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굿 청신장단의 양상과 변화

        홍태한 ( Teahan H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1

        이 글은 서울굿 청신 장단의 양상을 살펴본 후 그 무속적 의미를 제시한 글이다. 아울러 청신 장단의 변화상을 살펴보면서 그것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고민했다. 먼저 이 글에서는 서울굿의 청신장단으로 청배장단, 굿거리장단, 자진모리장단, 만세받이장단, 상산장단이 개별 굿거리에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각의 장단이 어떤 무속적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폈다. 이에 따라 청배장단은 신령을 나열하면서 굿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가 있음을, 굿거리장단은 개별신령을 청하면서 굿거리를 구분하는 기능이 있음을, 상산장단은 특별한 신령으로 상산신령을 청하는 기능이 있음을, 만수받이장단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기능이 있음을, 자진모리장단은 군웅거리와 성주거리가 결합된 흔적을 보여준다는 의미를 제시했다. 끝으로 서울굿의 청신장단이 단순화되고 축소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서울굿 환경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민속의 변화상을 바라보는 관점 정립이 필요하다고 했다.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shamanistic implications based on the pattern of Seoul-gut Cheongshin rhythm. Along with it, I have looked into changes in Cheongshin rhythm with deep thoughts on what approaches should be made to properly understand them. First, this article has investigated how various rhythms, including Cheongbae rhythm, Gutgeori rhythm, Jajinmori rhythm, Mansebaji rhythm and Sangsan rhythm are used in individual gut events as Cheongshin rhythm of Seoul-gut and then what shamanistic implications each rhythm bears. In this respect, I have identified various functions of individual rhythms: Cheongbae rhythm notifies the beginning of gut, Gutgeori rhythm differentiates Gutgeoris while seeking individual gods, Sangsan rhythm calls for Sangsan god with special spirit, Mansubaji rhythm assigns special meanings, Jajinmori rhythm indicates the trace of combining Gunwoong-gory amd Seongju-gory. Last but not lease, Cheongshin rhythm of Seoul-gut tends to be simplified and minimized, which is attributed to the changing environment of Seoul-gut, and a proper viewpoint of looking at changes of tradition needs be established.

      • KCI등재

        남강 김태곤 선생의 현장 중심 연구 방법의 성과와 의의

        홍태한(Hong Teahan) 한국민속학회 2023 韓國民俗學 Vol.77 No.-

        이 글은 한국민속학회에서 해방 후 한국민속학회 첫걸음 기획 발표의 하나로 이루어진 성과물로, 한국 무속연구의 길잡이가 된 남강 김태곤 선생의 연구 성과를 살핀 글이다. 이 글에서는 남강 선생의 현장 중심 연구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성과를 정리하였다. 남강 선생은 전국 무당굿의 양상과 무당의 특징에 주목하고, 그것이 무가로 어떻게 표현되는가에 집중하였다. 이 결과 무당의 유형이나 전국 무당굿의 판도는 드러났지만 무당굿이 가지고 있는 제의성 이외의 특성이나, 무당을 둘러싼 굿판의 환경과 재가집과의 다양한 관계는 드러나지 않았다. 남강 선생은 현장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무당의 유형, 신의 종류와 계통 구분, 무속 제의의 유형 구분, 무속신화의 유형을 귀납적으로 정리한다.. 무속 신앙의 결과물로 모든 것을 바라보고, 그러한 인식을 무속인의 관념으로 파악하여 나름의 기준을 제시한 후 현장 사례를 그대로 가져온다. 분류 기준의 모호함이나 구분된 자료 배치의 이상에 대해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나름의 기준을 명확히 세우고 그에 맞춰 구분의 틀과 명칭을 정립한 후 그에 부응하는 자료나 사례를 배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남강 선생은 현장에 존재하는 자료의 양상에 중점을 두었다. 연역론으로 기준을 정립하였지만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 있어 그동안의 조사 결과를 귀납론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처럼 남강 선생의 연구에는 현장 중심, 무속 신앙 중심, 무속인 중심이 일관되게 자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무속을 바라보는 이론으로 ‘원본 이론’을 정립하였지만 후대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Namgang Kim Tae-gon who was a guide to Korean shamanism research as one of the results of the first planning and presentation of the Korean Folk Association carried out by the Korean Folk Association after the emancipation. This article arranges the results focusing on Namgang’s field-riented research method. Namgang paid attention to the aspects of shamanistic Gut and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s across the country and focused on how it was expressed in shaman songs. As a result, the types of shamans or the aspects of shamanistic Gut across the country could be discovered;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istic Gut other than ritual aspects, the environment of Gut surrounding the shamans, or diverse relationships with the clients have not been revealed. Focusing on the field while studying, Namgang organizes inductively the types of shamans, the types or lines of the gods, the types of shamanic rituals, and the types of shamanic myths. Looking at everything through the result of shamanistic faith and understanding such perception as the shaman’s notion, he presents his own standards and brings the cases of the field as they are. There may be controversy over the ambiguity of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r oddness in the arrangement of the data classified. It is also possible to place data or cases correspondingly after setting up the criteria clearly and then establishing the framework for the classification and names accordingly. However, Namgang focused on the aspects of the data that were present in the field. Although the standards were established through deductive theory, there could be certain limitations, so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ccumulated until then were arranged through inductive theory. Therefore, Namgang’s research is field-oriented, shamanistic faith-oriented, and shaman-oriented consistently. Based on that, he established ‘the theory of the original’ to look at Korean shamanism, but it failed to be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 KCI등재

