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의 마인드셋과 인지편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화진(HwaJin Hong),이은주(Eunju Lee)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1

        본 연구는 학습자의 메타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편향의 실제와 마인드셋 성향을 확인하고, 이들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자신의 수행에 대해 정확히 예측하는 학습판단(JOL)에 대한 결과를 통해 인지평향의 실제를 확인하고, 지능과 학습능력에 대한 믿음을 나타내는 마인드셋 성향을 분석하여 이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피험자들은 성적을 과대 또는 과소 추정하는 더닝-크루거효과 등의 인지편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인지편향이 학생들의 메타인지를 방해하여 학업성취에 부적(-)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했다. 또, 학생들의 마인드셋 성향을 분석한 결과 성적이나 지능을 발전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믿는 성장 마인드셋의 성향이 강한 학생일수록 더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는 정적(+)상관의 관계를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성향인 마인드셋에 대한 인식 개선을 통한 메타인지의 향상은 인지편향을 제거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학습자 학업성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ty of cognitive biases and mindset tendencies that affect learners' metacognition, and to clarify how they affect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To this end, the reality of cognitive bias is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of learning judgment(JOL), which accurately predicts one's own performance, and the mindset tendency that represents belief in intelligence and learning ability is analyzed to determine their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s had cognitive biases such as the Dunning-Kruger effect, which overestimates or underestimates grades, and that these cognitive biases interfere with students' metacognition and negatively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mindset propensity,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ith a strong growth mindset, who believe that grades or intelligence can be developed, show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a positive (+) correl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mprovement in metacognition through improved awareness of mindset, which is a disposition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can eliminate cognitive bias, which in turn can improv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

        홍화진 ( Hwa Jin Hong ),정대영 ( Dae Young J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조사, 분석, 설계, 개발, 실시, 평가의 6단계로 구성된 음악치료 프로그램 모형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4개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자아수용 그리고 개인적 성장을 구성요인으로 하여 총 20회기로 구성되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은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형제자매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의 62%를 설명하고 있는 부모-자녀 의사소통, 정서지능 그리고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들로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형제자매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심리적 안녕감과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개발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 그리고 정서지능으로 내용이 구성되었으며,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therapy program promo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xamin its effects.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6 steps; survey,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program consists of sub-areas like parent-child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y. To test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 was made on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ir 4th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plac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consisting of 8 members. Total 20 sessions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the groups. Mann-Whitney U-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cor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whole(u=2.0, p=.001), especially even more in score for a sub-area of that well-being, that i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u=2.5, p=.001). This clearly indicates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developed here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아동 형제자매와 비장애아동 형제자매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심리적 안녕감 비교

        정대영,홍화진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형제자매와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심리적 안녕감을 비교하였다. 장애아동의 형제자매 200명과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 150명이 임의로 표집되었다. 배부된 설문지 중 328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통계분석에 적합한 282부가 최종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 심리적 안녕감에서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들 중 남자집단이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모-자녀 의사소통에서, 여자집단이 정서지능과 심리적 안녕감에서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 5학년 집단에서는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가 자아탄력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6학년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에서 장애아동의 형제자매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형제순위에서는 손위와 손아래집단 모두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가 부모-자녀 의사소통, 심리적 안녕감에서, 그리고 손위집단에서는 정서지능에서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가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andomly sampled 200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150 one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n the copies of a questionnaire form were distributed to all of the siblings. Among the distributed materials, 282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s for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male sibling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s for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especially,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ha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le, the female siblings of the former childr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siblings of the latter children. Concerning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grade, 5th-grade sibling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s for all of the variables, except ego-resiliency and 6th-grade ones of normal children were such in scor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nally, those respondents who are either younger or older than their sibling without disab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s for parent-adolescent, father-adolescent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역량의 착각이 성적예측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홍화진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focused on students' tendency to overconfidence in predicting their grades was to analyze how academic self-efficacy, a personal belief in learning ability, affects performance predic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llusion of compet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tual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lso have the same tendency to overconfidence when predicting their grades, and the Dunning-Kruger effect was also found when divided into quartiles based on actual grade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rade predi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judgment of learning, contributing to the mechanism that overconfidence students' grade prediction. The illusion of competency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tual grades, and it is much stronger than the impact of academic self-efficacy, so it is necessary to find educational ways to overcome the illusion of competenc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When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 illusion of competency is positive or negative, the regression model of the illusion of competency for actu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 only in the group that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This may suggest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 to break the illusion of competency needs to focus mainly on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s one of the ways to reduce the illusion of competency,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explicit education on learning strategies, but to encourage them to inform and utilize the benefits of retrieval practice 이 연구는 학생들이 자신의 성적을 예측할 때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자신의 학습능력에 대한 개인적 신념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성적예측 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며, 역량의 착각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실제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들에게서도 자신의 성적을 예측할 때 과신하는 경향이 동일하게 확인되었으며, 실제성적을 기준으로 사분위로 나눌 경우 더닝-크루거 효과도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적예측에 유의한 정적영향이 나타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서 학생들의 성적예측을 과신하게 하는 메커니즘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량의 착각은 실제성적에 유의한 부적영향이 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보다 훨씬 강력하여 학업성취 향상을 위해 역량의 착각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시 된다. 실제성적과 예상성적 간 차이로 나타나는 역량의 착각이 음의 값인지 양의 값인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눌 경우, 실제성적에 대한 역량의 착각의 회귀모형은 자신의 성적을 과대평가하는 그룹에게서만 유의하였으며 이는 역량의 착각을 깨뜨리기 위한 교육적 개입은 주로 학업성취가 낮은 학생들에게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 역량의 착각을 줄이는 방안 중 하나로서 학습전략에 대한 명시적인 교육을 도입하되 특히 인출연습의 유익에 대해 알리고 활용할 수 있도록 권장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8학년 소화와 순환 단원의 내용 지형도 및 교육과정 일치도 분석

