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행위성에 관한 기능적 조망

        홍현태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6 영어영문학 Vol.15 No.2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도구격으로 취급되어 왔던, 주어위치의 도구격을 행위자격으로 봐야 한다는 기능론적인 관점(functional perspective)에서 접근하였다. 특히 무생물 주어진 경우에 있어서의 기존 전통적인 접근법의 한계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무생물 주어의 속성을 살펴 봄으로써, 오히려 무생물 주어(inanimate subject)가 해당 문장에서, 원형적인 생물주어의 행위자격이 갖추고 있는 최소한의 타당성의 속성인, 사건의 결과에 대한 책임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생물 주어가 with-phrase와 함께 쓰이기 위해서는, 주어가 with-phrase에 대한 통제성을 인정받는 것이 타성성의 최소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통제성은, 부분-전체의 관계(Part-whole relationship)과 연계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이 관계가 of-status()를 확보할 때 행위자격성(agentivity)가 높아지며, with-phrase에 대한 무생물 주어의 통제력(controllability)과 포함성(containability)의 관계가 적어진는 to-status를 갖게 될 때, 무생물 주어가 with-phrase를 동반할 경우 비문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부분-전체의 관계의 강도(intensity)가 상승할 수록 무생물 주어가 with-phrase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위 사실로 보아, 주어와 행위자격성과 관련하여서, 격이 언어적 표층과 매우 유사한 속성을 갖는다는 면에서, 부분적으로, 도상성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본다.

      • 영어의 사역구문

        홍현태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9 영어영문학 Vol.18 No.1

        본 논문은 영어의 사역구문(conative constructions)를 살펴봄으로써, 영어의 도상적 현상을 파악하려 하였다. 영어의 타동사의 경우 접촉(contact)과 동작(motion)이라는 두 개의 전제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에만 사역적 문장대치(conative alternation)를 허용하며, 이때 전치사 'at' 혹은 'on'과 함께 쓰여서, 동사의 동작(action)이 실제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주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동작의 시도된(attempted) 의미만을 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은 영어에 있어서, 문장의 장형(long form)과 단형(short form)의 의미적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단형일 경우 의미와 동작의 구체적(concrete)이며 직접적인(direct)의 의미를 담고 있어서 행위의 완료성을 부가시키고 현저화시키는데 반해서, 장형은 구체성과 직접성이 떨어지므로 동작의 완료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영어에 있어서의 거리(distance)와 복합성(complexity)의 원리(principles of iconicity)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논문에서는 영어의 구조와 의미의 관계가 임의적(arbitrary)인 것이 아니며, 상호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는 비임의성(non-arbitrariness), 즉 형태(form)와 의미(meaning)의 도상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고 본다.

      • 심리동사와 행위자성

        홍현태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8 영어영문학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무생물 주어의 행위자성에 대한 한계 및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도구성 주어를 바탕으로 심리동사를 취하는 경험자성 주어가 갖는 행위자성의 성격을 파악하려 하였다. 우선, 행위자성을 지배하는 동사의 제약 즉 주어의 행위의 본질에 기초한 제약을 살펴보았다. 첫째, 심의제약에서는 창의적 활동과 같은 복잡한 사고가 요구되는 동사를 갖는 무생물주어의 문장은 비문이 된다. 둘째, 의미적포화제약은 명사구의 통사적 기능은 이러한 기능의 전형적 자질을 그 명사구에 부여하게 된다는, 즉 어떤 주어진 주체가 주어로서 인식될 경우 다른 동사적 기능의 다른 명사구 보다 행위자성을 더 많이 갖는 것으로 인식된다. 셋째, 매개의 제약은 무생물 주어가 통제성의 자질을 갖는다고 해서 행위를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없으므로 도구성의 with-구를 갖을 수 없다. 또한, 주어의 기능제약에 해당하는 통제성과 그것을 구성하는 결정소로서 첫째, 복잡성의 제약은 복잡한 기능의 무생물 주어는 좀더 복잡한 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둘째, 필수성의 제약은 무생물주어가 활동을 주요한 자질 즉 필수적인 자질을 갖고 있는 경우 적법한 문장이 될 수 있다. 셋째, 독자성의 제약은 인간 행위자의 관여없이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무생물 주어만을 허용하게 된다. 그리고 독자성의 제약과 유사한 제약으로 인간행위자와 독립적으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을 수록 더 많은 통제성을 갖게된다는 현저성의 제약이 있다. 그러므로, 통제성의 제약을 부분적으로 만족시키는 심리동사의 경험자성의 주어도 비원형적인 행위자성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비원형적인 행위자성을 주어가 갖기 위한 조건들을 만족시키는한 도구성의 주어나 경험자성의 주어조차도 문법적인 범주를 벗어나지않고 해우이자성을 갖는 주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고 본다.