        한국 무속 별상과 별성 신령의 성격과 의미

        홍태한(Hong Teahan)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9

        이 글은 성격이 다른 호구별상과 장군별상이 왜 동일한 계통의 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는가를 규명한 글이다. 이글을 통해 호구별상과 장군별상은 서로 다른 신령인데, 여러 가지 원인으로 혼란이 일어나게 되었다고 했다. 장군별상은 별상이었고, 호구별상은 별성이었다. 이 둘은 무신도에 나타난 모양이나, 굿거리에 등장하는 복색, 굿거리에서의 역할 등을 고려할 때 명확하게 구분되는 신령이다. 서울굿의 장군별상이 무장신이라면, 경기굿의 별상은 전염병신이어서 서울굿의 호구와 상통한다. 이둘은 이름의 유사성으로 혼란이 와서 호구별상, 호구별성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아울러 장군별상, 호구별상, 사신별상이 동일한 굿거리에 함께 등장할 수 있게 되어 성격이 다른 여러 신령이 같은 성격의 신령으로 여기게 된 것이다. 아울러 개별 굿거리에 변화가 있으면서 장군별상의 성격이 더욱 혼란스러워진다. 과거에는 〈호구거리〉와 〈별상거리〉가 별도로 존재하고 있어서 신령의 성격이 서로 다른 것임을 알 수 있지만, 〈호구거리〉가 〈불사거리〉의 부속거리로 바뀌면서 호구신령은 주요 굿거리에서 사라지게 되고, 장군별상만 주요 굿거리에 남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혀 다른 성격의 호구별상과 장군별상의 구분에 혼란이 오게 되었다. In this paper, I identified the reason that Hogu Byeolsang and Janggun Byeolseong was regarded as the same kind of lineage gods. Through this paper, I thought that they were actually different each other before several reasons led to confusion. Janggun Byeolsang was Byeolsang and Hogu Byeolseong was Byeolseong. Two of these are different obviously considering appearance in a military official picture, costumes in a gut geo-ri and a role in a gut geo-ri. Janggun Byeolsang of Seoul gut was an armed god and Byeolsang of Gyeonggi was a god of small pox. Therefore, Hogu of Seoul gut has something in common. Two of them led to a confusion with similarity of names and they have been called various names. Also, Janggun Byeolsang, Hogu Byeolsang, Sasin Byeolsang have appeared in the same gut geori. As a result , various gods with different character have been regarded as the same character. As an individual gut geori has changed, the character of Janggun Byeolsang has been into confusion. In the past, it was possible to distinguish different character from other gods ,because Hogu geori and Byeolsang geori existed respectively. With changing Hogu geori into attachment of geori , Hogu disappeared in the main gut geori and only Janggun Byeolsang remained. According to this, distinguishing Janggun Byeolsang from Hogu Byeolsang with different character has fallen into a disorder.

