frisby v. Schultz 판례, 1989년 Ward v. Rock Against Racism 판례를 검토하였다. 이들 판례들은 정교하게 고안된 법령이라면 헌법적 자유라 할지라도 제한할 수 있다는 원칙을 발달시켜온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집회소음 규제에 대한 판례는 나오지 않고 있지만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결론으로는 한국의 집회시위에 대한 오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보건대 경찰기관장에게 광범위한 재량권을 허용하는 것은 어렵지만, 정교하게 고안된 원칙에 근거하여 집회시위 소음을 규제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경찰법 상의 비례의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과 배치되는 부분이 있는데, 비례의 원칙이 현장에서는 적용하기가 까다로와 실효성이 적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향후 집회시위 소음 규제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되고 법률 이론이 꽃을 피워 객관적으로 계량화, 수치화된 집회시위 소음 기준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The newly amended noise restriction of the law on the assembly and the demonstration entered into force from July 22 b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 grounds for the amendment of the section of the noise restrictions are the growing civil complaints rate, ineffective measurement, the necessity of regulation in proximity to hospital and library zone. A lot of NGOs and some lawyers who organized or participated in the assembly and the demonstration argued that new standards are too extravagant to regulate the noise level of the assembly and eventually infringe the rights of free assembly. It became important to find whether the reinforced regulations are too restrictive. Therefore, I searched the legislative cases of the of the US Supreme Court. In the view of the legislation, many developed nations adopt more reinforced and specific standards for the assembly noise than that of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the methods of the regulation and measurement are excessively different, its trends are quite distinct. In the occasion of the US NYPD(New York Police Department), NYPD requests the assembly application and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respectively from the organizer of the assembly. If someone wants to organize the public assembly during 5 days, it needs to submit the assembly application once. However, the organizer should submit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5 times with a fee of 45$ per day. The police commissioner might not issue the sound device permit if the public assembly can harm the safety and peace of the place due to the noise. Therefore, the organizer negotiate sound device permit with the authority everyday. In Korea,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is included in the assembly application. If police authority issue the permit of the public assembly during one month, the organizer has the rights to use any sound device or apparatus under the regulation standards in the period of one month without no fees. On the other hand, US Supreme Court developed the time, place and manners restrictions in relation to protecting the First Amendment. These restrictions need 4 principles to evaluate the consistency with constitutionality; content-neutral, narrowly taylored, significant government interests and open alternative channels of communications. As ‘narrowly taylored’ principle is associated with the protection of privacy, ‘captive audience doctrine’ is established. The US Supreme Court held in Kovacs v. Cooper case that captive audience should not be infringed by loud and raucous noise of the public assembly. However, the Court in Frisby v. Schultz and Snyder v. Phelps cases held that captive audience doctrine must be narrowly tailored. It seems to focus on the protection of more privacy than the rights of assembl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not any specific case with the sound devices or noise of the assembly. However, there are similar principles in relation to time, place and manners. All of these related cases suggest that the amendment of noise standards in assembly does not infringe the rights of free assembly.

      • KCI등재

        참여박물관과 참여전시의 활용

        황규진 한국박물관학회 1998 博物館學報 Vol.- No.1

        유물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 교육은 이미 잘 알려진 박물관의 기능과 의의다. 선조가 물려 준 귀중한 유물을 잘 관리하여 후손에게 물려주는 것은 박물관인들의 주어진 과제이자 사명이 었다. 그러나 최근 세계 여러 박물관들에서는 특별한 움직임이 살펴지는데, 고객만족 서비스, 다 양한 교육프로그램, 문화상품개발, 마케팅 개념의 박물관 유입 등이 그것이다. 이는 단순한 시장 경제논리의 박물관 고유영역 침투가 아니라, ‘사람들을 위한 박물관’의 대상이 ‘미래의 사람들’이 아닌 ‘현재의 사람들’로 전환?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오늘날의 박물관에서 ‘관람객’ 이 란, 진지한 학문 연구인만이 그 주된 대상이 아니라 보다 폭 넓은 범주의 대중을 포함하고 있는 말이며, 많은 박물관들이 관람객과의 의사소통을 그들의 새로운 역할로서 인식하고 있다. 물론, 이런 변화는 이들 박물관이 절감한 필요성과 그들의 체험에서 오는 박물관의 무한한 잠 재력에의 믿음을 바탕으로 한다. 각 박물관들의 참여전시(Interactive Exhibit)에 집중되는 관심 역시 이러한 변화의 반영이다. 본고에서는 참여전시의 개념과 역사, 교육효과와 가치 등을 살펴보고 그 성격상 과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등 특정박물관에 집중되어 있던 참여전시의 다른 분야 박물관에의 적용, 특히 미 술박물관에의 적용과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집회시위 해산 절차의 개선방안 연구 - 경찰업무기준론의 관점에서 -

