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질 조사료의 보충과 황토의 첨가수준이 한우의 성장성적, 육질 등급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홍중산,이홍구,이보균,김준식,최윤재,김윤학,김명국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2 한국축산학회지 Vol.44 No.1

        본 연구는 6개월령의 한우 36두를 이용하여 양질 조사료의 보충(rice straw;RT, rice straw+cubed roughage;RCT)과 황토의 첨가수준(0%, 1%, 2% 황토)이 생산성, 육질 및 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기간동안 볏짚에 양질 조사료의 보충 (cubed roughage, RCT)은 볏짚단독 처리(RT)에 비하여 일당증체, 사료효율 및 출하체중에서 각각 10%, 6.8%, 8.2%로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P<0.05), 황토의 첨가는 한우의 성장성적에 뚜렷한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2%의 첨가수준은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육질 및 경제성 분석에서는 RCT구는 뚜렷한 개선효과를 보였지만, RT구에서는 황토 1%에서만 첨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CT구에서는 1%, 2% 모두가 0%에 비하여 보다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한우 비육에 있어서 황토의 첨가는 성장성적에는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육질과 경제적 효과에서는 1%의 첨가는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고급육 생산을 위한 황토의 첨가시에는 양질의 조사료 보충이 경제적 효과성을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high quality cubed roughage and red clay (0%, 1%, 2%)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economical benefits. Thirty-six 6 month-old Korean native cattle, averaging 156㎏ of BW, were assigned to six groups in a 2 (rice straw : RT, rice straw+cubed roughage : RCT)× 3 (0, 1, 2% red clay).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e high quality cubed roughage added into rice straw treatment (RCT) was superior to the only rice straw treatment (RT) on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 and final weight 10%, 6.8%, 8.2% (P<0.05) respectively. But the addition of red clay did not affect and even 2% addition decreased those parameters. For meat quality and economical analysis, the addition of high quality cubed roughage made an outstanding result and for RT treatment, only 1% red clay indicated good effects while both 1% and 2% red clay were better than 0% for RCT treatment. From these results, it is assumed that the addition of red clay for fattening Korean native cattle has no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but 1% treatment has good results on improving meat quality and economical benefits. It also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high quality roughage and concentrated red clay is beneficial for producing high quality meat in with economical benefits.

      • KCI등재

        홀스타인 수소에 있어서 Chromium Picolinate 의 첨가가 성장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홍중산,김명국,김윤학,한승은,이홍구,이현준,최윤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2 한국축산학회지 Vol.44 No.4

        본 시험은 성장단계별로 서로 다른 수준의 CrP를 첨가하여 성장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Ⅰ에서 일당증체, 일당건물섭취량 및 사료효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액성상에서 혈장 Glucose와 PUN의 농도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혈중 인슐린의 농도는 0.05% CrP첨가구가 대조구의 2배되는 1.47ng/㎖ 인데 반하여 혈중 NEFA의 농도는 59.00 mEq/㎗ 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이는 인슐린이 농도의 증가 및 인슐린의 활성의 증가로 인하여 지방합성대사가 활발히 진행된 결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도체분석결과가 뒷받침 해주고 있는데 비록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지만 0.05% CrP 첨가구에서는 첫 60일간, 0.025% CrP 첨가구에서는 첫 120일간 대조구보다 우수한 성적을 나타냈다. 혈장 Glucose와 PUN의 농도에는 영향이 없었다.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지만 혈 중 인슐린의 농도는 0.025% CrP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8.88% 높은 1.35ng/㎖로 나타났고 0.05% CrP 첨가구는 오히려 1.13ng/㎖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NEFA의 농도는 시험 Ⅰ에서와 같은 차이는 없었지만 CrP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고 등지방두께는 일정한 변화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hromium picolinate(CrP)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plasma components in Holstein bulls. In trial Ⅰ, eight finishing Holstein bulls(300±6.99㎏) were allocated to 2 treatments(control and 0.05% CrP) with 4 replication for 10-months. In results, growth performance was not affected by CrP addition. The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in 0.05% CrP group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f Holstein bulls. The levels of plasma NEF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59.00 mEq/㎗ with 0.05% CrP treatment(P<0.05), but the levels of plasma glucose and PUN were not altered by 0.05% CrP treatment. The grade of carcass was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0.05% CrP group, but back fat thickness in 0.05%, CrP group was increased in 22.33%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trial 2, fifteen growing-finishing Holstein bulls(160±4.63㎏) were allocated to 3 treatments(control, 0.025% CrP and 0.05% CrP) with 5 replication for 14-months. During the overall experimental period, growth performance was not affected by CrP levels. The levels of hormone and metabolites were not affected by CrP supplementati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rP may have no effects for beef cattle production because of degradation of CrP conjugation in the rumen. However treatment of short term provide a possibility the effects of development for lipogenesis.

