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윤리적 판단성향과 조직몰입이 예산슬랙에 미치는 효과

        황국재(Kook Jae Hwang),김유찬(Yoo Chan Kim) 한국경영학회 2006 경영학연구 Vol.35 No.2

        Participative budget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useful tools to solve the human problems of Top-Down budgeting. But sometimes it also causes dysfunctional human behavior like budgetary slack. To control budgetary slack, many prior researches tried to find the causes of budgetary slack. For example, in agency perspective, information asymmetry or pay- scheme was introduced in the model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dget participation and budgetary slack. In organizational contingency perspective, environmental uncertainty, management attitude or other contingencies was suggest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dget participation and budgetary slack. Although that issue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udget participation and budgetary slack showed inconsistent empirical evidences as Shields and Shields(1998) said. In accordance with Shields and Shields(1998), those results came from the fact that prior researches assumed that the budgetary slack is created by individuals’opportunistic self-interest and that their model didn’t have exact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lthough the inappropriate setting of the model is set aside, actually, prior researches exclusively focus on opportunistic self-interest assumption. Empirical evidences against this assumption are sometimes found, so consistency between budget participation and budgetary slack can be obtained by finding new tentative variables unrelated to opportunistic self-interest assumption such as ethical or organization psychological variables. Thus, it is important to add ethical or psychological variables in the current budgetary slack model because ethical or psychological factors were ignored in the design of Management Control Systems(MCS). Merchant(2003) said that personnel·cultural factors can be used to implement strategic control.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limitation of the prior researches that haven’t shown consistent empirical resul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dget participation and budgetary slack.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variables, such as ethical ideology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o examine their effects on budgetary slack. Eventually, this study emphasize the personnel·cultural control in implementing MCS.The result revealed that ethical ideology and organization commitment variabl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udget participation and budgetary slack. To construct the model for an exact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dditional analysis is performed to test existence of mediate effects. The mediate effects were not found. This result will help us to explain consist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budget participation and budgetary slack and to show the importance of personnel·cultural controls in the implementation of MCS.

      • 최고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황국재(Kookjae. Hwang),차명기(Cha Myung-Ki)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특성 중 하나인 자기과신 성향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양자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의 능력과 지위에 대한 과도한 자신감을 가지고 주요 재무적 의사결정을 하는 최고경영자는 이익조정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와 재무활동의 기업수준정도로 1998년부터 2011년 사이의 6,657개 상장법인의 기업년도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최고경영자 자기과신 성향의 측정치로는 경영자의 자기과신과 관련된 투자와 재무활동들의 기업년도 수준의 4가지인 1) 자본적 지출이 동종기업보다 많은 경우로 2) 배당률이 0 인 기업의 경우 3) (총자산성장률/매출성장률)비율이 평균성장비율보다 큰 경우를, 4) 부채비율(총부채/자본)이 평균부채비율보다 과도한 경우를 자기과신적 기업년도로 추정하였다. 또한 추가분석으로 자본적 지출이 동종기업보다 많은 경우로 현금흐름표상 투자활동 중 유형자산 취득으로 인한 유출이 전체 기업중 각각 상위 10%, 20%인 경우를 자기과신적 기업년도로 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이익조정의 측정치는 발생액모형인 수정Jones와 Kothai모형과 실물이익조정의 대용치인 Cohen and Zarowin(2008, 2010)의 방법을 근거로 실물활동 이익조정의 대용변수로 비정상 영업현금흐름, 비정상 생산원가, 비정상 판매관리비를 이용하였다. 자기과신적 최고경영자는 투자안에 낙관적인 기대를 갖는 경영자로서 과도한 투자에 따른 수익률 저조로 회계적인 이익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고 실증분석결과 발생액으로 측정한 이익조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으나, 실물이익조정에서는 대체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특성인 자기과신적 성향이 있는 기업은 과도한 투자에 따른 비효율적인 자원관리로 예상성과를 달성하지 못하여 발생액이익조정을 하나, 실물이익조정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말이나 결산시 주로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지는 발생액이익조정과는 달리 기중에 영업활동을 변경하는 가격할인, 신용정책의 완화, 과잉생산, 간접비 축소 등의 실물이익조정은 안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자기과신성향이 있는 최고경영자는 영업활동을 통한 실물이익조정이 없이 기중에 낙관적인 결과를 계속 예측하고 있고, 결산시에 자신의 예측과 다른 경영성과를 발견하고 이를 일시적으로 조정하므로 적발가능성과 기업가치측면에서 부정적인 관계가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We investigate whether firms with managerial overconfidence influence on earnings management. In our empirical tests, we first docume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roxies for the firms with managerial overconfidence overconfident CEOs and earnings management. Based on a sample of 6,657 firm-year observations of Korean listed firms from 1998 to 2011, we constructed using four of firm-level investing and financing activities that prior research has found to be related to managerial overconfidence: 1) excess investment 2) debt-to-equity ratio 3) dividend yield equal to zero 4) asset growth rate. And as a proxy of earnings management, we used a measure of modified Jones, Kothai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model. Overconfident CEOs overestimate future returns from their firms’ investments and regard their prestige as important and therefore induce trade-off relation between bad cash-flow result and accounting manipulation. Thus, we predict that overconfident CEOs will tend to be more earnings management relative to others. This asymmetric result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financial reporting of those choices by firms with overconfident CEOs should be interest to majority shareholders and rule makers , thus advancing the overconfidence, tax avoidance and financial reporting lit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기업 BSC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사례연구

