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중심의 지역사회개발 실천연구

        홍현미라(Hong Hyun Mee Ra)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5

        본 연구는 포괄적 지역사회계획 관점을 적용하여 아동중심의 지역사회개발 실천의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구룡포 마을(어촌)과 가능1동 마을(도시)에서 아동중심의 지역사회개발 실천경험을 가지고 있는 6명의 사회복지사이고 이들을 대상으로 FGI방법을 사용하였다. 발견된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CCIs 초기 단계에서 지역사회 사정기술이 중요하였다. 둘째, 어촌지역 실천에 있어서 현지화 전략이 유용하였다. 셋째, 빈곤한 아동의 부모를 조직화 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연구와는 달리 어촌마울에서의 아동중심의 지역사회개발 실천의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Applying the perspective of Comprehensive Community Initiatives (CCIs),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community development practice for children.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is qulitative research study collected data from six social workers in Guryonpo-village(fishing village) and Ganeong 1-dong village(city village), all of whom have experience in community development practice for childre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o be important to access the community in the initial stage of CCIs. Second, indigenization strategies were useful for the fishing community. Third, it was important to organize parents of children in poverty. Lastly, the community development practice was more successful in the fishing village than in the city village.

      • KCI등재
      • KCI등재

        저소득 가구의 현금자산형성의 주관적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홍현미라 ( Hyun Mee Ra H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4

        Using in depth interviews with phenomenological method, we explored subjective meaning of a participant assets-building program for low-income famil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6 families who consisted of 30 low-income and low-wealth families in participating asset-building program. Findings indicate that we can find out a criteria of classify among low-income families. That are single mom family, single father family and grandparent family, and normal family. It could be useful to evaluate the policy of assets-build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역실행연구(CBR)1)에 의한 지역아웃리치(Community Outreach) 실천분석

        홍현미라(Hong Hyun-Mee-Ra)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4

        본 연구는 농촌지역사회에 대한 지역아웃리치를 실천하는 사례를 대상으로 지역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재구성한 실행계획 중 지역아웃리치의 성과는 첫째, 서비스 전달체계의 변화, 둘째, 자원동원, 셋째, 주민조직화 및 옹호활동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실행계획에 의한 실천결과 지역아웃리치의 절차를 지역사회 들어가기, 지역사회 뿌리내리기, 사업의 이양과 종결하기로 도출하였다. 또한 재구성된 실천결과를 분석해서 발견한 지역아웃리치의 함의는 첫째, 지역아웃리치 접근법은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로부터 단절ㆍ고립된 농촌지역 을 발견하고 그 곳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지역아웃리치 접근법은 복지 소외지역사회와 일반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실천이다. 셋째, 지역아웃리치 접근법은 복지 소외지역을 위한 사회자본의 재구조화를 촉진하는 함의를 지닌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한다. 첫째, 농어촌이동복지관 사업 법령 제정과 전달체계 마련, 둘째, 사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셋째, 의료 전문직 전달체계와의 연계 시급, 넷째, 농어촌 형 사회복지전달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Using a method of Community-Based Research, Reconstructed action plaining for community change within the rural community is to mobilize and develop community resources, to develop and change community service delivery system, to communicate on community issues and advocac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community outreach, its utility is finding some needy client within the lack of resources absolutely. Secondly, one is linking communities between a poor community and a wealthy community. Finally, one is building initiative social capital. Th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policy for rural community should built up service delivery system. It needs for local government to maintain community change by financial support. It has to link social welfare system and medical system.

      • KCI등재

        아동의 동네 안전(Neighborhood Safety)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홍현미라(Hyun Mee Ra Hong)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2