      • KCI등재

        기획논문1- 주제: <주제: 한국무형문화재와 공연문화> : 부여 백제수륙재의 전통과 역사

        홍태한 ( Teahan H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이 글은 부여에서 해마다 열리는 백제문화재에서 설행된 부여 백제수륙재의 전통과 역사를 살핀 글이다. 부여는 과거부터 수륙재의 여러 의례집이 간행된 곳이고, 부여 무량사를 중심으로 하여 범패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전통을 바탕으로 하여 60년 전부터 백제의 고혼을 위로하고 삼천궁녀들을 위무하기 위해 백제문화재가 거행되면서 수륙재가 함께 시작되었다. 특히 다른 지역의 수륙재와 달리 강상에서 행해지는 수륙재라는 특징이 있다. 의례집이 여러 차례 간행되었고, 독자적인 범패 교육까지 이루어진부여 지역은 수륙재가 오랫 동안 전승된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한 역사적 전통이 있었기 때문에 백제문화제가 거행되면서 위무의식으로 수륙재가 봉행된 것이다. 아울러 부여 백제수륙재는 독특한 특징도 가지고 있다. 주민들의 자발적인 발의로 시작된 부여 백제수륙재는 현존하는 유일의 수상수륙재로 위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재차 구성을 넘어서서 재차를 연행하는 장소의 변화에 따라 상당한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60년의 뚜렷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면서, 전통성과 지역성, 역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부여 백제수륙재이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Baekjesooryukjae(Sooryukjae, one of the Buddhist ritual is called Baekjesooryukjae in Buyeo), which is conducted in Baekje Cultural Festival, the annual festival that is held in Buyeo. Buyeo was a place where various ritual books on Sooryukjae were published, and where Bumpae(Buddhist chants) were taught centering on Mooryang Temple. Based on this tradition, to comfort the lonely spirit of Baekje and pacify the three thousand court ladies, Sooryukjae started to be held 60 years ago. Baekjesooryukjae, unlike Sooryukjae of other regions, have the feature that it is held on the river. In Buyeo, where ritual books were published many times and where there was its own Buyeo education, Sooryukjae is assumed to have been handed down for a long time. Thanks to such historical tradition, Sooryukjae was held as a ritual of pacification in Baekje Cultural Festival. Baekjesooryukjae has unique characteristics. Baekjesooryukjae, which started with the proposal of the residents, shows off its status as the one and only water Sooryukjae that is currently existent, and it shows there are significa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hanging venues of 재차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재차. It is a Sooryukjae with 60 year-long tradition and locality, history.

      • 무형유산의 계승과 확산 방안 모색-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홍태한(Hong Teahan) 무형유산학회 2019 무형유산학 Vol.4 No.1

        이 글은 무형유산의 계승과 확산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라남도의 경우를 사례로 살핀 글이다. 무형유산의 계승은 과거에서 이어진 무형유산을 지금 현재에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것이고, 확산은 무형유산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가치를 확산하는 것이다. 계승 방법으로는 무형문화재 지정 범주에 따라 전수교육 및 연계교육이 달라져야 하고, 생업과 긴밀한 관련을 가진 종목은 생업과의 관련이 드러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아울러 현재 지정된 무형문화재 개별 종목의 실상과 전승 양상을 온전하게 기록한 간행물 작성이 필요하다. 온전한 전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별 종목 공개 행사의 점검 강화 및 내실화도 필요하다. 확산을 위해서는 범위가 넓어진 무형문화재 지정 범주를 잘 살펴 새로 추가된 영역에 대한 집중 조사가 필요하다.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실시한 무형유산 도시 사업, 농경 어로 조사 사업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조사도 필요하다. 아울러 아카이브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설정하고 새로운 개념을 정립한 후 아카이브 구축에 나서야 한다. 아카이브를 단순하게 자료적인 성격에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디지털 헤리티지라는 인식 전환도 필요하다. 최근 있었던 곡성죽동농악 아카이브 구축 사례를 제시했는데 이러한 시도가 확산되기를 바란다. 전라남도 무형유산 종합 조사 실시, 전남 무형유산 아카이브 구축 가능 목록 작성이 가장 시급한 일임을 알고 꾸준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promote succession and dissemi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focus on Jeollanamdo. The succe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fers to an act of sustaining and passing dow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while the dissemination refers to an act of disseminating and spreading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granting new meanings to it. When it comes to the method of succession,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education on succession and the 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the extent of designat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to seek ways to hav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igned with occupations for a living if applicable.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a document that fully describes the present status and succession pattern of thos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 effort to facilitate dissemi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include inspections on the extended scope of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th focus on the newly added area as well as new surveys bas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rban project and the agricultural & fishery inspection project led by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he effort should extend to raising awareness of archives, setting up new concepts, and building the archiv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focus of such archive should be shifted from preparing simple data storage to building a digital heritage. The study has introduced an exemplary case study of building an archive for Gokseong Jukdong nongak (or traditional Korean music performed by farmers), which should disseminate into building more comparable archives. A consistent effort should be made with the highest priority placed on comprehensive surveys on Jeollanam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making a list of items subject to building the Jeollanam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e.

