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산향교 소장 고문서를 통해 본 19세기 錦山의 재지세력

        홍제연(Hong, Je-yeon)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8

        이 글은 금산지역 재지사족의 실태와 1871년 서원훼철령 직후 금산 유림이 기득권을 지키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펼쳤는지 금산향교소장 고문서를 바탕으로 확인한 것이다. 금산향교에는 향교에서 작성한 문서류, 관에서 향교에 보낸 문서, 수집문서 등이 전해지고 있고, 내용을 보면 향교가 사족들의 집합소로 기능함에 따라 생산된 문서가 많다. 또한 기록 시기는 서원 남설과 재지사족의 전횡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던 18세기 이후의 것들이다. 금산은 이른바 ‘충청5현’이라 불리우던 기호유학 계열의 유학자들이 강학하던 공간이었고, 조선 후기에 8개의 서원 사우가 건립되어 중앙의 사화와 환국에 따라 치폐가 거듭되었다. 그러나 점차 서인 노론계가 금산지역을 장악하여 금산 사족의 성향도 노론계에 크게 기울었다. 그리고 이들이 19세기까지 기득권을 가진 계층으로 존재하였다. 서원이 부흥하는 동안 향교는 급격히 쇠퇴하여 1765년(영조 41) 전라도 관찰사 沈履之가 도내 서원에 보낸 절목에서 재지사족들이 향교를 업신여기며 폐단을 일삼는 사회상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기도 하다. 향교가 부상하게 된 것은 1871년 서원훼철령 이후, 서원소유의 재산이 향교로 이관되고 서원에서 활동한 사족(유림)들이 향교로 눈을 돌리면서 부터였다. 서원에서 활동하던 문중은 향교를 중심으로 자신들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향약계 사마재계 등을 조직하고 협력관계를 공고히 하였다. 금산향교의 문서를 보면 18세기 금산 향교에서 활동한 주요 성씨는 조선후기부터 이어진 재지적 기반의 문중이었다. 그러나 1886년 고종의 윤음에 따라 관학원이 창설되고, 1894년 갑오개혁으로 신교육 체제가 시행되면서 달라진 모습을 보인다. 동학농민혁명 후 유림들은 사재를 출연하여 향교의 대대적인 중수를 추진하는데, 참여자 명부에서 완전히 새로운 성씨가 등장하는 것이다. 금산향교 소장 문서는 매우 한정적이지만, 18세기 향교의 쇠퇴를 수령권을 통해 개선하고자 하였던 국가정책의 시행과 서원훼철 후 지방유림 사회가 향교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기존의 기득권층의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대사회가 시작되자 새로운 유력 집단이 등장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is a case study on intended to monitor the trends of 19th-century Geumsan-Sajok(士族, Local literati) through the Geumsan-Hyanggyo records. And right after 1871(Seowon demolishing), identified the changes in Geumsan-Yurim. Geumsan-Hyanggyo has been a large collection of 18~19th century Manuscripts. It was material is compiled by hand and sent to Hyanggyo from the government and a collected books. In the 18th century, the abuse of power of the Jaeji-Sajok(在地士族) and an excessive number of Seowon were problems. Geumsan is where Kiho Confucianism called ‘Chungcheongohyeon’ taught students. And Eight Confucian Academy(Seowon) were established, with political activities centered around each Seowon. In the late Joseon period, Geumsan was dominated by Noron party and the Seowon was revived but the Hyanggyo has become weak. It was in 1871(Seowon demolishing) when the Geumsan-Hyanggyo regained its power. when the Hyanggyo came to possess the estate of the Seowon, students who studied at Seowon became interested in the Hyanggyo. In particular, Moonjung(Clan), the owner of the Seowon, organized a meeting and work together at Hyanggyo. In 1886 a public education system was created under the direction of the King Gojong, and in 1894, a new educational system was implemented. Then, the Yurim figures of the Hyanggyo paid their fortune to repair the Hyanggyo. At that time, a new class of people was involved in repairing the building. They were new people who became rich.