      • The Meaning of at : A study of an English preposition

        Hong, Hyun-Tae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4 영어영문학 Vol.- No.13

        본 논문에서는 전치사 at의 의미와 용법을 인지문법(Cognitive Grammar)의 틀을 근간으로 고찰하였다. 지금까지 영어의 전치사와 관련한 통사론적 접근 방법에서 기능어로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다루어져 왔으나, 오히려 각각의 전치사는 다양한 용법에서 추출 가능한 공통적인 자질을 가지며, 이는 각각의 전치사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의미, 즉 원형적인 의미가 되며, 그러한 공통적인 자질은 시간적, 공간적, 추상적인 관계에 원형적인 의미로 또는 확장된 의미로 적용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이러한 문법적인 요소들이 가지는 의미적 다양성이 개별적 의미의 나열이 아니라 체계적인 상관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치사 at을 네개의 유형군으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 at의 원형적인 의미로서 척도상의 한 점을 나타낸다. 이것은 장소가 특히 공간적인 의미로서의 한 점으로 이해되는 전형적인 경우인 것이다. 둘째, 비원형적인 유형중의 첫번째는 기능과 역할이며, 이것은 상호적인 관계가 유지되는 경우이다. 셋째, 두번째 비원형적인 의미는 둘째의 경우와 유사한 자극과 반응의 관계 를 나타낸다. 넷째, 세번째, 비원형적인 의미는 반복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요약하면, 전치사 at의 원형적 의미와 비원형적 의미가 보여주는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상호적인 관계가 유지되는 근접성'이라는 공통적인 의미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전치사 at의 예를 통하여 볼때, 공통적 의미자질을 공유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at의 여러가지 문법적인 예들이 동질적인 집단을 구성하며, 이러한 여러가지의 of의 문법적인 실현이 다름아닌 명확한 경우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통사적인 접근 방법으로는 단지 수의적인 삽입에 의한 것으로 설명할 수 밖에 없었던 부분들을, Chomsky의 통사적 접근법에 대한 현실적 대안으로서, 인지적인 접근 방법을 통하여 분석해 봄으로써, 전치사가 표현내에서 담당하고 있는 적극적인, 의미적 기여를 효과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sych-Verbs and Agentivity

        Hong, Hyun-Tae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8 영어영문학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무생물 주어의 행위자성에 대한 한계 및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도구성 주어를 바탕으로 심리동사를 취하는 경험자성 주어가 갖는 행위자성의 성격을 파악하려 하였다. 우선, 행위자성을 지배하는 동사의 제약 즉 주어의 행위의 본질에 기초한 제 약을 살펴보았다. 첫째, 심의제약에서는 창의적 활동과 같은 복잡한 사고가 요구되는 동사를 갖는 무생물주어의 문장은 비문이 된다. 둘째, 의미적포화제약은 명사구의 통사적 기능은 이러한 기능의 전형적 자질을 그 명사구에 부여하게 된다는, 즉 어떤 주어진 주체가 주어로서 인식될 경우 다른 통사적 기능의 다른 명사구 보다 행위자성을 더 많이 갖는 것으로 인식된다. 셋째, 매개의 제약은 무생물 주어가 통제성의 자질을 갖는다고 해서 행위를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없으므로 도구성의 with-구를 갖을 수 없다. 또한, 주어의 기능제약에 해당하는 통제성과 그것을 구성하는 결정소로서 첫째, 복잡성의 제약은 복잡한 기능의 무생물주어는 좀더 복잡한 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둘째, 필수성의 제약은 무생물주어가 활동의 주요한 자질 즉 필수적인 자질을 갖고 있는 경우 적법한 문장이 될 수 있다. 셋째, 독자성의 제약은 인간 행위자의 관여없이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무생물 주어만을 허용하게 된다. 그리고 독자성의 제약과 유사한 제약으로 인간행위자와 독립적으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을 수록 더 탈은 통제성을 갖게된다는 현저성의 제약이 있다. 그러므로, 통제성의 제약을 부분적으로 만족시키는 심리동사의 경험자성의 주어도 비원형적인 행위자성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비원형적인 행위자성을 주어가 갖기 위한 조건들을 만족시키는한 도구성의 주어나 경험자성의 주어조차도 문법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행위자성을 갖는 주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본다.