      • KCI등재

        계측 단위의 전통지식으로의 가치

        홍태한(Hong Teahan)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2 No.-

        이 글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전통지식 중에서 계측 단위의 양상과 의미를 살핀 글이다. 길이, 무게, 부피, 넓이 등의 계측 단위는 우리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특히 사물을 세는 단위는 사물의 생태나 상태를 고려하여 붙인 것이 많아 전통지식으로의 가치가 있다, 그런 점에서 계측 단위는 누적된 경험의 전승이고 기호로 된 질서라 할 수 있다. 아울러 계측 단위는 신체, 사물의 생태와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존재 단위이고, 사물의 획득과 가공과 연계되어 인간의 활동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계측 단위는 인간과 생태의 연결, 획득과 가공이라는 활동의 표현이라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전통지식으로서 계측단위는 다음과 같이 개념화된다. 계측 단위는 경험을 기반으로 한 전통의 체계로 존재하면서 존재에 대한 인식의 기준이 되고, 인간과 생태의 연결, 획득과 가공의 인간 활동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계측 단위를 전국적으로 수집할 필요가 있고 생태, 생업과 연계하여 의미망을 다각도로 도출할 필요가 있다. 계측 단위에 대한 연구는 산업 구조, 생업 주기, 농경 어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심화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계측 단위에 대한 조사는 단독으로 이뤄질 것이 아니라 생업과 농경 어로 조사와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계측 단위가 사용된 다양한 구비전승, 속담이나 수수께끼, 관용어 등도 함께 살펴야 할 것이다. 전통 지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그것이 무형문화재 지정 범주의 하나로 자리잡고는 있지만, 계측 단위에 대한 지식이 무형문화재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이를 통해 가치를 부여하고 제도권에서 의미를 부여한 무형문화재의 기저에는 우리 생활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현상으로의 민속이 있다는 인식은 확산될 수 있다. 무형문화재 제도는 민속 활용의 한 사례이다. 국가에서 설정한 제도로 가치 부여 정도로 의미를 단순화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민속에 관심을 갖고 조사를 진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계측 단위의 의미를 살펴야 하는 이유이다. This article observed the aspects and meanings of measurement units in traditional knowledge, which is recently receiving a lot of interest. Measurement units such as length, weight, volume, and area show us diverse aspects as they can easily be accessed in our lives. In particular, many units that count objects are attached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y or conditions of objects, thus having value as traditional knowledge. From this point, measurement units can be considered the transmission of accumulated experiences and order in the form of symbols. In addition, measurement units are units of existence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ecology of the body and objects and they are connected to the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objects, forming close associations with human activity. Measurement units have a system that connect humans and ecology and they are the expression of the activities of acquisition and processing. Therefore, measurement units as traditional knowledge can be conceptualized in the following manner. Measurement units exist as systems of tradition based on experience, become standards for perceptions on existence, and are a means of expressing the connection of humans and ecology and the human activities of acquisition and processing. Such measurement units must be collected on a national scale and semantic networks should be deduced from multiple angles in connection with ecology and vocations. Research on measurement units can be intensified through studies on industrial structures, occupational cycles, and agriculture and fishery. From this aspect, surveys on measurement units should not be conducted independently but together with surveys on trade, agriculture, and fishery. Further, observations should also be made on various forms of oral transmissions, proverbs and riddles, and idioms in which measurement units are used. Interest in traditional knowledge is growing and while it is solidifying its place as a part of a category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t will be difficult for knowledge on measurement units to become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However, through this, perceptions can spread that folklore exists as a phenomenon that is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at the bas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at have granted meaning and value to formal sectors.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a case of folklore utilization. Meanings can be simplified as value is granted by state-established system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research must be conducted with interest in diverse folklore for such value to be granted. This is why the meanings of measurement units must be observed.

