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회소음 규제에 대한 미국 뉴욕경찰청(NYPD)의 제도와 연방대법원 판례 연구

        황규진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5 경찰학논총 Vol.10 No.1

        지난 2014년 7월 21일 경찰청에서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25488호)을 개정하여 집회시위 소음 규제를 강화하였으며, 개정된 기준은 10월 2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집회시위 소음규제는 헌법적 권리의 충돌이라고 할 수 있고 어떻게 하면 양자를 조화시켜야 할지에 대해서는 국민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필자가 미국 뉴욕 경찰청(NYPD)을 방문하여 수집한 자료와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연구하여 한국적 상황에 맞는 실무적인 검토를 전개하여 보았다. 미국 뉴욕의 집회시위 소음규제는 경찰기관장에게 광범위한 재량을 허용하면서도 우리나라보다 더 강력한 규제를 하고 있다. 집회시위를 개최하고자 하는 자는 집회신고를 할 때 별도의 소음허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수수료는 하루에 45$이다. 구체적인 소음기준은 없고 경찰서장이 이전의 집회에서 발생한 소음의 정도, 인근 주민의 불편사항을 등을 고려하여 집회 책임자와 협상을 통해 허가 여부를 결정한다. 미국은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위해 선택의 자유 없는 청중의 법리(captive audience doctrine)를 판례의 원칙으로 발달시켜왔으며, 헌법 판례로 확립된 정교하게 고안된(narrowly taylored) 원칙에 의거하여 헌법상 기본권을 제약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1948년 Saia v. New York 판례, 1949년 Kovacs v. Cooper 판례, 1988년 Frisby v. Schultz 판례, 1989년 Ward v. Rock Against Racism 판례를 검토하였다. 이들 판례들은 정교하게 고안된 법령이라면 헌법적 자유라 할지라도 제한할 수 있다는 원칙을 발달시켜온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집회소음 규제에 대한 판례는 나오지 않고 있지만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결론으로는 한국의 집회시위에 대한 오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보건대 경찰기관장에게 광범위한 재량권을 허용하는 것은 어렵지만, 정교하게 고안된 원칙에 근거하여 집회시위 소음을 규제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경찰법 상의 비례의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과 배치되는 부분이 있는데, 비례의 원칙이 현장에서는 적용하기가 까다로와 실효성이 적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향후 집회시위 소음 규제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되고 법률 이론이 꽃을 피워 객관적으로 계량화, 수치화된 집회시위 소음 기준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The newly amended noise restriction of the law on the assembly and the demonstration entered into force from July 22 b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 grounds for the amendment of the section of the noise restrictions are the growing civil complaints rate, ineffective measurement, the necessity of regulation in proximity to hospital and library zone. A lot of NGOs and some lawyers who organized or participated in the assembly and the demonstration argued that new standards are too extravagant to regulate the noise level of the assembly and eventually infringe the rights of free assembly. It became important to find whether the reinforced regulations are too restrictive. Therefore, I searched the legislative cases of the of the US Supreme Court. In the view of the legislation, many developed nations adopt more reinforced and specific standards for the assembly noise than that of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the methods of the regulation and measurement are excessively different, its trends are quite distinct. In the occasion of the US NYPD(New York Police Department), NYPD requests the assembly application and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respectively from the organizer of the assembly. If someone wants to organize the public assembly during 5 days, it needs to submit the assembly application once. However, the organizer should submit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5 times with a fee of 45$ per day. The police commissioner might not issue the sound device permit if the public assembly can harm the safety and peace of the place due to the noise. Therefore, the organizer negotiate sound device permit with the authority everyday. In Korea,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is included in the assembly application. If police authority issue the permit of the public assembly during one month, the organizer has the rights to use any sound device or apparatus under the regulation standards in the period of one month without no fees. On the other hand, US Supreme Court developed the time, place and manners restrictions in relation to protecting the First Amendment. These restrictions need 4 principles to evaluate the consistency with constitutionality; content-neutral, narrowly taylored, significant government interests and open alternative channels of communications. As ‘narrowly taylored’ principle is associated with the protection of privacy, ‘captive audience doctrine’ is established. The US Supreme Court held in Kovacs v. Cooper case that captive audience should not be infringed by loud and raucous noise of the public assembly. However, the Court in Frisby v. Schultz and Snyder v. Phelps cases held that captive audience doctrine must be narrowly tailored. It seems to focus on the protection of more privacy than the rights of assembl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not any specific case with the sound devices or noise of the assembly. However, there are similar principles in relation to time, place and manners. All of these related cases suggest that the amendment of noise standards in assembly does not infringe the rights of free assembly.