        본 연구는 아동의 동네 안전 경험에 관한 총체적 이해를 통해 아동의 동네 안전에 대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아동의 관점에서 연구 참여 아동의 동네 안전이라는 실존적 경험에서 발견한 아동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필요한 아동 동네 안전 지원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포토보이스 방법과 그룹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에 재학하는 학생 6명이다.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는 저소득층 지역의 동네에서 3명, 중산층 지역의 동네에서 2명, 신도시 지역의 동네에서 1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네 개의 주제와 스물다섯 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토포-필리아의 발견, 익숙한 생활 장소’이다. 아동은 오랜 시간 익숙하게 생활한 곳에서 안전함을 느꼈다. 두 번째 주제는 ‘사회적으로 마련된 동네의 안전시설과 안전장치’의 존재였다. 아동은 동네의 안전시설 및 장치의 존재 여부에 따라 안전하다고 인식하였다. 세 번째 주제는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웃의 존재’였다. 아동은 이웃의 존재 여부에서 동네 안전을 경험하였다. 마지막 주제는 ‘자기 보호(self-preservation)를 강구함’ 이었다. 아동은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스스로를 보호한 경험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중 첫 번째 주제(‘토포-필리아의 발견, 익숙한 생활 장소’)와 세 번째 주제(‘보호해 줄 수 있는 이웃의 존재’), 그리고 마지막 주제(‘자기 보호를 강구함’)는 기존 연구에서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발견으로 아동의 동네 안전 정책 및 실천, 그리고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동의 동네 안전 연구의 제기와 토포-필리아적 요소를 반영한 실천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한다. 또한 아동 안전 정책설계 시 이웃 관계망 활용과 아동 안전 생활환경 반경의 확대, 그리고 안전장치 설치의 확대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동네 안전 연구의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실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설계에 기여할 것이다. This paper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holistic-understanding on the experiences of children of neighborhood safety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and design social policy related to their safety. In children’s perspective, this paper may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alternative on safe support for children through analyzing their existential experiences. Using photo-voice method, this paper is based on group interview method with six individuals who file ages between 4th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y have lived in Seoul City and Kyung-gi District. For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research participants come from low-income, middle class and new urban neighborhood of community. As a result, four topics and 25 sub-topics are as follows. First topic is ‘discovering topos-philia, familiar living places’. Children have felt safety at familiar places. Second thing is ‘socially arranged safety devices and facilities’. Children have perceived socially arranged safety devices and facilities in their neighborhood as a safety area. Third topic is ‘being neighbors to protect’. Children had safety experiences when they were with neighbors. Last thing is ‘seeking self-preservation’. Children always have tried to protect self according to one’s own standards. The first thing(‘discovering topos-philia, familiar living places’) and third thing(‘being neighbors to protect’) and last thing(‘seeking self-preservation’) among above topics are new findings. Three findings give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to design social policy and program on neighborhood safety for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some practical suggestions, research on neighborhood safety for children, developing safety program based on topos-philia, using those who has social networks, extending radius of their life and safety devices within their neighbors, are provided for neighborhood safety for children. In this context, this paper would be established to research, program and social policy for neighborhood safety for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동네무질서(Neighborhood Disorder)’개념 및 측정도구 탐색

        홍현미라(Hong Hyun Mee Ra)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동네무질서 현상은 미시적으로는 우울이나 불안, 무력감과 같은 심리적 고통을, 중시적으로는 거주자 간의 불안감 조성 및 비공식적 통제의 약화, 그리고 이주 증가의 사회문제를 수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동네무질서 현상에 착목하여, 연구목적을 동네무질서에 대한 개념 및 측정 도구를 탐색하는 것으로 하였다. 즉, 전문가와 문헌고찰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 그 척도를 통계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구성타당도를 확보하고 세부적인 요인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동네무질서의 개념 및 측정 도구 논의는 국내·외 논문을 기반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 측정 도구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위해 국내·외에서 사용 빈도와 평가 측면에서 가장 높이 평가되고 있는 Ross와 Mirowsky(1999)의 ‘인지된 동네무질서 척도’를 선택하였다. 선택한 척도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저소득층 지역, 영구임대아파트지역, 상권지역, 그리고 중산층지역에서 각각 표집하여 서울시 거주민 798명으로부터 하였다. 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사와 타당성 검증(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네무질서 개념고찰에서는 동네무질서는 물리적 측면만이 아니라 사회적 측면도 포함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선택한 척도에 대한 실증 분석결과는 신뢰도(α=.844)와 타당도가 적절하였다. 셋째, 타당도 검증에서 원척도와 달리 문항 수는 12문항, 요인구조는 2-요인구조, 즉 ‘무질서’요인과 ‘질서’요인인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구사회의 동네무질서의 인지에 있어서 동네무질서 발현공간 중심(물리적·사회적 공간)이었다면, 한국의 경우 무질서와 질서의 존재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네무질서 척도개발의 기초자료로서의 유용성을 지닌다. 아동이나 노인 및 장애인 등의 취약계층의 안전을 담보하고 보호할 수 있는 실천과 정책개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범죄예방을 위한 지역 지표 개발에도 유용할 것이다. Neighborhood disorder phenomenon may negatively affect residents’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 anxiety, powerlessness and increases fear among residents, weakens informal social control, contributes to emigration. While focusing on neighborhood disorder phenomenon which could be threaten residents’ safety, this paper explores discussing the concept and scales of neighborhood disorder. In other word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and verify content and construct validity, factor structure through statistic analysis in Korea based on the experience data. Discussing the concept and scales of neighborhood disorder wa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was used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by Ross and Mirowsky(1999) which was empirically verified in domestic and abroad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and evaluation. For this purpose, 798 cases are selected from four types of Seoul City that are low-income area, permanent rental apartment area, commercial area, middle class area. The stages of validation are included reliability test(chronbach a coefficient) and validation test(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firstly, the concepts of neighborhood disorder included both social and physical disorder. Secondly, the scale was appropriate in reliability(α=.844) and validity for the total scale. Thirdly, This scale included 12 final items and 2-factor structure(disorder and order factor).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the concept of neighborhood disorder’s factors are physical space and social space in western society. In this paper, however, existence of disorder or order in their neighborhood could be more important factor in Korea. This results would be useful to develop scale of neighborhood disorder as a fundamental knowledge. And this study results could be develop effective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for safety and care of minority such as children, elderly people and disabled. Furthermore, this results would be useful to develop regional indicators for crime pre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