      • KCI등재

        고양시 도내동도당굿 현장 보고

        홍태한(Hong Teahan)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1

        이 글은 경기도 고양시 도내동에 있는 도당굿의 모습을 보고한 글이다. 도당할아버지, 할머니를 주신으로 모시는 도내동도당굿은 2월 그믐에 날을 잡으며 시작한다. 마을 뒷산에 있는 소나무를 당목으로 모셔 천막을 치고 도당굿을 연행한다. 현재 당주무당은 김용희로 대를 이어 도당굿을 담당해왔다. 이 글에서는 도내동 도당굿의 굿거리 절차를 상세하게 기록하여 이해의 폭을 넓혔다. 도내동도당굿은 〈부정가망〉, 〈군웅거리의 사냥놀이〉가 남아있어 과거 경기도 북부의 도당굿의 모습이 어떠한지를 알려준다. 고양시에 도내동도당굿이 있음으로 인해, 서울 서북부에 남아있는 도당굿의 분포가 경기 북부까지 확장될 여지가 있게 되었다. 이 글은 2010년에 연행된 도내동도당굿의 모습을 그래도 기록한 답사노트이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격적인 연구논문을 쓸 것을 앞으로의 과제로 제시한다. This reported the form of Dodang gut in Donaedong, Goyangsi, Gyeonggi-do. Dodang gut ,which worship Dodang grand parents, set a date on the last day of February and started. They keep the fine tree on the hill in back of the village as a Dang tree and perform Dodang gut. Kim Young Hee, the present Dangju shaman, carried on a family line and is in charg of Dodang gut. This report showed the procedure of gut geo-ri of Dodang gut in Donaedong and broadened and deepened understanding. Dodang gut of Donaedong showed the form of old Dodang gut in the northen Gyeonggi-do because Bujeong Gamang and Hunting game of Gunung geo-ri are still remainging. Through existence of Donaedong Dodang gut, its range has expanded up to the northen Gyeonggi-do. I described Donaedong Dodang gut performed in 2010 as it is in this report. I suggest writing a full-scale paper based on this report.

      • 서울 강북지역 부군당을 통해 본 부군당 신앙의 의미

        홍태한(Hong, Teahan) 서울민속학회 2017 서울민속학 Vol.- No.4

        이 논문은 서울 강북지역에 소재한 부군당의 모습을 살핀 후 다른 지역의 부군당과 연계하여 부군당 신앙의 의미를 다시 조명한 글이다. 그동안 서울의 부군당은 한강변에 주로 위치해있으며 부군을 신령으로 받드는 신앙으로 알려졌지만, 강북 지역 부군당은 그렇지 않다. 강북 지역 부군당은 한강변이 아닌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신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서울 한강변 부군당과는 다르다. 서울을 제외한 다른 여러 지역에 위치한 부군당의 모습을 살핀 결과 한강변 부군당과는 역시 다르다. 전라, 경상, 충청 지역에도 부군당이 있었고 현재는 강화군 교동도에 부군당이 남아있다. 아울러 20세기 초반까지 남한강변인 양근에서 관청 중심으로 부군당 의례가 거행되었음이 보인다. 그동안 서울 한강 중심에서 부군당의 연원을 바라보았는데 이제는 좀 더 다양한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에 여러 지역에 부군당이 있었고, 20세기 초반까지 양근에서 부군당굿을 연행했음을 고려하면 부군당이 관아와 관련이 있으면서도 일반 백성들이 참가할 수 있는 의례였음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부군당 신앙에 관심을 가진 무속학자들은 과거의 다양한 기록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강북지역 부군당은 그동안 부군당을 바라보는 관점에 변화가 있어야 함을 알려준다. 한강변 부군당과는 성격이 사뭇 다른 부군당이 존재하고 있음은, 부군당 신앙의 연원 및 변화를 단선적으로 바라보아서는 안된다는 의미이다. 여기에 다른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부군당에 대한 자세한 내용 탐구가 이루어진다면 부군당 신앙 전체를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Bugundang located in Seoul’s Gangbuk area and then figure out the meaning of Bugundang beliefs again in connection to Bugundang in different regions. So far, Seoul’s Bugundang has been known as beliefs to worship Bugun as a god mostly located around the Han River; however, Bugundang in Gangbuk area is not like that. Bugundang in Gangbuk’s area is not located near the Han River and closely related to mountainous gods, so it is differently characterized from Bugundang near the Han River in Seou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aspects of Bugundang located in other areas than Seoul, they are not like Bugundang located around the Han River, either. There are Bugundang in Jeolla, Gyeongsang, and Chungcheong, too, and presently, Gyodong-do of Ganghwa-gun also has Bugundang. Furthermore, we can find that up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ritual of Bugundang was held around the government offices in Yanggeun, the area near the Namhan River. So far, we have studied the origin of Bugundang around the Han River in Seoul but should broaden our horizons to it from now on. Considering the fact that Bugundang was found in many regions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Bugundang-gut was performed in Yanggeun of Gyeonggi-do up to the early 20th century, we should take note of the point that Bugundang was related to the government offices and was ritual ordinary people could also participate in. Particularly, scholars of shamanism interested in Bugundang beliefs should pay attention to many diffident records left from the past. Bugundang in Gangbuk area tells us that we should change the viewpoint we have had about Bugundang. There are Bugundang differently characterized by those near the Han River. It implies that we should not look at the origin and change of Bugundang beliefs unidirectionally. If we explore Bugundang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in detail, we will be able to see the entire aspects of Bugundang beliefs in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인천 굿의 양상과 특징, 그리고 변화