      • KCI등재후보

        협의관리모델 분석을 통한 한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정책 연구

        황규진,김학경 한국융합보안학회 2011 융합보안 논문지 Vol.11 No.2

        미국과 유럽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은 지난 30년 동안 ‘물리력 의존 모델(Escalated Force Model)에서 협의관리모델(Negotiated Management Model)로 급진적으로 변화해왔다. 스웨덴은 2008년부터 집회시위 주최 측과 대화를 통해 질서를 유지하는 ‘대화 경찰(Dialogue Police)’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 경찰은 진압 위주의 대책을 탈피하기 위해 1999년 이무영 경찰청장이 제시한 ‘新집회․시위 관리대책’ 이후, 2010년 G20 서울 정상회의를 전후해 협의관리모델의 한 방편인 ‘합법촉진적 집회시위 관리방침’(Facilitation of Lawful Protests Model)을 시행하고 있다. 이 방침을 바탕으로 G20 서울 정상회의를 무사히 치러낸 한국 경찰의 역량은 높이 평가할만한 것이다. 하지만 한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약하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서구 경찰의 협의관리모델을 통해 합법촉진적 집회시위관리방침을 분석하였다. 그중에서도 특히 집회시위 현장에서 시위대와 협상을 담당하는 스웨덴의 대화경찰과 한국의 정보경찰에 대해 비교해 보았다. 정보경찰이 집회시위에 대한 규제가 심각하다는 시각도 있지만, 시위대와 대화를 중단하는 경우는 없으며 최근 그 협의 사항이 잘 지켜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한국적 협의관리모델이 나름대로 발달해 왔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서울 G20 정상회담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을 관찰한 뉴욕시립대 Alex S.Vitale 교수는 한국 경찰도 ‘협의관리’ 체계 속에서 운용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편, 한국과 서구의 경찰제도의 역사와 구조가 상이한데도, 대화, 협상, 조정촉진, 대안제시와 같은 갈등해결기법을 연결고리로 집회시위 관리정책이 상호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앞으로 갈등해결기법을 더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적 집회시위 관리정책의 미래로 갈등해결 촉진모델(Facilitation of Conflict Resolution Model)을 제시하였다. In Western Europe and the US, there has been a general trend over 30 years of reducing the amount of force by the police, through a paradigm shift from 'Escalated Force Model' towards 'Negotiated Management Model'. In tune with this trend, for example, the Swedish Police have implemented the uniformed 'Dialogue Police' system, in order to establish communication contact with demonstrators, before, during, and after their events. The Negotiated Management Model involves a greater respect for the rights of protesters, a more tolerant approach to community, and improved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flexibility, in order to facilitate lawful protests an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n escalation of major public disorder. The Korean National Police (KNP) appears to be operated within this negotiated management framework, since in preparation for the G20 Seoul Summit, they have also emphasized good communication between the police and protest groups, by newly creating the concept of 'Protest Policing Through Facilitation of Lawful Protes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irst attempts to analyze not only the negotiated management model, but also the Swedish dialogue police. Secondly, the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KNP's Protest Policing Through Facilitation of Lawful Protest and the Swedish dialogue police system, particularly, in conjunction with the negotiated management. Although Korean and western police have different system and history, protest policing model is now approaching with each other through a link between conflict resolution techniques, such as dialogue, negotiation, mediation and facilitation. Finally, the study is to prove if the KNP's protest policing model corresponds with the negotiated management model, and further to suggest new 'Facilitation of Conflict Resolution Model' as a desirable future of the KNP's protest policing.