      • KCI등재

        17~18세기 충청우도 소론가(少論家)의 형성과 활동 - 청양 함평이씨 함성군파(咸城君派)를 중심으로 -

        홍제연(Hong, Je Yeon) 역사실학회 2020 역사와실학 Vol.71 No.-

        조선후기 인조반정을 주도하며 정계를 장악한 서인계는 1600년대 후반에 벌어진 송시열(宋時烈)과 윤증(尹拯)의 회니시비를 정점으로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졌다. 충청지역은 노론의 영향력이 막강하였고, 소론이나 남인은 비주류에 속했다. 특히 조선후기 노론 정권이 지속되는 동안 소론은 더욱 위축되었다. 충청우도 서원의 성격을 분석해 보아도 소론 서원은 매우 드물다. 그중 홍주의 용계서원(龍溪書院)은 윤증을 제향한 사액서원으로 주목되는데, 건립 과정에 청양 재지사족이 주도적으로 등장한다. 서원의 위치가 청양현 내에 속한 홍주의 월경지였기 때문이었다. 여기에서 특히 함평이씨가의 역할이 주요했다. 함평이씨는 선조 말엽 소북파 정치인이었던 이효원(李效元) 이후 번성하였다. 특히 그의 아들과 손자들이 朴知誡의 문인이면서 서인계의 핵심 인물로 활약하였다. 노소분기 이후에는 소론을 표방하였고, 자손들은 인근 소론 집안과 혼인을 통해 정치적 성격을 공고히 하였다. 용계서원이 정치적으로 수난을 겪었지만 조선후기 내내 지역의 지배성관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1700년대 후반 이후로는 사마,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지 못하고 정치적 성격을 드러낼 기회 없이 노론계로 성장한 외손 집안과 교류하는 등 문중활동에 부심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시기 충청지역 비노론계 집안이 대개 같은 상황에 처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The late Joseon period, Seoin took power through King Injo"s Restoration(仁祖反正) But Seoin’s being divided into Noron and Soron. Chungcheong-do Province was politically on Seoin’s side, especially Seoin-Noron’s side. Soron and Namin were nonmainstream. The Soron members have weakened, especially while Noron have pow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eowons located in Chungcheongwoodo(currently Chungcheong South Province), Soron-sided Seowons was very rare. Among them, Yonggye Seowon(Hold a Sacrificial Rite for Yoon Jeung) in Hongju is drawing attention. Because Local Gentry in Cheongyang led the construction. And the Yonggye Seowon was located in Cheongyang, although its administrative district is in Hongju. Hampyeong-issi(咸平李氏) played a particularly big role in this process. Hampyeong-issi(咸平李氏) family flourished in the early 1600s after Lee Hyo Won. Especially, his sons and grandchildren were powerful politician. They were Park Ji-gye"s disciples. And became a Soron’s side after Noron-Soron Divergence(老少分岐). The descendants cemented their power by marrying the same faction. Although Yonggye Seowon went through a politically difficult time, Hampyeong-issi did not lose power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out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from the late 1700s, Hampyeong-issi failed to pass the selection exam and moved away from political activities. In the end, they had no choice but to cooperate with Noron and work hard on his family"s work. Perhaps other Soron families were in a similar situation at this time.

      • KCI등재

        17~18세기 충청 지역 소론계 서원과 魯岡書院

        홍제연(Je Yeon Hong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1 No.-

        魯岡書院은 충청도 니산(노성)1에 세거하던 파평윤씨가의 尹煌, 尹文擧, 尹 宣擧, 尹拯을 제향한 서원으로 1675년 범 서인계가 윤황의 위패를 모시며 창건을 주도했다고 알려져 있다. 1600년대 후반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되는 과정에서 윤증이 소론계를 주도하게 되자 노강서원은 소론의 首院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그런데 정계의 주도권을 노론이 잡게 되면서 노강서원은 점차 파평윤씨와 니산 사족들의 활동 공간으로 위축되어 갔다. 노강서원 건립 후 충청지역 곳곳에 우계 성혼의 학맥을 이은 사족들에 의해 소론계 서원이 건립되는데 이 지역은 대체로 윤증, 崔錫鼎, 南九萬, 李世 龜, 趙克善 등 당대 소론계 명유들이 머물며 재지사족에게 영향을 끼친 곳, 노소분열 이전 영남계(북인 남인) 사족의 존재가 확인되는 곳이란 공통점이 있다. 즉, 애초에 서인 일색의 정체성을 가진 지역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계를 장악한 노론이 충청지역 서원에 영향력을 강화하며 정치색이 없는 서원까지 포섭해 비노론계 서원을 압박하자 소론 서원은 어려운 처지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니산 인근에 노론 서원이 경쟁적으로 세워졌고, 청주와 진천에서는 향전이 벌어졌으며, 제향인의 관작 추탈・철액 논의 등 정치적견제 속에서 점차 약화되어갔다. 이런 가운데 노강서원이 명맥을 유지하며 고종 대에 대대적인 서원 훼철까지 피할 수 있었던 것은 파평윤씨가에서 자제 교육에 심혈을 기울여 계속해서관료를 배출함으로서 중앙정계 내의 지지기반을 유지하고 소론의 수원이라는상징성을 잃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에 비해 다른 모든 소론계 서원은 훼철을 피할 수 없었다. Chungcheong-do is a place where Yulgok and Ugye schools dominate among the schools of Confucianism. Those who studied in the two groups belonged to the Seoin party. Seoin was seriously opposed after the the Noron-Soron Divergence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Seowon became the site of conflict in each region. Before 1800, 107 seowon Confucian academies in Chungcheong Province were built. Among them, there were only 11 Soron Confucian academies, and most of them were Noron Confucian academies. As Noron took the lead mainly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Soron-line Seowon was in a difficult situation. It was also the subject of discussions on the abolition of Seowon, and Hyangjeon(鄕戰) took place. Nogangseowon Confucian Academy Altogether in Noseong, Chungcheong-do was established by SeoIn-line in 1675. Noseong Papyeong Yoon is celebrating a distinguished scholar of the Nojong faction. Since Yun Jeung, a native of this family, became the leader of Soron after the Noron-Soron Divergence, Nogangseowon Confucian Academy also became the source of Soron-sided Seowon. Therefore, Nogangseowon Confucian Academy was the strongest target of check for Noron. Nogangseowon Confucian Academy remained a symbol of Soron-sided Seowon until the end despite several crises caused by political pressure. This is because Papyeong Yoon Clan has established a strong support base for Nogangseowon by educating their descendants through Nogangseowon for more than 200 years and raising disciples to produce high-ranking officials.