        김영신,임수민,홍화진,이태상,권덕기 韓國生物敎育學會 2014 생물교육 Vol.42 No.1

        There are few researches to estimate the consistent degree among some curriculums.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find the investigation to estimate the consistent degree among planned, enacted and assessed curriculum. In these reasons the consistent degree among teacher's instructional plans, instructional practices, and educational assessments and between students' educational practices and educational assessments were analyzed with "Digestion and Circulation" unit for 8th graders. For this,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31 teachers and 488 students of 8th grade and collected the data related to teachers' instructional plans and educational assessment on this. The objectives of each subject for ‘digestion and circulation’ chapters were categorized, based on Bloom's 6 types of recognition levels. The consistent degree index and content maps were prepared.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inconsistent and different points: First, there was the inconsistent degree among teachers' instructional plans, instructional practices, and educational assessment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required recognition levels and plans, practices, and assessments. Third, there was the inconsistent degree between the recognition levels required from teachers and students learned.

      • KCI등재

        RAPD를 이용한 겨자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

        오영희(Yung hee Oh),문성기(Sung Gi Moon),채양희(Yang Hee Chae),홍화진(Hwa Jin Hong),조철민(Min Cheol Cho),박소혜(So Hye Park),허만규(Man Kyu Huh)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0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겨자 17집단에 대한 유전적 다양도와 집단구조를 조사하였다. 60개의 다형성 좌위와 18개 단형성 좌위가 발견되었다. 다형성 밴드의 비율은 전남 진도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재배종이 가장 낮았다. 대립유전자좌위의 수는 1.221이였으며 유효한 대립유전자좌위의 수는 1.167이였다. 이 종의 전형적인 집단은 작고 격리되어 낮은 유전적 다양도를 가지고 있었다. 전체 다양도는 0.347이였으며 집단 내 다양도는 0.141이였다. 집단간 분화를 나타내는 척도는 0.589였다. 아는 58.9%의 다양도가 집단간에 있음을 시사한다. 세대 간 이주하는 개체수는 0.617로 낮았다. RAPD는 겨자 집단을 구분하는데 유익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17 Brassica juncea populations in Korea. The technique o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produced 60 polymorphic loci and 18 monomorphic loci. In a simple measure of intraspecies variability by the percentage of polymorphic bands, the Jindo population of Cheonnam showed the highest (29.5%). The cultivar exhibited the lowest variation (12.8%). Mean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 and the effectiv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E) were 1.221 and 1.167, respectively. As the typical populations of this species were small, isolated, and patchily distributed in their natural populations, they maintained a low level of genetic diversity of fourteen primers. On a per locus basis, total genetic diversity values (HT) and interlocus variation in the within-population genetic diversity (HS) were 0.347 and 0.141, respectively. On a per-locus basis, the proportion of total genetic variation due to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GST) was 0.589. This indicated that about 58.9% of the total variation was among populations. The estimate of gene flow, based on GST, was very low among Korean populations of B. juncea (Nm=0.617).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eological distance dispersal of wild B. juncea is the best event. RAPD markers are very effective in classifying natural population levels of B. juncea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