      • KCI등재

        컴퓨팅 사고를 반영한 교사연수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탐색

        황규진,박영신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3

        The study explored how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computational thinking, reflected them into curriculum revision, and taught them in the classroom during longitudinal professional developed program (PDP) for nine months. Computational thinking is a new direction in educational policy-making including science education; therefore we planned to investigate participating teachers’ percep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to provide their fundamental understandings. Nine meetings, lasting about two hours each, were held wi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they developed 11 lesson plans for one unit each, as they formed new understandings about computational think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DP program while two teachers started perceiving computational thinking, revising their curriculum, and implementing it into their class for nine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was that the definition of scientific literacy as the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was extended, i.e., it refers to scientific literacy to prepare students to be creative problem solvers. Second,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lessons were divided into two stages; concept formation stage where scientific thinking is emphasized, and concept application, where computational thinking is emphasized. Thirdly, computational thinking is a cognitive thinking process, and ICT (informational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s a functional tool. Fourth, computational thinking components appear repeatedly and may not be sequential. Finally, STEAM education can be improved by utilizing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on this study, we imply that STEAM education can be activated by computational thinking when teachers are equipped with competencies of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computational thinking within the systematic PDPs, which is very essential for newly policies. 이 연구는 두 명의 초등교사가 컴퓨팅 사고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를 교육과정 재구성에 어떻게 반영하고 수업을 하게 되는지를 장기간의 걸친 교사연수과정을 통해 탐색한 것이다. 컴퓨팅 사고는 과학교육에 연계하는 새로운 교육정책 방향이기에 초등부터 나타나는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교사와의 9번의 교사회의를 가졌으며 이는 매회2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그 시기에 교수하게 될 한 단원을 각자 인식아래 재구성을 하여 11차시의 수업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자료수집은 9개월간에 걸쳐서 인터뷰, 교사회의, 수업과정안에서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는 수업 전후의교사회의를 통한 논의, 수업과정안 등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컴퓨팅 사고를 인식하면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컴퓨팅 사고의 인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 번째,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의 정의가 확장되었음을 볼 수 있다. 즉 문제인식에서부터 창의적인 문제해결자를 양성하는 것이 과학적 소양이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 과학적 사고가 강조된 개념형성단계와 컴퓨팅 사고가 강조된 개념활용단계로 수업차시를 구분하였다. 세 번째, 컴퓨팅 사고는 인지적 사고과정이며, ICT는 기능적 도구라고 인식하였다. 네 번째, 컴퓨팅 사고 요소는 중복되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순차적이지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컴퓨팅 사고의 활용을 통해 STEAM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의 실천은 STEAM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교사연수를 통해 컴퓨팅 사고 전문역량 강화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박물관 전시전략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전시를 중심으로-

        황규진 한국박물관학회 2023 博物館學報 Vol.- No.46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is a history museum, a memorial museum, and a religious museum. It is an unprecedented museum in Korea that adds the characteristics of an art museum to this ambiguous character.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which was built at the initiative of the Catholic Diocese of Seoul, was not easy. The Catholic Archdiocese of Seoul’s long-standing efforts to commemorate the Seosomun area, a site of martyrdom for Catholic sain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first Vatican-approved international pilgrimage site in Asia, have struggled in the face of opposition to turning historical sites into sacred sites for specific religions. do. As public fund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Jung-gu are being invested, the argument that it should be a public space for all citizens, not just a space for Catholics, gained strength. Accordingly, the project that was first started under the name of ‘Seosomun Historical Site Tourism Resource Project’ was ‘Seosomun Gate’. By changing the name to ‘History and Culture Park Creation Project’, we found an architectural solution that accommodated both the history museum and the park, and at the same time accepted opposing opinion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exhibition, and recognized Catholicism as a religion rather than a religion. In addition, it was tre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transitional period in various ideological circles, and the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included in the exhibition, including Seosomun as a historical site.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purpose of being a cultural space for citizens, an arts committee was formed and an art director was appointed to regularly organize art exhibitions. A strategic choice was made to hold the poem. The exhibition of contemporary contemporary art in museums other than modern art museums is not sudden. It has often been attempted by leading planners as an evocative exhibition that provides a new perspective, and is also a form of exhibition that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it has been called a ‘transhistorical exhibition’. It is often attempted in special exhibitions in Korea as well, but it is a special case when a full-scale and professional art exhibition is held with an art director and curator in charge, such as at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Accordingly, this paper serves as a good precedent that can shed light on the future direction of museums in the new museum era, where the values of publicness and diversity must be sought, along with the background to why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adopted the unique exhibition strategy of ‘museum exhibition in a museum’. Let’s look at the exhibition contents of the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and find out its significance.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은 역사박물관이면서 메모리얼 박물관이자 종교박물관이다. 이런 중의적 성격에 미술관의 성격을 더한 국내에는 전례 없는 박물관이다. 가톨릭 서울교구의 발의에 의해 건립된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의 건립과정은 수월하지 않았다. 조선후기 사형터로서 가톨릭 성인들의 순교지이자 아시아 최초의 교황청 승인 국제순례지로 지정된 서소문 일대를 기념하고자 하는 가톨릭 서울대교구의 오랜 노력은 역사 유적지를 특정 종교만을 위해 성지화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의견에 부딪혀 고전하게 된다. 서울시와 중구의 공공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가톨릭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시민 전체를 위한 공공의 공간이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되었고 이에 ‘서소문밖 역사유적지 관광자원화 사업’이란 이름으로 처음 시작된 프로젝트는 ‘서소문역사문화공원 조성사업’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역사박물관과 공원이라는 두 가지를 모두 수용한 건축적 해법을 찾아냄과 동시에 전시에 있어서도 건립과정에서의 반대의견을 수용하여 천주교를 종교가 아닌 조선후기 서학, 동학 등과 더불어 다양한 사상계의 전환기라는 관점에서 다루며 조선후기 역사를 전시에 담아 역사적 장소로서의 서소문 등을 포함하였고 시민을 위한 문화공간이라는 취지를 뚜렷하게 보여주기 위해 예술위원회를 구성하고 예술감독을 두어 정기적으로 미술기획전시를 개최하는 전략적 선택을 하였다. 현대미술관이 아닌 박물관에서의 동시대 현대미술의 전시는 갑작스러운 일은 아니다. 새로운 시각을 부여하는 환기적 전시로 앞서가는 기획자들에 의해 종종 시도되어왔으며 최근 ‘초역사적(transhistorical) 전시’라는 명칭을 얻으면서 주목받고 있는 전시 형태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도 특별전 등에서 종종 시도되고 있는데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과 같이 예술감독과 담당 학예사를 두고 본격적이고 전문적으로 미술전시를 하는 경우는 특별한 사례라고 하겠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성과 다양성의 가치를 찾아가야 하는 신박물관시대의 박물관이 나아갈 바를 밝힐 수 있는 좋은 선례로서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이 ‘박물관에서의 미술관 전시’라는 이색적인 전시전략을 채택하게 된 배경과 함께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의 전시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찾아보려고 한다.