      • KCI등재

        반추가축영양 : 발효 미역부산물이 반추위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홍중산 ( Zhong Shan Hong ),이홍구 ( Hong Gu Lee ),이철호 ( Zhe Hu Lee ),김영성 ( Yong Cheng Jin ),이상범 ( Sang Bum Lee ),강한석 ( Han Sck Kang ),최윤재 ( Yun Jaie Choi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4

        DS-01 균주 접종에 의한 미역부산물 발효산물이 분해 정도, 영양소 변화 및 미생물오염 정도에 관한 관찰과 반추위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미역부산물의 저장성 확보와 반추동물의 사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발효단계에 따라 조사하였다. DS-01 균주와 함께 배양된 미역부산물은 발효 1개월부터 현저한 분해율을 보이기 시작했다. 미역부산물중의 영양성분 함량은 발효와 함께 커다란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모든 처리에서 반추동물에 병원성을 가지는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In vitro 실험에서는 발효시간 및 첨가농도에 따른 pH 변화, 암모니아태 질소와 휘발성지방산의 생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pH의 경우 6% FBSW는 1개월 및 2개월 발효조건에서 대조구, 2% 및 4% FBSW 보다 pH 값이 증가한 것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1개월 FBSW 경우 실험 3시간 경과 후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지만 시간이 경과에 따라 대조구보다 감소한 경향을 보인다. 2개월 FBSW의 경우 4% 첨가량만 24시간 경과 후 타 처리구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전 발효기간 동안 6% FBSW 처리구가 발효 3시간과 24시간 경과 후 타 처리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지방산의 경우 발효 1개월 미역부산물의 4, 6% FBSW 첨가구가 6시간 경과 후 총 VFA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p<0.05), 발효 2개월 미역부산물의 2, 4% FBSW 첨가구가 9시간 경과 후 총 VFA 농도가 6% FBSW 첨가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p<0.0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own seaweed waste (BSW) fermented with DS-01 microbe on in vitro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In in vitro trial, three different diets supplemented with 2%, 4%, 6% BSW fermented with DS-01 either for one month or two months was tested at 3 h, 6 h, 9 h, 12 h, and 24 h incubation. The chemical composition (CP, EE, CF, and ash) between brown seaweed waste (BSW) and fermented BSW (FBSW) were not different. The contamination of pathogenic microbes was not detected in FBSW. The pH value tended to be higher with 6% level of supplementation of FBSW for one month than other treatments. The pH at 24 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BSW than that of treatments without FBSW (p<0.05). In FBSW for two months, the pH value in 6% FBSW at 3 h in vitro fermentation tended to be higher than 2% or 4% FBSW treatments (p=0.0540),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ther fermentation times.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NH3-N of BSW fermented for one month was higher than control at 3h (p<0.05), the volatile fatty acid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4 and 6% FBSW fermented for one month at 6 h incubation (p<0.05). In BSW fermented for two months, the volatile fatty acid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6% treatment at 9h (p<0.05). As a result of in vitro trial, it was recommended that the 2~4% supplementation level of brown seaweed waste fermented with DS-01 microbe for two months could be utilized for in vivo trial in ruminants.

      • KCI등재

        미역부산물의 첨가가 홀스타인 비유우의 비유성적과 내분비생리에 미치는 영향

        이홍구,홍중산,이철호,허성웅,김훈,김명국,이현준,최낙진,고태송,최윤재,Lee, H.G.,Hong, Z.S.,Li, Z.H.,Xu, C.X.,Jin, X.,Jin, M.G.,Lee, H.J.,Choi, N.J.,Koh, T.S.,Choi, Yun-Jaie 한국축산학회 2005 한국축산학회지 Vol.47 No.4