      • KCI등재

        충청감영 문화유산의 활용과 자원화 방안

        홍제연(Hong Je Yeon) 역사문화학회 200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2 No.1

        문화산업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문화자원 찾기는 우리시대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그런면에서‘감영’은 조선시대 지역문화 발전의 주체이며, 풍부한 유형 문화유산을 남기고 있어 문화산업을 위한 콘텐츠로 높은 가치를 지닌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감영에 대한 관심은 문화재 복원에 치중되어왔고, 전문연구자를 위한 일회성 자료집 제작, 획일적인 축제·이벤트 개최 등으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감영의 행정적 역할은 지역별 큰 차이가 없으나, 수백년의 역사가 흐르며 저마다 독특한 문화를 그 지역에 남겨왔다. 충청감영이 자리했던 공주시는 백제시대부터 충청도의 首府로 명성이 높아 전국에서도 역사문화도시로 손꼽힌다. 그러나‘백제의 古都’라는 지역문화의 상징으로 인해 충청감영의 역사는 관심 밖이었던게 사실이다. 게다가 타 지역에 비해 감영 관련 유형 문화유산도 극히 희박한 실정이다. 따라서 충청감영의 가치와 특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는 문화사적, 지역적 특성을 찾아내 보여주고, 이것을 널리 알릴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공주시에는 국립·도립박물관과 역사문화 연구기관 등이 소재하고 있어 감영문화에 대한 연구와 개발 사업을 진행 할 주체는 충분한 편이다. 이러한 공공기관과 충청남도, 공주시가 협력하여 자료의 수집·정리·연구 사업을 추진하고 편찬, 교육 등을 병행하며 충청감영의 기초데이터를 풍부하게 하는 것이 가장 우선 되어야 한다. 그 안에서 문화산업의 콘텐츠를 찾는다면 이상적인 개발 방식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충청감영에 대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몇가지 주제를 추출해 문화콘텐츠 개발의 사례를 들고, 관광연계 방안 등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충청감영의 이야기를 공연이나 축제의 소재로 활용해 보다 쉽게 감영 문화를 알리고, 공원을 조성하고 안내판을 두어 사라진 감영의 흔적을 되살린 다면 관광코스로도 가능할 것이다. As the culture industry has started to draw attention, finding cultural resources that represent the identity of local province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of the current era. In that respect, “Gamyeong,”the headquarter of the provincial governor which led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possesses abundant cultural heritage which has high value as the content of the culture industry. So far, however, interest in Gamyeong has focused on the restoration of cultural assets and been confined to the production of one-time-use materials for researchers and holding standard festivals and events. The administrative role of Gamyeong was little different according to province, but each Gamyeong left unique culture in its province over hundreds of years. Gongju City, where Chungcheong Gamyeong was located, has been renowned as the capital of Chungcheong Province since the Baekje era, and thus is considered one of outstanding historic and cultural cities in the nation. However, due to its strong symbolic status as the“ capital of Baekje,”the history of Chungcheong Gamyeong has failed to capture much attention. In addition, compared with other provinces, far less Gamyeong-related 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preserved in Chungcheong province. Therefore, in order to restore the value and features of Chungcheong Gamyeong as much as possible, a program that finds out the cultural and local features of Chungcheong Gamyeong and then makes lots of people acquainted with them should be developed. Gongju City, where national and provincial museums and history and culture research centers are located, is considered to have enough resources to conduct a project to research and develop Gamyeong, Above all, those public institutions and governments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Gongju City should work together to produce abundant basic data on Chungcheong Gamyeong by collecting, classifying and compiling related materials, and at the same time, delivering education. It is desirable to search for the content of the culture industry in the process of such joint work. In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Chungcheong Gamyeong which has been conducted so far, several themes of this study were extracted. Furthermore, some cases of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were presented and ways to utilize the contents like linking them with the tourism industry were sought. If the story of Chungcheong Gamyeong is utilized as materials for performance and festivals, it can make people acquainted with Gamyeong culture more easily. Besides, if a park that invokes the image of Gamyeong is created with some signs in it, it can become a tourist spot.