      • KCI등재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overexpressing Human Neural Stem/Progenitor Cells Enhance Therapeutic Efficiency in Rat with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황규진,정광수,김일선,김미리,한정호,임주희,신정은,장재형,박국인 한국뇌신경과학회 2019 Experimental Neurobiology Vol.28 No.6

        Spinal cord injury (SCI) causes axonal damage and demyelination, neural cell death, and comprehensive tissue loss, resulting in devastating neurological dysfunction. Neural stem/progenitor cell (NSPCs) transplantation provides therapeutic benefits for neural repair in SCI, and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has been uncovered to have capability of stimulating axonal regeneration and remyelination after SCI. In this study, to evaluate whether GDNF would augment therapeutic effects of NSPCs for SCI, GDNF-encoding or mock adenoviral vector-transduced human NSPCs (GDNF-or Mock-hNSPCs) were transplanted into the injured thoracic spinal cords of rats at 7 days after SCI. Grafted GDNFhNSPCs showed robust engraftment, long-term survival, an extensive distribution, and increased differentiation into neurons and oligodendroglial cells. Compared with Mock-hNSPC- and vehicle-injected groups, transplantation of GDNF-hNSPCs significantly reduced lesion volume and glial scar formation, promoted neurite outgrowth, axonal regeneration and myelination, increased Schwann cell migration that contributed to the myelin repair, and improved locomotor recovery. In addition, tract tracing demonstrated that transplantation of GDNF-hNSPCs reduced significantly axonal dieback of the dorsal corticospinal tract (dCST), and increased the levels of dCST collaterals, propriospinal neurons (PSNs), and contacts between dCST collaterals and PSNs in the cervical enlargement over that of the controls. Finally grafted GDNF-hNSPCs substantially reversed the increased expression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and neuropeptide Y, and elevated expression of GABA in the injured spinal cord, which are involved in the attenuation of neuropathic pain after SCI.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plantation of GDNF-hNSPCs enhances therapeutic efficiency of hNSPCs-based cell therapy for SCI.