      • A FUNCTIONAL PERSPECTIVE ON AGENTIVITY

        Hong, Hyun-Tae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6 영어영문학 Vol.15 No.2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으로 도구격으로 취급되어 왔던 주어위치의 도구격을 행위자격으로 봐야 한다는 기능론적인 관점(functional porspective)에서 접근하였다. 특히 무생물 주어인 경우에 있어서의 기존 전통적인 접근법의 한계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무생물 주어의 속성을 살펴 봄으로써, 오히려 무생물주어(inanimate subject)가 해당 문장에서 원형적인 생물주어의 행위자격이 갖추고 있는 최소한의 타당성의 속성인 사건의 결과에 대한 책임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생물 주어가 with-phrase와 함께 쓰이기 위해서는 주어가 With-phrase에 대한 통제성을 인정받는 것이 타성성의 최소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통제성은 부분-전체의 관계(Part-whole relationship)과 연계해서 해석 되어야 하며, 이 관계가 of-status를 확보할 때 행위자격성(agentivity)가 높아지며, with-phrase에 대한 무생물 주어의 통제력(controllability)과 포함성(contain-ability)의 관계가 적어지는 to-status를 갖게 될 때, 무생물 주어가 with-phrase를 동반할 경우 비문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부분-전체의관계의 강도(intensity)가 상승할 수록 무생물 주어가 u·ith-phrase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위 사실로 보아. 주어와 행위자격성과 관련하여서. 격이 언어적 표층과 매우 유사한 속성을 갖는다는 면에서. 부분적으로. 도상성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고 본다.

      • English Conative Construction

        Hong, Hyuntae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9 영어영문학 Vol.18 No.1

        본 논문은 영어의 사역구문(conative construction)를 살펴봄으로써, 영어의 도상적 현상을 파악하려 하였다. 영어의 타동사의 경우 접촉(contact)과 동잔motion)이라는 두 개의 전제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에만 사역적 문장대치(conative alternation)를 허용하며, 이때 전치사 'at' 혹은 'on'과 함께 쓰여서, 동사의 동작(action)이 실제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주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동작의 시도된(attempted) 의미만을 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은 영어에 있어서, 문장의 장형(long form)과 단형(short form)의 의미적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단형일 경우 의미와 동작의 구체적(concrete)이며 직접적인(direct)의 의미를 담고 있어서 행위의 완료성을 부가시키고 현저화시키는데 반해서, 장형은 구체성과 직접성이 떨어지므로 동작의 완료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는 영어에 있어서의 거리(distance)와 복합성(complexity)의 원리(principles of iconicity)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논문에서는 영어의 구조와 의미의 관계가 임의적(arbitrary)인 것이 아니며, 상호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는 비임의성(non-arbitrariness), 즉 형태(form)와 의미(meaning)의 도상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고 본다.

      • KCI등재

        지역축제에 대한 유인요인이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함석종(Seok Jong Ham),홍현태(Hyun Tae Hong),고동욱(Dong Wook Ko) 한국관광연구학회 2009 관광연구저널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arious factors on the satisfaction and revisiting tendency of tourists visiting festivals in Gangwon province, especially the Mt. Taebaek Snow Festival. To execute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ampling group through a simple random sampling.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Frequency analysis for the characteristics of samples and factors, and factor analysis for reliability and feasibility were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d covariance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output factors. The findings suggest that first, the festival contents and convenience facilit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visitors` satisfaction, but not on their repeat visits. This means that the festival satisfaction may not result in tourist repeat visits and linked tours. It also indicates that the tourist satisfaction needs to be increased into repeat visits through more variety, amusement, experience programs, and local culture understanding because the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a crucial factor closely related to repeat visits. Second, travel expenses and accessibility seemed to have no effects on tourist satisfaction and repeat visits. Finally, the program development, support from local citizens, festival image promotion are considered essential for the festival success in increasing local citizens` harmony and ec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