        황국재(Kook Jae Hwang),강춘원(Choon Won Kang),박성환(Sung Whan Park) 한국관리회계학회 2010 관리회계연구 Vol.9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광물자원공사(Korea Resources Corporation)의 BSC 시스템 구축 및 운영사례를 분석하고 운영성과, 문제점, 그리고 향후 개선방안을 정리하였다. 한국광물자원공사는 2000년도에 BSC 개념에 입각한 성과평가 제도를 처음 도입되었으나 구체적으로 도입의 성과가 나타난 것은 2006년에 BSC IT 시스템이 구축된 이후라 할 수 있다. 공사는 조직과 개인의 성과평가결과를 인사고과 및 보상과 연계시키고 상시모니터링시스템을 통한 KPI의 설정목표와 실적의 점검 및 피드백으로 전략목표 달성의 효율성을 높여 왔다. 그럼에도 공사의 성공적인 BSC 성과관리시스템의 정착을 위해 몇 가지 해결할 과제가 지적되었다. 먼저 성과평가의 결과와 인사 및 보수제도와의 연계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지표수가 많아 업무의 장애가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차등을 의식하여 KPI의 목표를 달성가능한 수준으로 낮추어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사가 BSC 성과관리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 우선 전략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전략중심형 조직체계를 구축하고 성과주의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또한 국내외의 우수기관에 대한 벤치마킹과 일부 공기업에서 시행하고 있는 Stretch Goal 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성과관리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최근 정부의 공기업경영평가가 공기업의 중요한 이슈가 되면서 공기업의 성과평가시스템이 정부의 경영평가에 맞추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정부의 경영평가목표와 공기업의 BSC 성과관리시스템이 추구하는 목표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This case study reviews a historical adoption proces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balanced scorecard(BSC) in Korea Resources Corporation(KORES) and analyzes its operational results. Even though Korea Resources Corporation had adopted first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BSC concept in 2000, it started to have a substantive effect after KORES integrated it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to IT based BSC in 2006. Through implementation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enhancement of acceptance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KORES was able to improve achievement of its strategic goal. However, there are several issues to overcome: a weak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nd their compensation, excessive numbers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and the employees’ tendency to lower their achievement goals. Several suggestions for the KORES to improve it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re as follows. First, KORES needs to build strategy-focused organization and create the organizational cultures in which employees are willing to accept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econd, KORES needs to benchmark a successful case of leading public or private organizations to enhance the acceptability of employees on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 Third, KORES needs to adopt stretch goal system as an positive incentive system. Finally, Korea Resources Corporation needs to keep in mind the fact that objectives of Govern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sistent with those of its own BS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가 외부감사에 미친 영향

        황국재(Hwang, Kook Jae),박진모(Park, Jin Mo),김기범(Kim, Ki Beom) 한국국제회계학회 2012 국제회계연구 Vol.0 No.46

        경영자의 공격적인 회계처리로 인해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가 발생할 경우, 감사보고시차는 길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감사인이 기대감사실패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다 많은 감사자원 또는 감사시간을 투입한 결과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매 회계연도의 감사보고시차는 일정한 경향을 보임에도, 전기에 비해 당기의 의견불일치가 증가할 경우 그에 비례하여 감사보고시차는 증가하였다. 이는 의견불일치가 감사보고시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 대한 강건성 있는(robust)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의견불일치 발생 당해 연도에 비적정감사의견을 제시할 경우, 감사인은 보다 많은 감사자원 또는 감사시간을 투입하여 감사보고시차는 증가하였다. 한편, 감사인 규모가 감사보고시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감사보고시차의 증가는 경영자와 감사인간 최종협상으로 조율되는 확정이익 결정의 지연으로 귀결된다. 결국 의견불일치 발생은 공적정보인 확정이익의 공시를 지연시켜 투자자들의 사적정보에 대한 욕구를 높여 추가적 정보비용을 유발하며, 이는 의견불일치가 자본시장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관련 규제당국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경영자에 의한 가결산손익의 과대공시(또는 경영자의 공격적인 회계처리)에 대해 시장메커니즘의 후속적인 제재보다는 규제당국의 선제적인 처방이 있어야 할 것이다. Audit report lag influence the timing of accounting disclosures, and this imposes a burden of additional searching costs for private information on investors in the capital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uditor-client disagreement over financial reporting on audit report lag. We measure the auditor-client disagreement as the difference of preliminary earnings and reported earnings. The former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management and the latter, the outcome of negotiation between auditor and management. As this difference gets greater, there are more efforts needed in the audit process both auditor and management and audit report lag becomes longer. The sample is composed of the listed companies which disclose preliminary earnings. We obtained an initial sample of 2,517 preliminary earnings disclosed according to RDLC(Regulation on Disclosure of Listed Companies enforces the firms to timely disclose the material change in the net income compared with prior year) in the period 1/1/2003 to 3/31/2008, individually. We limit sample firms to non-financial firms and delete samples that were unsuitable for the empirical tests. Finally, we use 1,417 firm-year samples in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auditor and management is related positively with the audit report lag. This result supports the expectatio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auditor and management affects the audit report lag positively. Additionally accounting policy and audit opinion affect differently on the audit report lag. Management takes accounting policy aggressively, in that preliminary earnings is larger than reported earnings, audit report lag is longer. And firms with qualified, adverse, and disclaimer opinions have longer audit report lag than firms with unqulified opi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