      • KCI등재

        둥근대이끼(산주목이끼과)의 신분포지 및 형태적 특징

        황규진,박선주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3 No.4

        Plagiothecium platyphyllum Mönk (Plagiotheciaceae), a species unrecorded previously in the moss flora of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was collected in the Surak stream of Mt. Daedun in Jeollabuk-do Wanju-gun Sanbuk-ri. This species was known to be distributed around China, Japan, North Korea, and Europ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P. platyphyllum’s leaf are ovate-lanceolate, and mostly asymmetric, 2.0~2.5 × 1.0~1.4 ㎜. The margin of the leaf is entirely below and weakly serrulated near the apex. The costae parts are double, unequal, with one branch reaching to the mid-leaf. Median leaf cells are linear-rhomboidal, 80~127 × 10~16 ㎛ and alar cells are rectangular. Central strand is developed in the core of the stem. 둥근대이끼(P. platyphyllum)는 산주목이끼과 산주목이끼속에 속하는 선류 식물이다. 중국, 일본, 유럽, 북한에 분포하고있다. 특히, 북한 지역에는 관모봉, 금강산, 묘향산, 차일봉에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남한 지역에는 2017년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대둔산 수락계곡에 자생하고 있음이 처음 확인되었다. 식물체의 색깔은 녹색에서 암녹색이고 윤기가 난다. 줄기에는 중심속이 발달해 있다. 가지는 불규칙하고, 가지잎은 편평하게 붙는다.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2.0∼2.5 × 1.0∼1.4 ㎜이며, 비대칭하는 것이 특징이다. 잎 중앙세포는 80∼127 × 10∼16 ㎛로서 형태는 장사방형이다. 본 연구에서둥근대이끼의 형태학적 기재와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의사진,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새로운 박물관 전시 전략으로서의개방형 수장고의 의미

        황규진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4

        Open storage created with the concept of democratization of museums or open museum, are spreading internationally, receiving positive reviews for the participation and accessibility of visitors to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In addition, major national museums in Korea are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open storage. Open storage, which emerged as a practical way to promote better access to collections by visitors, has now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for museums to attract and interest visitors. The spread of open storage is the result of efforts to show the hidden spaces of the museum that the general public has not seen before, such as the storage, laboratory, and conservation science room, which were spaces behind the stage of exhibitions. In a sense, what the museum wants to show through the open storage is not only the collection, but also the open storage itself. The open storage is a great exhibit in itself. The visual experience of being overwhelmed by the scale of the museum's collection is an awe created by humans, that allows us to measure the time and amount of the accumulated collection seen beyond the object, creating a ‘sublime’ experience that arouses fear or admirati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open storage are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education or architecture and design, so conceptual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open storage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erms of the visitors' appreciation of open stor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intentions museums are building and utilizing open storages, and to draw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museum exhibitions. 열린 박물관, 박물관의 민주화라는 개념과 함께 생겨난 개방형 수장고는 인류의 공동 문화유산에 관람객의 참여와 접근성 확대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으면서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고 주요 국내 국립박물관들도 앞 다퉈 개방형 수장고 건립을 추진 중이다. 관람객의 소장품에 대한 보다 나은 접근을 촉진하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부상하였던 개방형 수장고는 이제 박물관들의 관람객을 끌어들이고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중요 전략이 되었다. 개방형 수장고의 확산은 전시라는 무대 뒤편의 공간이었던 수장고와 연구실 보존과학실 등 일반 대중들이 그동안 보지 못했던 박물관의 숨은 공간들을 보여주고자 하는 노력의 결실이다. 어떤 의미에서 박물관이 개방형 수장고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소장품들이 아니라 개방형 수장고 자체라고 할 수 도 있겠다. 개방형 수장고는 그 자체로 하나의 훌륭한 전시물인 것이다. 박물관의 소장품 규모에 압도당하게 되는 시각적 경험은 대상(object)의 너머로 보이는 축적된 수집의 시간과 양이 가늠되는, 인간에 의해 창조된 외경(畏敬)으로 공포 또는 찬양의 감정을 불러일으켜 ‘숭고(the sublime)’의 경험으로 관람객을 이끈다. 개방형 수장고 관련 선행 연구들이 대부분 교육적 측면 혹은 건축과 디자인 관련 연구에 소수 한정되어 있어, 개방형 수장고에 대한 기능과 의미에 있어 개념적, 실천적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개방형 수장고가 관람객의 감상의 대상이라는 측면에서 박물관들이 어떤 의도로 개방형 수장고를 건립하고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국내 박물관 전시현장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