        본 시험은 미역분말의 첨가가 홀스타인 젖소의 유생산과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기초사료에 미역분말을 1일 두당 800g 수준으로 급여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사료건물섭취량은 처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고 비유말기 산유량은 대조구에 비해 일일 6.25kg 이나 많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하지만 유성분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조구의 체세포수는 유동적이었지만 처리구의 체세포수는 시험 종료 시 $10^5$개/ml로 시험개시에 비해 무려 53.77%의 감소효과를 보여 탁월한 체세포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미역분말의 첨가가 혈중 면역글로부린의 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IGF-1의 혈장농도는 미역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비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또 다른 호르몬인 $T_3$ 와 $T_4$의 농도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지질대사산물인 TC, HDL-C와 LDL-C의 농도는 모두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미역부산물의 사료 중 첨가는 유생산량의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혈중 비유관련 호르몬의 분비에 영향을 준 결과로 확인된 바 젖소사료자원으로서의 응용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brown seaweed waste(BSW) supplementation on milk production and related endocrine response in serum in Holstein dairy cows. A total of 14 Holstein dairy cows(initial mean live weight 625kg, average lactation days 225, Reproduction 2.4)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control(basal diet) and treatment groups (4% BSW/basal diet) with 7 replications for 90 days. Dry matter intake was not affected by brown seaweed waste supplementation, but daily milk yield(kg) at the last experiment significantly increased (6.25kg) in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p<0.05) at the last experiment. The plasma insulin-like growth factor(IGF)-1, triiodothyronine($T_3$) and thyroxine($T_4$)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p<0.05),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plasma growth hormone(G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Milk composi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somatic cell count(SCC) in milk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p<0.05), but antibodies(total IgG, G1, G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refore we strongly believe that the increased milk yield is related to metabolic hormones as IGF-1, $T_3$ and $T_4$ and the mechanism of reducing SCC in milk must do more study related nonspecific immunsystem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사료첨가제로서 황토와 올리고당이 홀스타인 어린송아지의 성장 및 항병력에 미치는 영향

        김준식,최윤재,이보균,김명국,홍중산,김윤학,이홍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1 한국축산학회지 Vol.43 No.4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effects of loess and a form of oligosaccharide (glucosamine-D) as feed additives for 4 days to 2 month-old Holstein calves on the disease resistance and the growth rate. The total weight gains(WG) of test group given 0.04% glucosamine-D and 3% loess as additives were 43.6㎏ and 37.2㎏, respectively, which were 10.1㎏ and 3.6㎏ higher weight gains compared to control group(33.5㎏). The potential influence of loess and glucosamine-D treatment on the distribution of various leukocyte cell types in the serum of test group was tested using flow cytometic method. CD4 antigen positive cells(i.e., T helper cell) were highest in test group feeding 0.04% glucosamine-D, white class II MHC-positive cell type(antigen presenting cells such as 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was lowest in 6% loess-feeding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3% loess and glucosamin-D were more effective as feed additives for 4 days to 2 month-old Holstein calves to increase the disease resistance and the growth rate than those of any other treatments.

      • KCI등재

        메치오닌 수산화물의 첨가가 남은 음식물의 보관 중 성상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현준,김현섭,정하연,강수원,기광석,조광근,조재순,홍중산,김명국,이홍구,최윤재,Lee, H.J.,Kim, H.S.,Jeong, H.Y.,Kang, S.W.,Ki, K.S.,Cho, K.K.,Cho, J.S.,Hong, Z.S.,Jin, M.G.,Lee, H.G.,Choi, Y.J. 유기성자원학회 2002 유기물자원화 Vol.10 No.3

        이 시험은 현재 우리나라 환경문제 중 하나로서 큰 오염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남은 음식물의 재활용과 사료로서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보존재로서 MHA의 적정 사용량을 알아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소규모 식당에서 발생하는 남은 음식물을 수집하여 methionine 수산화물(MHA)을 처리하여 $40^{\circ}C$ 인큐베이터안에서 40일동안 변화를 관찰하였다. MHA를 원물중량의 1%, 3%, 5% 첨가구를 두고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염도는 MHA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p<0.05) pH는 MHA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휘발성지방산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는 30일 이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MHA처리구는 1, 3, 5% 첨가구 모두 15일차까지 감소하고 이후 일정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은 MHA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시료의 외관상 변화는는 대조구에서 표면 곰팡이 발생과 연화정도가 심하게 나타내었으며, MHA 첨가구에서는 1%구에서는 표면의 얇은 곰팡이는 나타내었으나 내부는 변화를 보이지 않아 남은음식물의 고온상태에서의 변패 변질 방지를 위해 MHA를 1% 이상 첨가하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food wastes known as major sour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determine proper additional levels of methionine hydroxy analogue(MHA) on food wastes. 1%, 3% and 5% of MHA were added to 3 groups of food wastes gathered from small cafeteria. Each group has 3 reiteration. NaCl contents were tended to get higher as addition levels increased(p<0.05). And pH values were tended to get lower as additional levels increased(p<0.05). $NH_3-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additional levels increased(p<0.05). Total VFA(Volatile Fatty Acid) content was increased after 30 days of storage on control. On MHA treatments(1, 3, 5%), total VFA contents were decreased until 15 days of storage, and kept low values until the end of experiment. In terms of superficial change, mildew covered all over control, and covered by thin mildew on the surface of 1% MHA treatment. No superficial change found on 3% and 5% MHA treatments. In conclusion, over 1% addition of MHA was effective to prevent the decay and degeneration of food wast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