        황규진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3

        집회시위 해산 절차에 대하여 국내 규범과 국제 규범 그리고 인간 지향 경찰활동을 각각의 축으로 하는 경찰업무기준론을 도식화하고 그동안 법률이나 정책학, 사회학 등으로 흩어져있던 연구를 통합하여 보았다. 여기서 경찰업무기준을 만들겠다는논리는 경찰 자의에 의한 법집행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규범을 바탕으로 국제규범과 외국 경찰 사례, 그리고 인권 가치와 법과학/법공학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경찰의 업무기준을 세밀하게 제대로 만들겠다는 취지이며 한 걸음 더 나아가 현장에서의 법집행 분야도 발전시키는 목적도 겸하고 있다. 경찰업무기준론의 틀로 불법 집회시위 해산 절차를 검토하여 본 결과 국제법 규범에서는 ‘해산은 최후의 수단’, ‘타인의 불법행위로 전체 시위대의 집회의 자유가 침해되어서는 안된다’는 등의 선언적규정이 우리나라의 국내법규에 반영이 되지 않았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독일 경찰의집회 해산 사례를 살펴보면서 집회 해산과 위해성 장비의 사용은 불가분의 관계에있음을 알게 되었다. 인권과 법률의 조화를 위해 합법성과 비례성의 원칙을 검토하여본 결과 훈령/규칙이나 내부 지침이라 할지라도 시민의 참여 하에 공정하고 투명하게 제정되어야 한다는 사실도 배울 수 있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찾아보기는 힘들지만 과학적 연구를 통해 집회시위 관리정책의 발전 가능성을 엿봤다. 이렇게 잘게 쪼개진 개선안들을 다시 모아서 집회시위 해산에 이르는 위험 즉, 공공의안녕과 질서에 명백하게 초래된 위험 여부를 판단할 새로운 ‘평화적 집회시위 보장위원회’를 설립하여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편, 행정규칙이나 내부 지침이라 할지라도 국민의 권리에 침해를 가할 수 있는 경우라면 시민의 참여하에 공정하고 투명하게 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It needs the multi-level considerations pertaining to the procedure for the dispersal of the assembly. First of all, researcher suggests the theory of policing standards which is consisted of three axes such as the international norms, domestic norms and human-oriented policing. This theory creates the 3 dimensional space for the framework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This theory does not mean the arbitrary law enforcement in policing, but manufacture the successful and well-taylored standards for policing in detail. Then, in view of the framework of policing standards, the dispersal of the assembly in Korea has various kind of problems. Korean domestic law does not include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properly. Although Water canon is proved harmful for many participants of the assembly, its guidelines even does not include the principle of necessary minimum. The enforcement ordinances or guidelines which may infringe the people’s rights are not established by fare and transparent ways. Korean Police has made many ordinances and guidelines for the assembly discretionally. Moreover, there are very few research for the evidenced based policing. Therefore, researcher suggests that new committee should have the rights for decision of the risk evaluation in the dispersal of the assemb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civil parts should take part in the legislation procedure for the ordinances and guidelines about the assembly.

      • KCI등재후보

        문화유산활용과 지역사회프로그램 - 쿵쾅! 쿵쾅! 공룡허수아비 조형예술제 연계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황규진 한국박물관학회 2015 博物館學報 Vol.- No.29

        이 연구는 지역사회 프로그램 개발 시 문화유산을 활용하는 사례에 초점을 두어 바람직한 응용 모델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관광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심이 많아지 면서 많은 지역자치단체들이 지역문화유산을 자산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잘 설계된 문화유산활용 프로그램은 문화유산 본래의 모습을 해치지 않고도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여 지역민에게 자부심과 문화향유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역사회활성화에 이 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 사례로 경기도의 문화유산활용방안 공모로 채택된 ‘쿵쾅! 쿵쾅! 공룡허수아비 조형예술제’의 제안내용과 실제 프로그램으로 구상되어 실행되는 과정을 알아보고, 지역문화유산을 자산으로 한 지역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은 지역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지역문화 중흥을 가져올 수 있는 높은 가 능성과 가치를 가지고 있다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치안정보의 개념에 관한 연구

        황규진 경찰대학교 2009 경찰학연구 Vol.9 No.1

        The Police of the South Korea have played an important part in national security and order maintenance by intelligence operations. The intelligence operations of the police has originated in Japan's 1910-1945 rule of Korea when most policing pattern was political surveillance or watch for independent movements. After national liberation in 1945 and national foundation in 1948 police had watched politician of nongovernment parties and many student activists. Because the legacy of Japan's rule of Korea had not been eliminated and anti-communism had strengthened the intelligence operations of the police. In this thesis, I examined whether the national intelligence was different with the intelligence operations of the police and considered the countermeasure at the protection of the private information. The intelligence operations of the police is the branch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But the police's is more lawfulness than the nation's. Because the national intelligence is possible to go ahead the covert action if necessary. I indicate that the police's intelligence must specialize in order maintenance and the nation's in national security. The police's intelligence gathering and analysis is possible to violate private information by necessity: all the police's action in itself too. Accordingly the intelligence operation of the police have to be regulated in democracy and ruled in law. The scope, limits, objects, methods, procedures of policing in relation to intelligence must be provided in the law. As excessive regulation is able to shrink the diversity of the policing, the sufficient debates and scientific support is necessary. And it have to correspond with the real situation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