        홍태한(Hong Teahan) 한국무속학회 2007 한국무속학 Vol.0 No.14

        이 글은 인천굿의 양상과 변화, 그리고 특징을 고찰한 글이다. 이 글에서는 인천굿의 양상을 내륙굿, 해안굿, 화랭이굿으로 나눈 후 각각의 특성과 변화상을 살폈다. 인천이 가지고 있는 해안과 내륙의 관련성으로 인해 이처럼 다양한 굿이 존재했다. 최근에는 황해도굿이 들어와 인천 무속의 큰 흐름을 잡고 있다. 특히 황해도굿은 월남한 황해도민을 주 대상으로 하면서 저변을 확대하여 여러 굿이 무형문화재로 지정 되어 활발하게 활동한다. 인천굿은 1990년대를 들어오면서 큰 변화를 보였다. 해안굿이 강화고창굿을 제외하고 모두 사라지게 되고 그 자리를 황해도굿이 들어갔다. 화랭이굿도 사라져 그만큼 굿의 다양성이 줄었다. 여기에 서울굿이 급속하게 전파됨에 따라 갈수록 인천 고유의 굿은 보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상을 통해 인천의 역동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인천이 가진 변화의 물결이 그대로 굿문화에 들어와 빠른 변화를 초래한 것이다. 다양한 굿들이 혼재하고 있어 오히려 문화의 역동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고, 이에 따라 변화의 물살 속에 서울굿과 황해도굿이 가장 큰 흐름을 가지면서 공존하게 되었다. 역동성이 오히려 다양성을 해친 것은 비단 인천굿만은 아닐 것이다. 한국 문화의 보편적인 현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 feature and change in Incheongut. The following are the detailed problems and the finding of the study. It shares Incheongut at three and it researches : Nearukgut(performing gut in the inland), Haeangut(performing gut in the seashore), Hwarengigut(performing gut by heredity shaman in the Incheon). The Naryukgut disappeared, the Seoulgut substitution entered in that place. Also the Haeangut all disappeared, the Hwanghaegut substitution entered in that place, only Gochanggut survived barely in Kangwha. This the variety disappears, became the standardization is intention. The incheon with because the culture has the activity, it means that the many change happens. The society changes and the culture changes, it means that also the gut changes with this effect. The gut comes to be many, also the culture comes to be many and also the activity comes to be high, it wears a vigor. The Seoulgut and the Hwangheagut existed together in this process and they developed. The activity removed the variety and the steadiness brought, and it is universal actual condition of Korean culture. It presents the features which the incheongut changes with the table. 〈Past〉(표참조) 〈Present〉(표참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