      • KCI등재

        17~18세기 忠淸道 洪州지역 재지사족과 少論系 書院

        홍제연(Hong, Je-yeon) 호서사학회 2020 역사와 담론 Vol.0 No.93

        조선 시대 충청도 4개 목 지역 중 하나인 洪州는 충청도 서부 지역의 행정 거점이다. 어염이 풍부하고 농토가 넓어 사대부가 거처로 삼기를 원했던 곳이며, 바닷길을 이용한 외부와의 소통이 빠르고 상업이 발달하여 내륙 지역보다 개방적·진보적인 곳이라 알려져 왔다. 홍주의 문화상을 보여주는 몇 가지 근거 중 하나는 홍주의 書院이다. 충청도는 율곡 이이의 학맥을 이은 김장생, 김집 부자의 영향으로 기호학파의 근거지였으며 정치적으로 서인계의 텃밭이었고, 노소분기 이후에는 서인-노론계가 전반적으로 우세하였다. 특히 노론의 首院인 연산 遯巖書院, 청주 華陽書院을 중심으로 공주진관, 청주진관 소속 군현에 소재한 서원은 대체로 노론 색을 띠었다. 그런데 유독 홍주에는 惠學書院과 龍溪書院 등 소론계 사액서원이 있고, 홍주진관 소속 군현에 소론계와 남인계의 서원이 세워졌다. 홍주에는 두 서원 외에 성삼문을 제향한 魯恩書院이 있었다. 노은서원의 창건 세력은 당색을 초월했지만 노소분기 이후 노론의 지원을 받았다. 이는 노론의 정치적 계산에 의한 것이었다. 타 지역에서도 정치적 성향에 따라 서원 간 갈등이 흔했고, 노론 정권하에서 비노론계 서원이 철액 또는 철폐되기까지 했던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중앙정계는 당쟁으로 요동치고 있었지만 홍주에서는 지역 내에 당파적 갈등이 크게 부각되지 않으며 소론계 사액서원이 유지되었다. 그 이유는 첫째, 두 서원의 제향인물이 李世龜(이광좌의 父)와 尹拯이라는 소론의 핵심 인사였다는 것이고, 둘째, 이세구와 윤증이 생전에 홍주에 머물며 재지사족의 유풍을 진작시켰으며, 셋째, 홍주 사족사회가 애초에 노론이 지배적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홍주의 서원은 모두 고종 대까지 존속하였다. In the period of Chosen dynasty, there were 4 Moks in Chungcheong-do Province. They had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It was Hongju that was the administrative hub of the western area of Chungcheong-do Province. Hongju was rich in seafood and had large farmland, so scholar-gentlemen, people in the highest class, wanted to live there. Basically, Chungcheong-do Province was academically on Kiho School’s side under the influence of Kim Jang-saeng and Kim Jip who were in the scholarly lineage of Yi Yul-gok. And it was politically on Seoin’s side, especially Seoin-Noron’s side after Seoin’s being divided into Noron and Soron. Most of Seowons in Gongju or Cheongju district, like Donam Seowon in Yeonsan or Hwayang Seowon in Cheongju, were on Noron’s side. On the other hand, in Hongju, there were Seowons which were on Soron’s side, like Hyehak Seowon and Yonggye Seowon. In Hongju, there was Noeun Seowon, which held rituals for Seong Sam-mun. At first, politicians in Seoin and Namin participated in its establishment together. However, after Seoin’s separation, Noron supported Noeun Seowon, and it was because of Noron’s political considerations. In other districts, it was also common that there were conflicts among Seowons that had different political views, and sometimes non-Noron-sided Seowons were abolished by Noron regime. Unlike the central political world, in Hongju, making Soron-sided Seowons remain. It was because the figures for which two Soron-sided Seowons held rituals were Yi Se-gu and Yoon Jeung, the key figures of Soron faction. And it was also because Yi Se-gu and Yoon Jeung boosted the custom of Confucianism, staying in Hongju. In fact, Noron was not dominant in the local gentry society of Hongju in the first place. Seowons in Hongju continued until the period of Gojong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